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동향 = A recent trend on individu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8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formation Privacy Rights is the one of the rights that private information can impact on personal life right to control the subject itself.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Privacy Rights and the privacy of the information that traditionally used,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the privacy ofan individual's private life that is free physical space for decision-making has been to emphasize the exclusion of interference in the traditional sense, and it has privacy and discrimination. For information about privacy rights violations during the most. It is about the CCTV, 'CCTV' technolog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xpansion of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people first think to protect your personal information, and keeping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prohibits excessive 'CCTV' evidence of ability to admit the evidence. But still 'CCTV' idea of a view of the installation is a panacea, whichis a violation of people's privacy rights and information about Portrait rights has been forgotten. 'CCTV' needs and the installation of at least keeping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prohibition must be installed. In addition, installation of domestic airport's full body scanner become a concern a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violate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prohibits the excess can be seen as examples. In addition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 the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personal information from unauthorized view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there commendation was sitting reading room at the National University Library Pers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by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lso recommended that measure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erspective, ironically, the current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protectingby Human Rights Committee, rather than the Committ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cause of privacy laws are enacte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not have blind spots, but still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law system can not be committed. As I describe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oes not abolished, so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CombineInformation have been conflicted with privacy laws. and privacy during work on the important work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role. Privacy Commissioner of deliberation and voting rights, but it does not have a ministerial committee that is only good semblance. Thus, the originalintent of the Privacy Act that people have the right to receive privacy established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and the abolition of privacy, Privacy Commissioner is able to function with different legal status of their permanent status and country Council also operates as same. If the committ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an not function it as they described, the Human Rights Commissioner could possibly protect the basic human rights.
      번역하기

      The Information Privacy Rights is the one of the rights that private information can impact on personal life right to control the subject itself.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Privacy Rights and the privacy of the information that traditional...

