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양극성장애와 창의성의 관계- 근적외선 분광연구기법의 활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6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대상
      연구의 피험자들은 벤더빌트 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에 내원 중인 환자 중 연구 참가자 모집 게시판을 통해 자원한 양극성 장애 환자들 및 이들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대등한 정상인들이다. 연구 지원자들은 DSM-IV 1축 진단을 위한 구조적 면접도구(SCID-I: First, Spitzer, Gibbon, & Williams, 1996)를 통해 양극성 장애집단 참가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이 도구는 연구 참여자가 특정 정신과적 진단에 해당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범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정상통제집단의 경우 위 진단면접도구를 이용해 DSM-IV 1축 상의 어떤 진단에도 해당되지 않음이 확인된 경우로한다. 진단면접은 환자의 미묘한 언어표현에 대한 감별능력이 요구되므로 면접과정의 진행은 연수기관에 소속된 원어민 임상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이 담당한다. 진행된 면접과정은 비디오를 통해 녹화되며, 진단과정의 일치도를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가진 독립적 1인을 통해 검증할 것이다.
      연구 배재기준은 신경과적 병력이 있는 경우, 2축 성격장애를 가진 경우, 왼손잡이 혹은 양손잡이인 경우이다. 신경학적 병력의 경우 연구팀의 신경과 전문의가 실시하는 문진과 자기공명영상 결과를 통해 신경학적 병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이며, 성격장애 판정의 경우는 DSM-IV 2축 진단을 위한 구조적 면접도구(SCID-II: First, Spitzer, Gibbon, Williams, & Benjamin, 1997)를 통해 1개 이상의 성격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2. 창의성 측정도구
      창의성 측정을 위해서는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의 그림형식검사(TTCF-C)와 언어형식검사(TTCT-V), the Remote Associates Test(RAT: Mednick, 1962), the novel Divergent Thinking Task (DTT: Folley & Park, 2005)를 사용한다.
      TTCF는 길포드의 지능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다. 이 검사는 피검자가 주어진 언어자극이나 그림자극을 바탕으로 얼마나 다양하고 새로운 그림이나 언어반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지를 측정한다.
      RAT는 주어진 세 단어의 공통성을 찾아내는 지필검사이다. 이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념간의 관련성을 추론하고, 적절한 결론에 이르는 수렴적 사고가 요구된다.
      DTT는 제시된 사물의 용도를 추론하는 검사이며, 최대한 다양한 용도를 생각해 낼 것이 요구된다. 제시되는 사물은 흔히 접할 수 있는 물건과 용도를 쉽게 알 수 없는 낯선 사물이 반반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신경영상측정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이 창의성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두뇌활동의 측정은 근적외선 분광법(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을 사용한다. 측정에 사용할 기기는 히다찌사의 ETG-100으로 24채널에서 정보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측정영역은 전전두엽이며 국제 10-20 체계에 따라 전극을 부착하며 우반구 영역에서는 Fp2, F4, F8, 좌반구 영역에서는 Fp1, F5, F7에 해당한다

      4. 신경영상용 창의성 과제
      기존 DTT를 신경영상기기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킨 과제를 사용한다 (Folley & Park, 2005). 운동영역의 활동이 나타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해 답을 화면에 나타난 8개의 보기 중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환되었다.
      과제를 수행하는 데 창의성 이외에도 범주화나 의사결정 같은 인지과정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제하기 위한 과제 블록을 설정하였다. 이 블록에서는 보기와 색상이 같은 사물들을 보기에서 선택해야 하며, 선택한 사물의 용도를 보고해야 한다. 통제과제에서 제시되는 사물들은 창의성 실험과제에서 제시되는 것과 동일하다.

      5. 실험과정
      집단은 면접결과에 따라 현재 양극성 장애 집단, 과거 양극성 장애 집단, 정상통제집단으로 분류된다. 과거 양극성 장애 집단의 경우 1축 양극성 장애 진단을 충족시켰으나 현재는 Young 조증 척도(Young Mania Rating Scale:YMRS: Young, Biggs, Ziegler, & Meyer, 1978) 에서 7점 미만, 해밀턴 우울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Hamilton, 1960) 에서 6점 미만의 점수를 받아 정상 기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된 환자들로 한정할 것이다. 집단의 크기는 집단 당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중 집단 당 무선적으로 선정된 10명씩은 신경영상연구에도 참여한다.
      행동실험과제 및 신경영상연구는 일원 다변량분석방법을 통해 비교된다. 분석을 통해 집단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측정도구들에 대해 사후검증을 실시한다.
      번역하기

      1. 대상 연구의 피험자들은 벤더빌트 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에 내원 중인 환자 중 연구 참가자 모집 게시판을 통해 자원한 양극성 장애 환자들 및 이들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대등한 ...

