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방정부 사회적경제 정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비교연구: 대구와 부산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Research on Collaborative Governance in Social Economy Policy of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Daegu and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4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생태계 조성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역화 전략으로서 지역단위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주목하고 거버넌스 주체로서 지방정부, 사회적경제 당사자조직, 지역 시민사회단체 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것이다. 협력적 거버넌스의 동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거버넌스의 조건과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지표를 설정하고, 한계 및 실천과제도 함께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인 대구시는 단체장의 사회적경제 육성의지가 분명하고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정책의 주요 추진방향으로 설정했으며, 부산시는 이와 같은 정책방향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분석 결과 정책방향의 차이가 거버넌스의 양적・ 질적 격차로 나타나,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지방정부의 촉진자적 역할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시켜주었다. 그러나 촉진적 리더십은 필요조건 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협력적 거버넌스는 정부영역이 특정 업무에 대한 민간의 자문을 구하거나 동의를 요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권한부여 (empowerment)의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촉진적 역할이 실질 적인 민간의 역량강화로 이어지기 위해 ‘민관정책협의회의 법적근거 마련과 민간 사무국 설치’, ‘기초지자체 단위로 정책협의회 설치 확대’ 등을 실천과제로 제시하 였다. 또한, 부산시에 대해서는 사회적경제 전담부서 신설과 통합지원센터 건립, 민관협의회 구성 등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통합적 정책환경 조성 및 다양한 이해관계 자들의 참여와 소통의 활성화를 요청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생태계 조성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역화 전략으로서 지역단위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주목하고 거버넌스 주체로서 지방정부, 사회적경제 당사자조직, 지...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생태계 조성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역화 전략으로서 지역단위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주목하고 거버넌스 주체로서 지방정부, 사회적경제 당사자조직, 지역 시민사회단체 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것이다. 협력적 거버넌스의 동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거버넌스의 조건과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지표를 설정하고, 한계 및 실천과제도 함께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인 대구시는 단체장의 사회적경제 육성의지가 분명하고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정책의 주요 추진방향으로 설정했으며, 부산시는 이와 같은 정책방향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분석 결과 정책방향의 차이가 거버넌스의 양적・ 질적 격차로 나타나,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지방정부의 촉진자적 역할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시켜주었다. 그러나 촉진적 리더십은 필요조건 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협력적 거버넌스는 정부영역이 특정 업무에 대한 민간의 자문을 구하거나 동의를 요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권한부여 (empowerment)의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촉진적 역할이 실질 적인 민간의 역량강화로 이어지기 위해 ‘민관정책협의회의 법적근거 마련과 민간 사무국 설치’, ‘기초지자체 단위로 정책협의회 설치 확대’ 등을 실천과제로 제시하 였다. 또한, 부산시에 대해서는 사회적경제 전담부서 신설과 통합지원센터 건립, 민관협의회 구성 등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통합적 정책환경 조성 및 다양한 이해관계 자들의 참여와 소통의 활성화를 요청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construct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at a local level as part of a strategy to establish a social economic ecosystem and secure its sustainability. To this end, it analyzes networks of local governments, local civic groups and other parties involved in social economy. Indicators for analysis are categorized into conditions and processes of governance to figure out dynamic aspect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in a comprehensive manner.
      Finally, limitations and further tasks for cases analyzed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Daegu metropolitan city, one of the case cities for this research, sets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through diverse parties participation as a main policy goal to push ahead and the head of the Daegue local government has a strong determination to nurture a social economy, whil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other case city for this research, doesn t show a clear policy direction. It is confirmed from this analysis that the difference in policy direction leads to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p in governance; therefor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s facilitators is critical in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however, requires a continuous empowerment because in the system, governments domain is not limited to just asking for advice or agreement on specific tasks from private sectors. Daegu city can facilitate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private sectors if further tasks such as providing legal grounds for public-private council for policy and establishing a private secretariat and establishing public-private councils at a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ed. For Busan city,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dedicated division for social economy and integrated supporting centers and to form a public-private councils, which will ultimately induce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and create a inclusive policy environment.
      번역하기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construct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at a local level as part of a strategy to establish a social economic ecosystem and secure its sustainability. To this end, it analyzes networks of local governments, local civic g...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construct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at a local level as part of a strategy to establish a social economic ecosystem and secure its sustainability. To this end, it analyzes networks of local governments, local civic groups and other parties involved in social economy. Indicators for analysis are categorized into conditions and processes of governance to figure out dynamic aspect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in a comprehensive manner.
      Finally, limitations and further tasks for cases analyzed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Daegu metropolitan city, one of the case cities for this research, sets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through diverse parties participation as a main policy goal to push ahead and the head of the Daegue local government has a strong determination to nurture a social economy, whil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other case city for this research, doesn t show a clear policy direction. It is confirmed from this analysis that the difference in policy direction leads to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p in governance; therefor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s facilitators is critical in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however, requires a continuous empowerment because in the system, governments domain is not limited to just asking for advice or agreement on specific tasks from private sectors. Daegu city can facilitate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private sectors if further tasks such as providing legal grounds for public-private council for policy and establishing a private secretariat and establishing public-private councils at a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ed. For Busan city,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dedicated division for social economy and integrated supporting centers and to form a public-private councils, which will ultimately induce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and create a inclusive policy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 Ⅲ. 대구시와 부산시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Ⅳ.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 Ⅲ. 대구시와 부산시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철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출소예정자의 취업·창업지원 융합행정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2 (22): 27-49, 2012

