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만에 대한 국내 미디어 뉴스 내용 분석 연구: 건강 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의 적용 = Media Content Analysis for Obesity Preven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8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raming of news reports about obesity in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raming with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A total of 431 articles in four major daily newspapers published from October 2017 to September 2019 were analyzed.
      Results Five HBM constructs -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In th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nstruct was internal cues to action, follow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However, other relatively few instances of constructs, including external cues to 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were found.
      Conclusions Korean newspapers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raming with external cues to 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in their articles to facilitate the national public policy of reducing obesity.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raming of news reports about obesity in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raming with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A total of 431 articles in four major daily newspapers...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raming of news reports about obesity in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raming with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A total of 431 articles in four major daily newspapers published from October 2017 to September 2019 were analyzed.
      Results Five HBM constructs -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In th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nstruct was internal cues to action, follow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However, other relatively few instances of constructs, including external cues to 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were found.
      Conclusions Korean newspapers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raming with external cues to 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in their articles to facilitate the national public policy of reducing obe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상황에서 비만 이슈에 대한 미디어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고, 국내 미디어들이비만 이슈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실제 비만 예방 행동과 문제 해결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수용자들의 건강 예방 행동에 대한 설명을 위해 건강 신념 모델에 기반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틀을 적용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주요 일간지 네 종의 총 431개 뉴스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 신념 모델의 다섯 개 구성 요소에 근거해 미디어 프레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구성 요소는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내적 행동 계기였고, 그 다음으로 비만에 대한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외적 행동 계기,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요인 등의 구성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국내 미디어들은 향후 비만에 대한 뉴스 보도와 관련해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적극적 행동 계기, 지각된이익, 지각된 장애와 해소 요인에 대한 프레임 정보 제공을 늘림으로써, 한국 사회의 비만 문제 해결과수용자들의 비만 예방 행동 촉진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상황에서 비만 이슈에 대한 미디어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고, 국내 미디어들이비만 이슈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실제 비만 예...

      배경 및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상황에서 비만 이슈에 대한 미디어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고, 국내 미디어들이비만 이슈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실제 비만 예방 행동과 문제 해결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수용자들의 건강 예방 행동에 대한 설명을 위해 건강 신념 모델에 기반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틀을 적용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주요 일간지 네 종의 총 431개 뉴스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 신념 모델의 다섯 개 구성 요소에 근거해 미디어 프레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구성 요소는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내적 행동 계기였고, 그 다음으로 비만에 대한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외적 행동 계기,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요인 등의 구성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국내 미디어들은 향후 비만에 대한 뉴스 보도와 관련해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적극적 행동 계기, 지각된이익, 지각된 장애와 해소 요인에 대한 프레임 정보 제공을 늘림으로써, 한국 사회의 비만 문제 해결과수용자들의 비만 예방 행동 촉진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