      The Information Privacy Rights is the one of the rights that private information can impact on personal life right to control the subject itself.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Privacy Rights and the privacy of the information that traditionally used,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the privacy ofan individual's private life that is free physical space for decision-making has been to emphasize the exclusion of interference in the traditional sense, and it has privacy and discrimination. For information about privacy rights violations during the most. It is about the CCTV, 'CCTV' technolog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xpansion of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people first think to protect your personal information, and keeping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prohibits excessive 'CCTV' evidence of ability to admit the evidence. But still 'CCTV' idea of a view of the installation is a panacea, whichis a violation of people's privacy rights and information about Portrait rights has been forgotten. 'CCTV' needs and the installation of at least keeping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prohibition must be installed. In addition, installation of domestic airport's full body scanner become a concern a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violate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prohibits the excess can be seen as examples. In addition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 the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personal information from unauthorized view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there commendation was sitting reading room at the National University Library Pers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by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lso recommended that measure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erspective, ironically, the current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protectingby Human Rights Committee, rather than the Committ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cause of privacy laws are enacte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not have blind spots, but still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law system can not be committed. As I describe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oes not abolished, so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CombineInformation have been conflicted with privacy laws. and privacy during work on the important work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role. Privacy Commissioner of deliberation and voting rights, but it does not have a ministerial committee that is only good semblance. Thus, the originalintent of the Privacy Act that people have the right to receive privacy established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and the abolition of privacy, Privacy Commissioner is able to function with different legal status of their permanent status and country Council also operates as same. If the committe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an not function it as they described, the Human Rights Commissioner could possibly protect the basic human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불법정보도 아닌데 사회질서를 해한다는 이유로 인터넷 상의 글들이방통심의위에 의해 삭제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체를 두고 의혹을 제기한 글들이 삭제됐다. 조속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아울러 ‘잊혀질 권리’를 위한 법 개정 과정에서 인터넷 검열이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18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러 확립된 기본권(fundamental human rights)이라든가 자유(freedom)의 보장이라는 근대법 이념이 더욱 추진되어, 21세기 인터넷시대에는 개인의 정보주권자로서의 위치와 그 실질적 평등이 지도원리가 될 것이다. 인터넷세계에 있어서는 ‘소비자’라는 관념 그 자체가 정보관계적으로 변경되고, 바뀌어서 등장하는 것이, 있어야 할 모습으로서는 정보주권자(informationalsovereign)이다. 이 의미는, 인터넷세계에 있어서는, 정보의 홍수현상이 더욱 발달되고, 그 중에서 효율적으로 정확하고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여 취득, 전달하는 능력이 사람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이념으로서는 정보주권자인 사람들이, 현실적으로는 정보처리능력에서 열등한 정보약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보의 홍수현상은 인터넷세계의 시민(netizen)을 삼켜버리고, 편중된 방향으로 netizen을 흘려 넣을 위험이 있다. 여기에서의 정보처리능력이라 함은, 그러한 정보의 홍수현상에 저항할 만큼의 지력과 자율성을 의미한다. 개인의 존중에 필요한 것은 정보의 홍수현상이 아니라, 개인이,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알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시민(netizen)이이 의미의 ‘정보기본권’(fundamental right to information) 내지 정보인권을갖기 위해서는, 각자가 올바른 정보처리능력을 몸에 붙일 권리와 의무를 가질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기본권 내지 정보인권이란 실정법적 개념이 아닌데, 그 개념에 대한 정의를 하면 우선 여기서 정보란 사전적 의미로 사물이나 어떤 상황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나 자료를 의미하고, 정보기본권에서 정보란 사전적 의미에 기본권 주체에 관련된 정보이고, 이러한 정보는 수집, 가공, 수정, 유통, 처리, 활용 등에 관한 기본권 주체가 이에 대하여 통제할 수 있는 기본권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그 의미에서 소비자교육과는 다른, 인터넷시민적 교육(netizenry education), 정보주권자(informationsovereign, holder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o information)에 적합한 자율성이 중요하다. 그와 같이 자율성, 주체성을 보지하는 인터넷세계의 주민 netizen이, Net상에서 사회적으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주장하고, 행동한다면, 그곳에 원시성운과 같은 대단한 에네르기를 갖는 정보사회가 창조될 것이다. 모든 발신의 근원을 포함시킨 Net상의 정보량은, 진정 천문학적인 규모에 달하는 것이다. 정보에 관한 자유의 정도는 정말로 ‘폭발한다’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과 헌법의 문제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이버공간이 영토, 영해, 영공에 이은 제4의 영역이 될 수 있는냐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관할권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인터넷은 국경이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리고 인터넷과 기본권 문제로서 제기되는 것은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문제, 교육권, 소비자의 권리, 재판청구권문제, 그리고 전자적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논의되는 정치적 표현 ...
      번역하기

      최근 불법정보도 아닌데 사회질서를 해한다는 이유로 인터넷 상의 글들이방통심의위에 의해 삭제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체를 두고 의혹을 제기한 글들이 삭제됐...