      2 "협동조합기본법"

      3 부산광역시, "협동조합 위원회 현황 및 운영실적"

      4 이해진, "한국의 사회적경제-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 지역사회학회 16 (16): 135-180, 2015

      5 박경하,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지원정책 사례연구" 2014

      6 박대호, "충북의 사회적경제와 지역네트워크 형성" 4 (4): 1-60, 2015

      7 함창모, "충북 사회적경제 발전방안" 4 (4): 125-147, 2015

      8 김학실, "지역경제 위기에 대응한 사회적 경제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75-97, 2014

      9 송두범,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1 (1): 97-129, 2011

      10 부산광역시, "제1차 부산시 협동조합 기본계획" 2015

      1 오철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출소예정자의 취업·창업지원 융합행정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2 (22): 27-49, 2012

      2 "협동조합기본법"

      3 부산광역시, "협동조합 위원회 현황 및 운영실적"

      4 이해진, "한국의 사회적경제-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 지역사회학회 16 (16): 135-180, 2015

      5 박경하,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지원정책 사례연구" 2014

      6 박대호, "충북의 사회적경제와 지역네트워크 형성" 4 (4): 1-60, 2015

      7 함창모, "충북 사회적경제 발전방안" 4 (4): 125-147, 2015

      8 김학실, "지역경제 위기에 대응한 사회적 경제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75-97, 2014

      9 송두범,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1 (1): 97-129, 2011

      10 부산광역시, "제1차 부산시 협동조합 기본계획" 2015

      11 "사회적기업육성법"

      12 남승균, "사회적경제와 지역의 내발적 발전에 관한 연구" 인천학연구원 1 (1): 85-124, 2015

      13 대구광역시, "사회적경제민관정책협의회 정책포럼 자료집"

      14 노대명, "사회적경제를 강화해야 할 세가지 이유: ‘생활세계의 위기’를 넘어" 37 (37): 73-93, 2009

      15 대구광역시, "사회적경제과 업무보고 자료집"

      16 채종헌,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4

      17 장우진, "사회적 경제 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자원 연계 방향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인터뷰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개발학회 12 (12): 47-74, 2012

      18 부산광역시, "부산시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운영현황" 2016

      19 "부산광역시 협동조합 지원 조례"

      20 "부산광역시 사회적기업 육성에 관한 조례"

      21 부산광역시, "부산 마을기업 개요집"

      22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3 "대구광역시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24 대구광역시, "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설치・운영계획" 2015

      25 대구광역시, "대구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 2016

      26 대구광역시, "대구 사회적경제 민관정책협의회 워크숍 결과 보고서" 2015

      27 대구광역시, "대구 사회적경제 민관정책협의회 2차회의 자료집"

      28 대구광역시, "대구 민관정책협의회 구성・운영계획" 2015

      29 범사회적경제 대책준비위원회, "공청회 자료집"

      30 대구광역시, "‘16년 사회적경제 활성화 추진계획" 2016

      31 Borzaga, C.,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2003

      32 Sirianni, Carmen, "Investing in Democracy: Engaging Citizen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9

      33 Loquet, Patrick, "Economie Sociale: De l'Insertion à la Solidarité" (516) : 2000

      34 Saward, Michael, "Democratic Innovation: Deliberation, Representation and Association" Routledge 2006

      35 Agranoff, Robert,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4

      36 Ansell, C.,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8 : 543-571, 2007

      37 Rich, Michael J.,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Urban Revitalization: Lessons from Empowerment Zone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

      38 Thomson, Ann Marie, "Collaboration Processes: Inside the Black box" 66 : 20-32, 2006

      39 Emerson, K.,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22 : 1-29, 2012

      40 사회적기업육성부산네트워크, "2016 총회 자료집"

      41 부산광역시, "2015년 사회적기업센터 운영계획" 2015

      42 사회적기업육성부산네트워크, "2015 총회 자료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