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 모델과 브랜드자산 가치 영향요인으로서의 축제서비스품질 규명 = Identifying a Model of Customer-based Festival Brand Equity and Festival Service Quality as Antecedents Affecting CBFBE - Focused on the Global Fair & Festival 2009 Inche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06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의 모델과 브랜드자산의 영향요인으로서 축제서비스품질과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제안모델을 제시하고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축전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1, 2차순 요인분석, 모델 탐색 및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기반 축제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는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충성도라는 4개의 차원으로 안정적인 개념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객기반 축제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의 관계는 기존 관광분야의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충성도간에 유의한 경로가 추가적으로 나타나 축제의 맥락에서 강력한 브랜드인지도 전략은 브랜드충성도의 직접적인 선행변수임이 규명되었다. 셋째, 축제서비스품질은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주력해야 할 축제서비스품질 차원은 축제프로그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의 모델과 브랜드자산의 영향요인으로서 축제서비스품질과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제안모델을 제시...

      본 연구는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의 모델과 브랜드자산의 영향요인으로서 축제서비스품질과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제안모델을 제시하고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축전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1, 2차순 요인분석, 모델 탐색 및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기반 축제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는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충성도라는 4개의 차원으로 안정적인 개념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객기반 축제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의 관계는 기존 관광분야의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충성도간에 유의한 경로가 추가적으로 나타나 축제의 맥락에서 강력한 브랜드인지도 전략은 브랜드충성도의 직접적인 선행변수임이 규명되었다. 셋째, 축제서비스품질은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주력해야 할 축제서비스품질 차원은 축제프로그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model of a customer-based festival brand equity(CBFBE) and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constructs of CBFB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baseline model was suggested Data for empirical research was collected from visitors of "the Global Fair & Festival 2009 Incheon, Korea" from 9 to 11 October in 2009 with convenient random sampling. The study was analys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rst and second-order factor analysis, model 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ly, it is verified that CBFBE is consist of 4 dimensions i.e.,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Secondly, results of model search revealed that relationship of constructs of CBFBE shows same pattern as researches in tourism field, but one additional path is verified in festival context i.e., from brand awareness to brand loyalty. This means the more brand awareness is strong, the mor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estival loyalty. Thirdly, by SEM it is verified that FSQ bas a direct effect on all the constructs of CBFBE. And also, among FSQ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 one which has an effect on value of CBFBE is a festival progra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model of a customer-based festival brand equity(CBFBE) and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constructs of CBFB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baseline model was suggested Data for empirical re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model of a customer-based festival brand equity(CBFBE) and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constructs of CBFB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baseline model was suggested Data for empirical research was collected from visitors of "the Global Fair & Festival 2009 Incheon, Korea" from 9 to 11 October in 2009 with convenient random sampling. The study was analys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rst and second-order factor analysis, model 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ly, it is verified that CBFBE is consist of 4 dimensions i.e.,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Secondly, results of model search revealed that relationship of constructs of CBFBE shows same pattern as researches in tourism field, but one additional path is verified in festival context i.e., from brand awareness to brand loyalty. This means the more brand awareness is strong, the mor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estival loyalty. Thirdly, by SEM it is verified that FSQ bas a direct effect on all the constructs of CBFBE. And also, among FSQ attributes, the most significant one which has an effect on value of CBFBE is a festival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실증분석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실증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