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일회담 청구권관계 자료, 1965-66"
2 국무조정실 보도자료,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 개최"
3 도시환, "한일청구권협정의 국제법적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소 35 (35): 305-322, 2011
4 이근관, "한일청구권협정상 강제징용배상청구권 처리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54 (54): 327-391, 2013
5 한혜인,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전후 강제동원 피해의 범위와 보상논리 변화" 한국사학회 (113) : 237-284, 2014
6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日韓國交正 常化交涉の記錄> 총설<總說>"
7 아사노 토요미,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日韓國交正常化交涉の記錄)" 현대사료출판 2012
8 김창록, "한일간 과거청산에 있어서의 국가의 논리와 개인의 권리" 한국법사학회 (30) : 233-254, 2004
9 유의상, "한일 청구권협정에 대한 재평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10 장박진, "한일 청구권협정 제2조의형성 과정(1965. 3~6) 분석 - 개인청구권 문제를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48) : 297-345, 2015
1 "한일회담 청구권관계 자료, 1965-66"
2 국무조정실 보도자료,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 개최"
3 도시환, "한일청구권협정의 국제법적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소 35 (35): 305-322, 2011
4 이근관, "한일청구권협정상 강제징용배상청구권 처리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54 (54): 327-391, 2013
5 한혜인,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전후 강제동원 피해의 범위와 보상논리 변화" 한국사학회 (113) : 237-284, 2014
6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日韓國交正 常化交涉の記錄> 총설<總說>"
7 아사노 토요미,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日韓國交正常化交涉の記錄)" 현대사료출판 2012
8 김창록, "한일간 과거청산에 있어서의 국가의 논리와 개인의 권리" 한국법사학회 (30) : 233-254, 2004
9 유의상, "한일 청구권협정에 대한 재평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10 장박진, "한일 청구권협정 제2조의형성 과정(1965. 3~6) 분석 - 개인청구권 문제를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48) : 297-345, 2015
11 김창록, "한일 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권리’ - 일제 ‘강제동원’ 피해 관련 대법원 판결을 소재로 -" 법학연구원 (49) : 791-835, 2015
12 "한일 간의 청구권 및 경제협력협정 제1의정서 제7조 및 제 1의정서의 실시세목, 협정 및 제1조 2의 합동위원회, 1966, 전 3권, V.2, 협정실시를 위한 추가 합의사항 교섭, 1966. 1-3"
13 "한일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등), 1964-65, 전5권, V. 4, 국내조치"
14 "한일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등), 1964-65, 전5권, V. 1, 교섭 및 서명"
15 요시자와 후시토시, "한일 간 제 조약에 관련된 과제 -한일 청구권협정을 중심으로-, In 한일수교 50년, 상호이해와협력을 위한 역사적 재검토" 한일관계사학회 2015
16 총무처, "청구권자금의 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제109회"
17 경제기획원, "청구권자금 백서" 1965
18 "제90회 국회 재무위원회 회의록 제9호"
19 "제90회 국회 본회의 회의록 제15호"
20 "제7차 한일회담(1964. 12. 3-65. 6. 22) 청구권관계 회의보고 및 훈령, 1965, 전3권 V.3, 미해결문제 토의 및 조문화 작업"
21 "제6차 한일회담 청구권위원회 회의록, 1-11차, 1961. 10. 27-62. 3. 6"
22 "제6차 한일회담 제2차 정치회담 예비절충: 본회의, 1-65차, 1965. 8. 21- 64. 2. 6, 전5권, V. 2, 4-21차 1962. 9.3-12. 26"
23 "제5차 한일회담 예비회담: 일반청구권소위원회 회의록, 제 1-13차, 1960-61"
24 "제57회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회의록 제5호(1966. 6. 2)~제16호"
25 "제54회 재정경제위원회 회의록 제6호"
26 "제1차 한일회담(1952. 2. 15-4. 21) 청구권분과위원회 회의록, 제1-8차, 1952. 2. 20-4. 1"
27 "제1차 한일회담(1952. 2. 15-4. 21) 청구권 관계자료"
28 배기문, "일청구권자금의 운용 및 관리에 관한 관계법령의 해설"
29 박배근, "일제강제징용 피해자의 법적 구제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향후 전망 - 2012년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0 (30): 47-73, 2013
30 조시현,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적 책임"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5) : 81-112, 2011
31 외교부, "일본개황"
32 "이동원 외무부장관 일본방문, 1965"
33 "월간조선"
34 요시자와 후미토시, "완전,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이란 무엇인가-재산청구권" 고몬켄 2015
35 "오마이뉴스"
36 "연합뉴스"
37 도시환, "식민지책임판결과 한일협정체제의 국제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38 (38): 297-324, 2014
38 "손해배상(기) 등 일제 강제징용사건"
39 "손해배상(기)"
40 KOSIS, "소비자물가지수"
41 "세계일보"
42 "서울고등법원 2013. 7. 10 선고. 2012나4494 판결"
43 "부산고등법원 2013. 7. 30 선고. 2012나4497 판결"
44 장박진, "미완의 청산" 역사공간 473-, 2014
45 "동아일보"
46 대한민국정부, "대일배상요구조서"
47 재무부, "대일민간청구권보상 종결보고서" 1978
48 이동준, "광복 70년·한일수교 50년의 재인식(23):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의 의미"
49 "경향신문"
50 이홍렬, "강제징용피해와 손해배상책임 - 대판 2012.5.24, 2009다22549를 중심으로 -"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0 : 189-226, 2012
51 장박진, "강제징용 한국인 피해 문제에 대한 대(고등)법원 판결의 문제점 검토"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14) : 2013
52 최철영, "강제동원 관련 한인(조선인)소송에 있어 개인배상청구권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19) : 233-271, 2008
53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등 지원위원회, "각국 의회의 일본군‘위안부’ 결의안 115건 분석·공개"
54 최영호, "韓國政府의 對日 民間請求權 補償 過程" 한일민족문제학회 (8) : 225-254, 2005
55 "第51回 日本國會 參議院豫算委員會 會議錄 第14號"
56 "第50回 日本國會參議院本會議 會議錄 第14號"
57 "第128回 日本國會 衆議院豫算委員會 會議錄 第26號"
58 "第121回 日本國會 參議院豫算委員會 會議錄 第3號"
59 "7차 한일회담 청구권관계 회의보고 및 훈령, 1965. 전2권, V.2, 1965. 4. 3 가서명 이후의 청구권 및 경제협력위원회, 196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