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과 고용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4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D has been accep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Korea`s R&D ratio to GDP reached at 4.15% in 2013 and was ranked as first country in R&D intensity over OECD countries.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improve efficiency and contributes to grappling with economic growth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through R&D investment, recent high unemployment and sluggish economic growth rate brings up skeptical opinions about the role of R&D in the economy. The impacts of R&D investments on GDP growth and job creation are analyzed using the data set of OECD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of 1980-2012. We find that the R&D investmen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GDP growth and employment. Moreover, there are some other long-term mechanisms to flourish the economy and to promote increase in employment by u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dissemination of the latest cutting-edge technology.
      번역하기

      R&D has been accep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Korea`s R&D ratio to GDP reached at 4.15% in 2013 and was ranked as first country in R&D intensity over OECD countries.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improve efficiency an...

      R&D has been accep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Korea`s R&D ratio to GDP reached at 4.15% in 2013 and was ranked as first country in R&D intensity over OECD countries.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improve efficiency and contributes to grappling with economic growth and an increase in employment through R&D investment, recent high unemployment and sluggish economic growth rate brings up skeptical opinions about the role of R&D in the economy. The impacts of R&D investments on GDP growth and job creation are analyzed using the data set of OECD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of 1980-2012. We find that the R&D investmen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GDP growth and employment. Moreover, there are some other long-term mechanisms to flourish the economy and to promote increase in employment by u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dissemination of the latest cutting-edge techn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희, "최저임금의 고용유지 및 취업 유입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14 (14): 1-23, 2008

      2 정진호, "최저임금 효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3 강유덕,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 이원기,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14): 1-15, 2004

      5 신태영,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 및 분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6

      6 박재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고용유발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7 조상섭, "연구개발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시계열영역접근과 주기영역접근 비교" 국제지역학회 17 (17): 99-117, 2013

      8 송성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9 김병우,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연구개발투자 정책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0 이한식, "경기변동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동태적 관계 분석" 서강시장경제연구소 36 : 61-83, 2007

      1 이병희, "최저임금의 고용유지 및 취업 유입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14 (14): 1-23, 2008

      2 정진호, "최저임금 효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3 강유덕,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 이원기,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14): 1-15, 2004

      5 신태영,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 및 분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6

      6 박재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고용유발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7 조상섭, "연구개발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시계열영역접근과 주기영역접근 비교" 국제지역학회 17 (17): 99-117, 2013

      8 송성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9 김병우,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연구개발투자 정책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0 이한식, "경기변동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동태적 관계 분석" 서강시장경제연구소 36 : 61-83, 2007

      11 Bogliacino, F., "The Job Creation Effect Of R&D Expenditures" 51 : 96-113, 2012

      12 양지청,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Local Economies Using Dynamic Panel Estimator in Korea" 국제지역학회 18 (18): 175-201, 2014

      13 Goel, R. K.,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nd economic growth: A cross country study" 2 : 403-411, 1994

      14 Lichtenberg, F. R., "R&D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productivity Differences"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2

      15 Lucas, R.,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22 (22): 3-42, 1988

      16 Coe, D, "North-south R&D spillovers" 107 : 134-149, 1997

      17 Engelbrecht, H., "International R&D spillovers amongst OECD economies" 4 : 315-319, 1997

      18 Coe, D., "International R&D spillovers" 39 : 859-887, 1995

      19 Coe, D, "International R&D Spillovers and Institutions" 53 : 723-741, 2008

      20 Romer, P. M., "Increasing Returns and Long Run Growth" 94 : 1002-1037, 1986

      21 Romer, P. M.,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98 : 71-102, 1990

      22 Birdsall, N, "Do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The World Bank 1993

      23 Ha, J., "Accounting for Trends in Productivity and R&D: A Schumpeterian Critique of Semi-Endogeneous Growth Theory" 39 : 733-774, 2006

      24 Solow, R,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70 (70): 65-94, 195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0.89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