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64757
2016
-
33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5-75(4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조망해보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과 관련한 역량은 지역사회 전반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했다. 특히 지역NGO활동 역량에 대한 범주화된 각 변수에 대한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지역NGO활동 역량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테면 대전과 대구, 그리고 광주지역NGO의 경우 사례연구에서 뿐만이 아니라, 지역 NGO의 성장과 활동에 적지않은 차이가 확인이 되었다. 다만 대구지역의 경우 지역전체 NGO가 아닌 대구참여연대로 국한했을때는 대구지역 전체의 NGO의 성장과 역량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들 세 지역NGO에 대한 변수검증 결과 에서도 대전, 대구, 광주지역 간에 지역NGO의 형성과 성장에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역사회의 재구조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지역NGO 스스로 끊임없이 자각하고 바람직한 역할 모색을 통해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local NGO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case studies focusing the advocacy NGOs in Daejeon, Daegu, and Gwangju.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growth 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local NGO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case studies focusing the advocacy NGOs in Daejeon, Daegu, and Gwangju.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NGOs of the concerned are influenced in comm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eties. The study also finds out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the concerned local NGO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variables(internal capacity, governance capacity, institutional capacity) are able to confirm a clear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formation of NGOs.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local NGOs coupling with the local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local NGOs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자치부 홈페이지"
2 채경진, "행정문화와 조직연구의 경향 분석:「한국사회와 행정연구」의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63-85, 2013
3 고건, "한국형 지방자치의 청사진" 도서출판 길벗 1995
4 유팔무,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 논형 2004
5 조희연,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도서출판 당대 1998
6 강원택, "한국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나남 2010
7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운동정보센터 2012
8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2000
9 한국민간단체총람 편찬위원회,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운동정보센터 2009
10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2003
1 "행정자치부 홈페이지"
2 채경진, "행정문화와 조직연구의 경향 분석:「한국사회와 행정연구」의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63-85, 2013
3 고건, "한국형 지방자치의 청사진" 도서출판 길벗 1995
4 유팔무,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 논형 2004
5 조희연,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도서출판 당대 1998
6 강원택, "한국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나남 2010
7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운동정보센터 2012
8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2000
9 한국민간단체총람 편찬위원회,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운동정보센터 2009
10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2003
11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1997
12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2006
13 손혁상, "한국 개발NGO 역량강화 기초조사 및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1
14 김세철, "지역시민운동의 커뮤니케이션적 의미와 지역 언론-대구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2 (22): 207-227, 2003
15 김희송, "지역사회운동과 시민정치 - 광주지역 6․2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09-131, 2010
16 금홍섭, "정책과정에서의 지역NGO와 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 관계 구축에 관한 연구 : NGO활동가와 공무원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3
17 박재창, "정부와 NGO" 법문사 2000
18 "영남일보 홈페이지"
19 차명제, "시민운동지표(CAI)로 분석한 전라북도와 광주광역시의 NGO 역량 평가"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209-244, 2014
20 김희송, "시민운동의 형성과 제도화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1 조명래, "시민사회의 공간화-지역시민사회에 관한 소고" 한국NGO학회 7 (7): 1-14, 2011
22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1995
23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2" 한울 2001
24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2" 한울 2001
25 손호철, "시민사회와 시민운동2-새로운 지평의 탐색" 한울 2001
26 정태석, "시민사회와 NGO" 아르케 2000
27 "서울경제 홈페이지"
28 이은구, "사회자본을 통한 지역사회의 거버넌스 생명계 모형에 관한 서설적 연구-대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공기업학회 4 (4): 89-105, 2008
29 백승대, "보수와 진보의 지역정치-대구지역사례" 한국사회학회 641-646, 2004
30 김희송, "민주화 이후 광주지역 시민사회운동의 변화와 헤게모니 경쟁" 5.18연구소 12 (12): 89-132, 2012
31 조명래, "도시, 갈등, 시민성" 한국 사회학회 4 : 31-82, 2001
32 "대한민국 정보공개 포털"
33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홈페이지"
34 "대전일보 홈페이지"
35 곽현근, "대전시 거버넌스의 진단과 과제: 거버넌스 참여주체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4 (24): 185-210, 2010
36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37 "대구참여연대 홈페이지"
38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39 "광주참여자치21"
40 "광주일보 홈페이지"
41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42 고재학, "거버넌스 사회에서 한국 정부와 NGO의 관계 및 역할 재정립" 경인행정학회 9 (9): 37-61, 2009
43 Kendall, Jeremy, "The Voluntary Sector in the United Kingdom" St. Martin's Press 1996
44 Cleary, Seamus, "The Role of NGOs under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St. Martins Press 1997
45 박상필, "NGO학 – 자율, 참여, 연대의 동학" 아르케 2005
46 김준기, "NGO의 책임성 및 내부지배구조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41 (41): 127-159, 2003
47 조효제, "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2000
48 박상필, "NGO와 현대사회" 아르케 2001
49 김영래, "NGO와 한국정치" 아르케 2004
50 박상필,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한울 2008
51 차병직, "NGO와 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52 정상호, "NGO를 넘어서-이익정치의 이론화와 민주화를 위한 탐색" 한울아카데미 2006
53 "KINDS 홈페이지"
54 유팔무, "90년대 한국의 사상적 좌표와 시민사회" (봄) : 265-271, 1995
소수정당 입법활동 연구: 민주노동당의 사회운동과의 연계전략을 중심으로
지방정부 사회적경제 정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비교연구: 대구와 부산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중심으로
‘참여의 사다리’로 본 민관협치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