      최근 불법정보도 아닌데 사회질서를 해한다는 이유로 인터넷 상의 글들이방통심의위에 의해 삭제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체를 두고 의혹을 제기한 글들이 삭제됐다. 조속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아울러 ‘잊혀질 권리’를 위한 법 개정 과정에서 인터넷 검열이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18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러 확립된 기본권(fundamental human rights)이라든가 자유(freedom)의 보장이라는 근대법 이념이 더욱 추진되어, 21세기 인터넷시대에는 개인의 정보주권자로서의 위치와 그 실질적 평등이 지도원리가 될 것이다. 인터넷세계에 있어서는 ‘소비자’라는 관념 그 자체가 정보관계적으로 변경되고, 바뀌어서 등장하는 것이, 있어야 할 모습으로서는 정보주권자(informationalsovereign)이다. 이 의미는, 인터넷세계에 있어서는, 정보의 홍수현상이 더욱 발달되고, 그 중에서 효율적으로 정확하고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여 취득, 전달하는 능력이 사람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이념으로서는 정보주권자인 사람들이, 현실적으로는 정보처리능력에서 열등한 정보약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보의 홍수현상은 인터넷세계의 시민(netizen)을 삼켜버리고, 편중된 방향으로 netizen을 흘려 넣을 위험이 있다. 여기에서의 정보처리능력이라 함은, 그러한 정보의 홍수현상에 저항할 만큼의 지력과 자율성을 의미한다. 개인의 존중에 필요한 것은 정보의 홍수현상이 아니라, 개인이,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알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시민(netizen)이이 의미의 ‘정보기본권’(fundamental right to information) 내지 정보인권을갖기 위해서는, 각자가 올바른 정보처리능력을 몸에 붙일 권리와 의무를 가질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기본권 내지 정보인권이란 실정법적 개념이 아닌데, 그 개념에 대한 정의를 하면 우선 여기서 정보란 사전적 의미로 사물이나 어떤 상황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나 자료를 의미하고, 정보기본권에서 정보란 사전적 의미에 기본권 주체에 관련된 정보이고, 이러한 정보는 수집, 가공, 수정, 유통, 처리, 활용 등에 관한 기본권 주체가 이에 대하여 통제할 수 있는 기본권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그 의미에서 소비자교육과는 다른, 인터넷시민적 교육(netizenry education), 정보주권자(informationsovereign, holder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o information)에 적합한 자율성이 중요하다. 그와 같이 자율성, 주체성을 보지하는 인터넷세계의 주민 netizen이, Net상에서 사회적으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주장하고, 행동한다면, 그곳에 원시성운과 같은 대단한 에네르기를 갖는 정보사회가 창조될 것이다. 모든 발신의 근원을 포함시킨 Net상의 정보량은, 진정 천문학적인 규모에 달하는 것이다. 정보에 관한 자유의 정도는 정말로 ‘폭발한다’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과 헌법의 문제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이버공간이 영토, 영해, 영공에 이은 제4의 영역이 될 수 있는냐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관할권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인터넷은 국경이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리고 인터넷과 기본권 문제로서 제기되는 것은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문제, 교육권, 소비자의 권리, 재판청구권문제, 그리고 전자적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논의되는 정치적 표현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1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3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1

      4 성낙인, "헌법학" 박영사 2014

      5 정종섭, "헌법학" 박영사 2014

      6 백윤철, "헌법학" 한국학술정보 2011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3

      8 문영준,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의 이해와 동향" 2006

      9 국가법령정보센터,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2009

      10 "정보인권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3

      1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1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3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1

      4 성낙인, "헌법학" 박영사 2014

      5 정종섭, "헌법학" 박영사 2014

      6 백윤철, "헌법학" 한국학술정보 2011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3

      8 문영준,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의 이해와 동향" 2006

      9 국가법령정보센터,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2009

      10 "정보인권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3

      11 임종인, "전자적 제어시스템 침해 위협에 따른 법적 대응방안" 20 (20): 2010

      12 백윤철, "인터넷법학" 한국학술정보 2011

      13 백윤철, "사이버헌법론" 조세통람사 2001

      14 백윤철, "사이버범죄론" 세영사 2007

      15 정완, "사이버범죄론" 法元社 2010

      16 김동환, "사이버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창원대 2010

      17 이보영, "사이버 공간에서의 형법의 임무와 과제" 한국법학회 (36) : 239-261, 2009

      18 백윤철, "개인정보보호법" 한국학술정보 2011

      19 不正アクセス対策法制研究会, "逐条 不正アクセス行為の禁止等に関する法律[補正第2版]" 立花書房 2008

      20 園田寿, "情報社会と刑法" 成文堂 2011

      21 宇賀克也, "情報法" 有斐閣 2012

      22 永井善之, "サイバー⦁ポルノの刑事規制" 信山社 2003

      23 情報ネットワーク法学会=テレコムサービス協會, "インターネット上の誹謗中傷と責任" 商事法務 2005

      24 高橋和之=松井茂紀=鈴木秀美, "インターネットと法 [제4판]" 有斐閣 2010

      25 이철수, "SCADA 시스템 정보보안 감리지침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15 (15): 65-82, 2008

      26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Intelligent Transportems(ITS); Security; Security Services and Architecture" 2010

      27 NIST, "Guide to Industrial Control System(ICS) Security" 2011

      28 행정안전부, "2012 국가정보화백서" 2012

      29 방송통신위원회, "2012 국가정보보호백서"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2-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nkook Law Ri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3 0.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