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7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은 전(前) 근대사회와의 단절 및 기원으로서의 근대를 얘기한다. 또 그들은 일제강점기 초기근대는 1960년대 국가-재벌 연계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싹이자 연속성...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은 전(前) 근대사회와의 단절 및 기원으로서의 근대를 얘기한다. 또 그들은 일제강점기 초기근대는 1960년대 국가-재벌 연계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싹이자 연속성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논박을 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식민지근대화론에 내포된 사회적 환상(social fantasy)과 증상(symptom)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근대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근대에 관한 욕망을 파악하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근대화와 1960년대 근대화의 연속성은 주체의‘타자의 욕망에 대한 욕망의 연속성’이란 점에서 성립 가능할 뿐이다. 이런 소외된 욕망이 초기 근대의 식민 상황을 대변하며 1960년대 근대화 역시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점에서 초기 근대와 유사하다. 그럼에도 이를 연속적인 것으로 볼 수 없는 게 사회적 맥락과 환경(한국전쟁과 열강들의 개입, 국가의 분단, 각종 사회지각변동 등)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또 두 근대(초기 근대와 60년대 근대)를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은 보편적일 수 있는 현상에 지나치게 역사적 해석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재생산하려는 것을 이미 주어진 것처럼 전제를 하는 서사(narrative)일 뿐이다. 반면 역사(history)는 단순한 서사이상으로 급진적이고 단절적이다. 식민지근대화론의 두 근대의 연속성은 서사일 뿐 역사라고 할 수 없다. 역사의 단절은 한국전쟁을 통해서 이전 전근대적 전통사회와의 단절 및 남북분단, 사회구조변동 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식민지근대화를 근대의 기원으로 보는 한편 반공주의 사상을 고집한다. 이는 환상으로서의 근대와 이에 대한 증상으로서의 공산주의라는 상호함축적인 정신분석학적 관계를 드러낸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에게 낙인찍히고 박멸되어야할 대상이 공산주의자가 된 것은 역으로 그들이 칭송하는 1960년대 근대화 작업이 환상에 기초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gumen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talks about the severance with pre-modern society and modernity as the origin. They also argue that the early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rings a sprout and continuity of modernization proje...

      The argumen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talks about the severance with pre-modern society and modernity as the origin. They also argue that the early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rings a sprout and continuity of modernization project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te and conglomerate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refute it in the position of psycho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social fantasy and symptom implied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also to underst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desire for modernity. First, the early modernization and the continuity of modernization in the 1960s could be validated only in the aspect of subjects’‘continuity of desire related to others’ desire’. This alienated desire represents the colonial situation of the early moder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1960 is also the severance with the past, which is similar to the early modernity. Nevertheless, this cannot be viewed as something continuous because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The Korean War, world powers’ interference, national division, all sorts of social upheavals, and etc.) have been changed. Also, viewing those two modernities(early modernity and modernity of the 1960s) as something with continuity could be excessively applying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to the universal phenomenon. This is just the narrative that premises something that aims to reproduce as something already given.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is radical and severed more than simple narrative. The continuity of those two modernities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s not the history, but just the narrative because the severance of history was shown as severance with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national division, and change in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Korean War. Also,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view the colonial modernization as the origin of modernity, and also insist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is reveals the mutually-implicative psychoanalytic relation between modernity as fantasy and communism as its symptom. The communists were stigmatized by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as the objects that should be eradicated, which reversely shows that the modernization work of the 1960s they praised was on the basis of fantas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근대라는 문제적 지점과 연구목적, 방법
      • 3. 외상과 근대
      • 3. 환상과 증상
      • 한글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근대라는 문제적 지점과 연구목적, 방법
      • 3. 외상과 근대
      • 3. 환상과 증상
      • 4, 뉴라이트 진영과 공산주의의 관계
      • 5.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