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본연구에서 昆布에 주목한 이유는 산지(동옥저)가 명확한 그것이 고대 韓國의 물자가 中國으로 들어가는 흐름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조영제와 같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昆布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77875
2023
Korean
Saccharina japonica ; East Okchŏ ; Hamheung ; Chŏng Yag-yong ; Wubu ; jiehong ; daohongjing ; Sunsimiao ; 昆布 ; 東沃沮 ; 咸興 ; 丁若鏞 ; 吳普 ; 葛洪 ; 陶弘景 ; 孫思邈
KCI등재
학술저널
149-185(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필자가 본연구에서 昆布에 주목한 이유는 산지(동옥저)가 명확한 그것이 고대 韓國의 물자가 中國으로 들어가는 흐름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조영제와 같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昆布의 ...
필자가 본연구에서 昆布에 주목한 이유는 산지(동옥저)가 명확한 그것이 고대 韓國의 물자가 中國으로 들어가는 흐름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조영제와 같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昆布의 약성에 대해 일찍이 알고 있었다. 前漢代 완성된 『本草經』에 昆布가 癭瘤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BC 108년 漢武帝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땅에 漢4郡을 설치하였다. 昆布의 유일 산지인 동옥저 지역이 그 지배하에 들어갔다. BC,45년 樂浪 戶口簿木簡에 동옥저의 영동 7현 인구는 46,027명이다. 현지의 토산품 수취를 위해 낙랑이 호구조사를 했다.
A.D.140년 그 지역에 대한 낙랑의 지배가 약화하였고, 後漢末 고구려 통치 아래에 들어갔다. 중국은 250년 이상 그곳을 지배했고, 토산품을 수취했다. 『本草經』에 昆布가 등장하는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曹魏대 편찬된 『吳普本草』에도 昆布에 대한 소개가 있다. 그것은 고구려의 昆布가 어떤 경로를 통해 그 나라에 유입된 것을 반영한다. 당시 동옥저와 인접한 樂浪이 건재했고, 245년 曹魏의 군대가 그곳을 점령하기도 했다.
274년에 晋이 낙랑군을 그 관할로 편입했다. 하지만 313년 낙랑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되면서 동옥저에 대한 중국의 입김이 사라졌다. 江淮로 중심지를 옮긴 東晋代 葛洪(283∼343)이 찬술한 『肘後備急方』에 최초의 昆布 處方이 보인다. 앞서 昆布의 약성을 경험한 晋이 남하한 이후에도, 고구려와 해상교역을 통해 그것을 입수하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南朝 梁代 陶弘景의 『本草經集註』 昆布 조에 그의 추기가 보인다. “昆布, 지금은 오직 고구려에서만 난다. 마치 삼베를 말아놓은 것 같다. 黃黑色으로 부드럽고 탄력이 있으며, 먹을 수 있다.” 南北朝 시대에 昆布를 바다 건너 고구려에서 수입한다는 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452∼537)는 고구려 장수왕과 문자명왕 통치 시기와 겹친다. 두 왕대(413∼519년) 총 96회의 南北朝와의 교류가 있었다. 昆布가 南朝에 지속해 유입되었다.
隋唐시대에도 昆布는 고구려의 대중국 교역품 가운데 하나였다. 고구려인들이 唐太宗에게 昆布를 진상하기도 했다. 唐대 孫思邈은 昆布의 사용 분야를 대폭 확장 시켰다. 『千金翼方』을 보면 昆布를 主藥으로 하는 처방들이 보인다. 그 가운데 昆布 하나만 먹는 단 방 처방이 주목된다. 환자가 생활을 위해 노동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 그 처방을 사용했다. 고구려산 昆布는 농민들도 입수가 가능할 정도로 唐에 대량 유입되었다.
唐高宗 시기(658년)에 편찬된 『新修本草』에도 昆布가 주요 약재로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약재를 수취하기 위한 唐朝의 매뉴얼이기도 했다. 唐 조정의 관서의 하나인 太尙寺 太醫署에서 藥材가 필요한 때, 그 책을 보고 산지를 확인한 후 尙書省 戶部度支에 의뢰하여 고구려에 그것을 요구하게끔 하였다.
