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 정립에 관한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Educational Perspectives on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Linguistic Typolog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First,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problem’s consciousness . This demonstrated the ambiguity surrounding both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choosing textbooks’ contents.
      To ameliorate these problems, we explo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ight of linguistic typology . Through these efforts, we pres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hich focus on 1) language universals 2) implicative universals; and 3) educational views aiming to interpret the essence of language. Based on the ‘self-similarity’ between the general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explicit education about it, it was discuss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guarantee a total grammar experience by itself. And we specified the potential for grammar-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s purpose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First,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problem’s consciousness . This dem...

      This study’s purpose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First,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problem’s consciousness . This demonstrated the ambiguity surrounding both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choosing textbooks’ contents.
      To ameliorate these problems, we explo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ight of linguistic typology . Through these efforts, we pres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hich focus on 1) language universals 2) implicative universals; and 3) educational views aiming to interpret the essence of language. Based on the ‘self-similarity’ between the general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explicit education about it, it was discuss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guarantee a total grammar experience by itself. And we specified the potential for grammar-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어의 특성’ 개념과 교육 내용 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유형론적 관점 특히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탐색한 결과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함축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해석을 지향하는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총체적 앎과 ‘국어의 특성’에 대한 앎의 ‘자기 유사성’을 기반으로 명시적 교육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성’ 교육은 명제적 지식 교육이 아니라 그 자체가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총체적 문법경험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하게 될 문법교육적 경험의 가능태를 구체화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 국어를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 형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어의 특성’ 개념과 교육 내용 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유형론적 관점 특히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탐색한 결과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함축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해석을 지향하는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총체적 앎과 ‘국어의 특성’에 대한 앎의 ‘자기 유사성’을 기반으로 명시적 교육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성’ 교육은 명제적 지식 교육이 아니라 그 자체가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총체적 문법경험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하게 될 문법교육적 경험의 가능태를 구체화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 국어를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 형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3

      2 송재목, "한국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와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1-319, 2011

      3 김동소, "한국어 특질론" 정림사 2005

      4 정해권, "한국어 수사구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대한언어학회 25 (25): 183-202, 2017

      5 김기혁, "한국어 문법 범주화 언어 유형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5-25, 2008

      6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7 박진호,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인문학연구원 (17) : 265-292, 2010

      8 권재일, "언어학사강의" 박이정 2016

      9 임근석, "언어유형론적 관점의 연어 연구를 위한 시고"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34 : 19-32, 2015

      10 차경미,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의 국어의 특질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문법교육학회 2-19, 2016

      1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3

      2 송재목, "한국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와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1-319, 2011

      3 김동소, "한국어 특질론" 정림사 2005

      4 정해권, "한국어 수사구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대한언어학회 25 (25): 183-202, 2017

      5 김기혁, "한국어 문법 범주화 언어 유형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5-25, 2008

      6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7 박진호,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인문학연구원 (17) : 265-292, 2010

      8 권재일, "언어학사강의" 박이정 2016

      9 임근석, "언어유형론적 관점의 연어 연구를 위한 시고"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34 : 19-32, 2015

      10 차경미,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의 국어의 특질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문법교육학회 2-19, 2016

      11 박진호, "언어유형론이 한국어 문법 연구에 계시하는 것들" 한국일어일문학회 94 (94): 3-27, 2015

      12 목정수, "언어유형론의 비판적 고찰-한국어는 교착어, 불어는 굴절어라는 것의 의미를 묻다" 국제언어인문학회 6 : 185-211, 2004

      13 Song J. J., "언어유형론: 형태론과 통사론" 보고사 2009

      14 김건희, "언어유형론 개관과 국어 연구" 한말연구학회 (34) : 5-44, 2014

      15 Whaley, L. J., "언어유형론" 소통 2008

      16 민현식,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2018

      17 방민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8

      18 이관규,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2018

      19 이삼형, "언어와 매체" 지학사 2018

      20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8

      21 이선웅,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연속동사구문" 한국현대언어학회 27 (27): 165-182, 2011

      22 고영근, "언어 유형론과 개별 언어의 문법 기술-민족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4 : 147-189, 2009

      23 Larsen-Freeman, "언어 교수-문법에서 문법 사용하기로" 지식과 교양 2013

      24 임근석, "서술어의 분류와 언어유형론 연구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토" 한국어의미학회 46 : 215-246, 2014

      25 삼성경제연구소, "복잡성과학의 이해와 적용" 삼성경제연구소 1997

      26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1-34, 2012

      27 남지애,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28 김은성, "문법 교육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문법 교육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2012 (2012): 237-250, 2012

      29 Davis, Sumara, "마음과학습" 교육과학사 2017

      30 김기석, "대조언어학과 언어유형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4-37, 2016

      31 김광해,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2002

      32 송철의, "국어의 형태론적 특질" 배달말학회 28 : 1-28, 2001

      33 신명선, "국어과 교육내용의 교과서 구현 방식의 관례성과 오개념 - 문법 영역의 ‘언어의 본질과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31 : 87-134, 2017

      34 조병영,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과 진술에 관한 연구-미국, 영국, 일본의 자국어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9) : 6-194, 2002

      35 서영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46) : 415-450, 2013

      36 최경봉,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창비교육 2017

      37 한정한, "統辭論과 學校文法 - 言語 類型論의 觀點을 中心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89-130, 2016

      38 남지애, "“언어의 본질과 특성”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2016): 2016

      39 이관희, "‘언어의 특성’의 문법교육 내용화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41) : 31-65, 2013

      40 조진수, "‘문장의 주성분’ 개념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문법서에 나타난 문법 개념망을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32 : 120-15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