      1. 대상
      연구의 피험자들은 벤더빌트 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에 내원 중인 환자 중 연구 참가자 모집 게시판을 통해 자원한 양극성 장애 환자들 및 이들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대등한 정상인들이다. 연구 지원자들은 DSM-IV 1축 진단을 위한 구조적 면접도구(SCID-I: First, Spitzer, Gibbon, & Williams, 1996)를 통해 양극성 장애집단 참가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이 도구는 연구 참여자가 특정 정신과적 진단에 해당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범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정상통제집단의 경우 위 진단면접도구를 이용해 DSM-IV 1축 상의 어떤 진단에도 해당되지 않음이 확인된 경우로한다. 진단면접은 환자의 미묘한 언어표현에 대한 감별능력이 요구되므로 면접과정의 진행은 연수기관에 소속된 원어민 임상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이 담당한다. 진행된 면접과정은 비디오를 통해 녹화되며, 진단과정의 일치도를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가진 독립적 1인을 통해 검증할 것이다.
      연구 배재기준은 신경과적 병력이 있는 경우, 2축 성격장애를 가진 경우, 왼손잡이 혹은 양손잡이인 경우이다. 신경학적 병력의 경우 연구팀의 신경과 전문의가 실시하는 문진과 자기공명영상 결과를 통해 신경학적 병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이며, 성격장애 판정의 경우는 DSM-IV 2축 진단을 위한 구조적 면접도구(SCID-II: First, Spitzer, Gibbon, Williams, & Benjamin, 1997)를 통해 1개 이상의 성격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2. 창의성 측정도구
      창의성 측정을 위해서는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의 그림형식검사(TTCF-C)와 언어형식검사(TTCT-V), the Remote Associates Test(RAT: Mednick, 1962), the novel Divergent Thinking Task (DTT: Folley & Park, 2005)를 사용한다.
      TTCF는 길포드의 지능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다. 이 검사는 피검자가 주어진 언어자극이나 그림자극을 바탕으로 얼마나 다양하고 새로운 그림이나 언어반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지를 측정한다.
      RAT는 주어진 세 단어의 공통성을 찾아내는 지필검사이다. 이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념간의 관련성을 추론하고, 적절한 결론에 이르는 수렴적 사고가 요구된다.
      DTT는 제시된 사물의 용도를 추론하는 검사이며, 최대한 다양한 용도를 생각해 낼 것이 요구된다. 제시되는 사물은 흔히 접할 수 있는 물건과 용도를 쉽게 알 수 없는 낯선 사물이 반반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신경영상측정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이 창의성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두뇌활동의 측정은 근적외선 분광법(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을 사용한다. 측정에 사용할 기기는 히다찌사의 ETG-100으로 24채널에서 정보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측정영역은 전전두엽이며 국제 10-20 체계에 따라 전극을 부착하며 우반구 영역에서는 Fp2, F4, F8, 좌반구 영역에서는 Fp1, F5, F7에 해당한다

      4. 신경영상용 창의성 과제
      기존 DTT를 신경영상기기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킨 과제를 사용한다 (Folley & Park, 2005). 운동영역의 활동이 나타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해 답을 화면에 나타난 8개의 보기 중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환되었다.
      과제를 수행하는 데 창의성 이외에도 범주화나 의사결정 같은 인지과정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제하기 위한 과제 블록을 설정하였다. 이 블록에서는 보기와 색상이 같은 사물들을 보기에서 선택해야 하며, 선택한 사물의 용도를 보고해야 한다. 통제과제에서 제시되는 사물들은 창의성 실험과제에서 제시되는 것과 동일하다.

      5. 실험과정
      집단은 면접결과에 따라 현재 양극성 장애 집단, 과거 양극성 장애 집단, 정상통제집단으로 분류된다. 과거 양극성 장애 집단의 경우 1축 양극성 장애 진단을 충족시켰으나 현재는 Young 조증 척도(Young Mania Rating Scale:YMRS: Young, Biggs, Ziegler, & Meyer, 1978) 에서 7점 미만, 해밀턴 우울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Hamilton, 1960) 에서 6점 미만의 점수를 받아 정상 기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된 환자들로 한정할 것이다. 집단의 크기는 집단 당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중 집단 당 무선적으로 선정된 10명씩은 신경영상연구에도 참여한다.
      행동실험과제 및 신경영상연구는 일원 다변량분석방법을 통해 비교된다. 분석을 통해 집단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측정도구들에 대해 사후검증을 실시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