고구려가 멸망하고 발해가 건국했다. 『新唐書』에 발해인들이 귀하게 여기는 토산품 가운데 하나가 남해의 昆布라고 하는 기록이 있다. 발해 무왕(718∼737)의 재위 20년 동안 26회의 사절 入唐이 있었다. 726년 무왕의 동생 大門藝의 망명 사건과 732년 발해의 山東 등주 급습이란 양국의 충돌에도 교류 횟수는 줄지 않았다. 재위 기간이 가장 길었던 문왕(737∼793)대에도 교류는 45회에 달했다.
교역에 관성이 붙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唐은 昆布 등 발해에서만 산출되는 물품이 필요했고, 발해는 唐에 집산하는 萬國의 물품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one reason I focused on S japonica (Dashima kelp) in this study. It is produced only in certain areas of Goguryeo and Balhae; Dashima kelp is like a contrast medium that shows the flow of goods from Korea to China. In 108 BC, the Han Dynasty ...
There is one reason I focused on S japonica (Dashima kelp) in this study. It is produced only in certain areas of Goguryeo and Balhae; Dashima kelp is like a contrast medium that shows the flow of goods from Korea to China.
In 108 BC, the Han Dynasty destroyed the Joseon (古朝鮮) and established a colony (漢四郡) on land. Hamheung (咸興), the only area of S japonica kelp production, fell under the control of the Han in 45 BC. With a woodcut record of 46,027 men in the area, the colonial government, Nakrang (樂浪郡), conducted a census to receive local products.
However, in 140 AD, the area escaped the control of Nakrang and came under Goguryeo. The Han ruled for over 250 years and received native products. Therefore, kelp was mentioned in China’s first medical book.
There is an introduction to kelp in the pharmacy book (吳普本草) compiled by Obo in the 3rd century AD. This reflects the introduction of kelp harvested from Hamheung, Goguryeo, to China via a certain route.
Galhong (283-343)’s medical book (肘後備急方) shows the first prescription. As the two seniors argued, he also observed that kelp effectively treated thyroid disease. His prescription tells us that the Jin (晋) Dynasty, who experienced the effects of the kelp, needed it even after moving south to the Yangtze River. Eastern Jin (東晋) obtained kelp through maritime trade with Goguryeo.
Do Hong-Kyung (452-537) of the Yang (梁) Dynasty mentioned this in his pharmacy Book. “Dashima kelp (昆布), it only grows in Goguryeo now. It’s tied up with a string as if it’s wrapped in a fabric. It is yellowish-black, soft and elastic, and edible.” In the past, the area of kelp production was under Chinese control;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at that time. Do Hong-kyung witnessed the kelp wrapped in Goguryeo products and ate it himself. During his time (452-537), the reign of King Jangsu overlapped with King Munmyeong of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the two kings (413-519), kelp from Goguryeo continued to enter China.
Even during the Tang Dynasty’s reign, Dashima kelp was one of the goods Goguryeo traded with China. At that time, Sunsimiao (孫思邈) greatly expanded the use of kelp as a medicinal material. His medical book shows prescriptions using the kelp as the primary ingredient.
Among these, the prescription for eating only one Dashima kelp has drawn attention. If the patient had no choice but to work throughout his life, he would have had eaten only one kelp. People who must work, despite sickness, cannot be considered rich. Koguryo kelp was a medicinal material that farmers could obtain during this era.
Thirty years after the fall of Goguryeo in 668, Balhae was established on the land. Chinese record (新唐書) mentions kelp as a specialty of Balhae. It has been confirmed that Balhae dispatched 26 envoys to the Tang Dynasty during the 20 years of King Tai Mu (718-737).
Diplomatic and armed conflicts occur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726 and 732. However, exchanges between them did not decline. During the reign of King Tai Mun (737-793), who had the longest reign, 45 exchanges occurred. This meant a strong inertia in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ang Dynasty needed goods such as kelp produced only in Balhae, and Balhae was in demand for goods collected worldwide.
