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 구인자료를 활용하여 구인지수를 개발·분석하는데 있음. 구인지수의 장점은 실업률과 고용률과 같은 지표에 비해 변동성이 크고 명확하다는 점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 구인자료를 활용하여 구인지수를 개발·분석하는데 있음. 구인지수의 장점은 실업률과 고용률과 같은 지표에 비해 변동성이 크고 명확하다는 점을 ...
본고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 구인자료를 활용하여 구인지수를 개발·분석하는데 있음. 구인지수의 장점은 실업률과 고용률과 같은 지표에 비해 변동성이 크고 명확하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구인율의 대리변수로서 인력수급전망의 정확도를 높이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임.
구인자료를 기초로 한국의 구인율을 살펴보면, 외환위기 이후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던 구인율은 2002년 그 변동폭이 커지면서 추세악화의 단계에 접어 듦.
이후 2004년을 기점으로 구인추세가 회복기에 돌입했으나, 2002년부터 2004년까지의 추세악화 속도에 비해 추세회복의 속도가 늦고, 2006년 말 구인지수 변동이 하락하는 점은 2007년도의 구인전망이 다소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 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