A total of 44 Dashima kelp prescriptions were found in the Chinese medical book (外臺秘要方) compiled in 752. The prescriptions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 treatment of the thyroid and lymph glands. Ancient Chinese people suffered from a lack of iodine. The incidence of thyroid and lymphatic diseases was high, and kelp flowed from Goguryeo and Balhae to alleviate malnutrition among the Chinese popul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書"
2 윤용구, "전한후기 낙랑군의 호구파악" 56-, 2009
3 김종복, "발해와 당의 사신 파견을 통해 본 大門藝 亡命 사건의 추이" 부산경남사학회 (76) : 1-27, 2010
4 구난희, "다시마와 발해・일본의 교류" 한일관계사학회 (65) : 3-48, 2019
5 국립수산진흥원, "다시마 양식" 국립수산과학원 1-15, 1974
6 임기환, "남북조기 한중 책봉, 조공 관계의 성격 -고구려, 백제의 책봉, 조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2 : 13-54, 2003
7 김병준,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한국고대사학회 (78) : 139-183, 2015
8 이현숙, "고구려의 의약 교류" 한국고대사학회 (69) : 57-90, 2013
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299-301, 1999
10 李基白, "韓國史講座 Ⅰ[古代編]" 일조각 124-125, 1982
1 "梁書"
2 윤용구, "전한후기 낙랑군의 호구파악" 56-, 2009
3 김종복, "발해와 당의 사신 파견을 통해 본 大門藝 亡命 사건의 추이" 부산경남사학회 (76) : 1-27, 2010
4 구난희, "다시마와 발해・일본의 교류" 한일관계사학회 (65) : 3-48, 2019
5 국립수산진흥원, "다시마 양식" 국립수산과학원 1-15, 1974
6 임기환, "남북조기 한중 책봉, 조공 관계의 성격 -고구려, 백제의 책봉, 조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2 : 13-54, 2003
7 김병준,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한국고대사학회 (78) : 139-183, 2015
8 이현숙, "고구려의 의약 교류" 한국고대사학회 (69) : 57-90, 2013
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299-301, 1999
10 李基白, "韓國史講座 Ⅰ[古代編]" 일조각 124-125, 1982
11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12 唐愼微,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南天書局有限公司 222-, 1976
13 唐愼微, "證類本草" 中國中醫藥出版社 581-, 2013
14 "肘後備急方"
15 "續漢書"
16 "經世遺表"
17 이정록 ; 김홍균 ; 유원준, "渤海醫學에 對한 硏究" 한국의사학회 19 (19): 111-133, 2006
18 和田淸, "渤海國地理考" 36 (36): 419-474, 1954
19 島山喜一, "渤海史上の諸問題" 風間書房 161-, 1968
20 조병순, "渤海 南京南海府의 位置 推定에 對한 考察" 28 : 23-26, 2004
21 "本草經集註"
22 陶弘景, "本草經集注" 人民衛生出版社 319-, 1994
23 "本草經"
24 陳藏器, "本草拾遺輯釋" 科學技術出版社 1-541, 2002
25 吳儀洛, "本草從新" 科學技術出版社 140-, 1982
26 "新唐書"
27 "新修本草"
28 蘇敬, "新修本草" 科學技術出版社 1-879, 2004
29 "太平御覽"
30 "大韓疆域考"
31 "外臺秘要方"
32 王燾, "外臺祕要方 卷23" 華夏出版社 433-, 1993
33 岩本篤志, "唐新修本草編纂と土貢" 東洋文庫 90 (90): 113-143, 2008
34 岩本篤志 ; 오택현, "唐 『新修本草』 편찬과 「土貢」 -中國 國家 圖書館藏 斷片 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8) : 253-284, 2014
35 吴普, "吴氏本草经" 中醫古籍出版社 52-, 2005
36 "吳普本草"
37 陶弘景, "名醫別錄" 中國中醫藥出版社 1-302, 2013
38 甄權, "古今錄驗方" 中國醫藥科技出版社 10-, 1996
39 "千金要方"
40 "千金翼方"
41 孫思邈, "備急千金要方校釋" 人民衛生出版社 1-1102, 2014
42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科學技術出版社 1351-1353, 1983
43 "三國志"
44 "三國史記"
45 Jeoung YH, "Studies on Effects of Sipyukmiyukieum on the Hyperthyroidism" 9 (9): 98-108, 1988
46 이현숙, "Comparison of Sonsamak Biography" 신라사학회 (35) : 265-280, 2015
47 여호규, "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 동양학연구원 (58) : 203-229, 2015
漢代 『方言』에 수록된 北燕․朝鮮洌水지역 同訓異表記語 분석
<포항 중성리 신라비>에 등장하는 喙部 소속 壹伐의 성격과 특징
조선 전기 해상정책 변화와 장영기 세력 궐기의 상관성 연구
노(能)에 표현된 호간비이키(判官びいき)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의 혈통 관련 묘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