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손영모의 『가사집』과 새로운 가사 작품 5편에 대하여 = About Son Young-mo’s Lyrics and 5 New Lyrics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article is a paper that explores and introduces five pieces of lyrics from the early 1910s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author is Son Young-mo, and the collection of lyrics contains <Hunsa>, <Deokdasan Wankyungga>, <Shushimga>, <Tanro>, and <Wanwolga>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f you look at the five pieces of the lyrics, the following is true. <Hunsa> is a kind of lesson lyrics that shows view that the reason and principles of all things in space are adapted to our human beings. It is said that we humans should be careful of what we say and do in everything we do, as we were born thanks to the spirit of everything and the grace of our parents.
      “Deokdasan Wankyungga” is a travel song about the author’s journey to Deokdaesan Mountain near Miryang.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include the road and the gate, it tends to focus on historical events or feng shui perspectives rather than scenery and scenery, and thus internal perspectives on objects are more likely.
      <Shushimga> is a kind of gyubang lyrics that contains the writer’s heart after breaking up with Lim by using a female speaker. Unlike the existing work, Son Young-mo’s “Shushimga” has a feature that captures the sorrowful depth of the poetic self with a lunar song style that sings to the end of the year’s twelve verses.
      “Tan-ro” is a kind of self-praise that regrets and laments the fleeting freedom of life through sanctions against old age and death.
      “Wanwolga” is considered a folk song that embodies all kinds of thoughts while looking at the full moon rising in the garden on the fifteenth day of July when the summer rainy season is ending.
      번역하기

      The main article is a paper that explores and introduces five pieces of lyrics from the early 1910s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author is Son Young-mo, and the collection of lyrics contains <Hunsa>, <Deokdasan Wankyungga>, <Shushimga&...

      The main article is a paper that explores and introduces five pieces of lyrics from the early 1910s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author is Son Young-mo, and the collection of lyrics contains <Hunsa>, <Deokdasan Wankyungga>, <Shushimga>, <Tanro>, and <Wanwolga>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f you look at the five pieces of the lyrics, the following is true. <Hunsa> is a kind of lesson lyrics that shows view that the reason and principles of all things in space are adapted to our human beings. It is said that we humans should be careful of what we say and do in everything we do, as we were born thanks to the spirit of everything and the grace of our parents.
      “Deokdasan Wankyungga” is a travel song about the author’s journey to Deokdaesan Mountain near Miryang.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include the road and the gate, it tends to focus on historical events or feng shui perspectives rather than scenery and scenery, and thus internal perspectives on objects are more likely.
      <Shushimga> is a kind of gyubang lyrics that contains the writer’s heart after breaking up with Lim by using a female speaker. Unlike the existing work, Son Young-mo’s “Shushimga” has a feature that captures the sorrowful depth of the poetic self with a lunar song style that sings to the end of the year’s twelve verses.
      “Tan-ro” is a kind of self-praise that regrets and laments the fleeting freedom of life through sanctions against old age and death.
      “Wanwolga” is considered a folk song that embodies all kinds of thoughts while looking at the full moon rising in the garden on the fifteenth day of July when the summer rainy season is en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기에 나온 손영모의 『가사집』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이다. 손영모의 『가사집』에는 가사 작품인 <훈사(訓辭)라>·<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 歌)>·<슈심가(愁心歌)>·<탄로가(嘆老歌)>·<완월가(玩月歌)>가 순서로 적혀 있었다.
      이들 가사는 <슈심가>에 1916년도에 지었다는 후기를 통해 작품들이 이 시기를 전후로 창작되었던 것으로 유추하였다. 손영모의 가사 작품 5편은 다른 작품과 노래명이겹치기도 하지만 새로운 내용의 작품들이다.
      <훈사(訓辭)라>는 송명 이학의 관점에서 우주 만물의 이치와 원리가 우리 인간에게그대로 조응된다고 보는 교훈가사의 일종이다. 작자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천지 만물의 정기와 부모님의 은덕에 힘입어 태어났는 바, 마음 수양과 언행을 경계하는 가사작품이다.
      <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歌)>는 작자가 밀양 인근에 있는 덕대산을 다녀온 내용을 형상화한 기행가사의 일종이다. 전체적으로 그곳의 경치와 풍경보다는 역사적 사건이나 풍수적 관점에서 내재적으로 대상을 투시하는 경향이 강한 작품이었다.
      <슈심가(愁心歌)>는 작품 끝에 병진년(1916) 5월 25일에 지었다고 유일하게 창작연대를 밝혀놓은 작품이다. 손영모의 <슈심가>는 여성화자를 내세워 임과의 이별 후에 느끼는 상심을 담고 있다. 그런데 그의 <슈심가>는 기존의 작품과 달리, 달거리 노래 형식으로 한해의 열두 절후에 맞춰서 시적 자아의 슬픔에 찬 수심을 담아내는 규방가사의 일종이다.
      <탄로가(嘆老歌)>는 늙음과 죽음을 제재로 덧없는 인생무상을 아쉬워하고 탄식하는 자탄가사의 일종이다.
      <완월가(玩月歌)>는 여름 장마가 끝나가는 7월 보름인 ‘백종일’에 동산에 떠오르는보름달을 바라보면서 온갖 상념을 형상화한 풍류가사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기에 나온 손영모의 『가사집』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이다. 손영모의 『가사집』에는 가사 작품인 <훈사(訓辭)라>·<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 歌)>·<슈�...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기에 나온 손영모의 『가사집』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이다. 손영모의 『가사집』에는 가사 작품인 <훈사(訓辭)라>·<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 歌)>·<슈심가(愁心歌)>·<탄로가(嘆老歌)>·<완월가(玩月歌)>가 순서로 적혀 있었다.
      이들 가사는 <슈심가>에 1916년도에 지었다는 후기를 통해 작품들이 이 시기를 전후로 창작되었던 것으로 유추하였다. 손영모의 가사 작품 5편은 다른 작품과 노래명이겹치기도 하지만 새로운 내용의 작품들이다.
      <훈사(訓辭)라>는 송명 이학의 관점에서 우주 만물의 이치와 원리가 우리 인간에게그대로 조응된다고 보는 교훈가사의 일종이다. 작자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천지 만물의 정기와 부모님의 은덕에 힘입어 태어났는 바, 마음 수양과 언행을 경계하는 가사작품이다.
      <덕산완경가(德大山玩景歌)>는 작자가 밀양 인근에 있는 덕대산을 다녀온 내용을 형상화한 기행가사의 일종이다. 전체적으로 그곳의 경치와 풍경보다는 역사적 사건이나 풍수적 관점에서 내재적으로 대상을 투시하는 경향이 강한 작품이었다.
      <슈심가(愁心歌)>는 작품 끝에 병진년(1916) 5월 25일에 지었다고 유일하게 창작연대를 밝혀놓은 작품이다. 손영모의 <슈심가>는 여성화자를 내세워 임과의 이별 후에 느끼는 상심을 담고 있다. 그런데 그의 <슈심가>는 기존의 작품과 달리, 달거리 노래 형식으로 한해의 열두 절후에 맞춰서 시적 자아의 슬픔에 찬 수심을 담아내는 규방가사의 일종이다.
      <탄로가(嘆老歌)>는 늙음과 죽음을 제재로 덧없는 인생무상을 아쉬워하고 탄식하는 자탄가사의 일종이다.
      <완월가(玩月歌)>는 여름 장마가 끝나가는 7월 보름인 ‘백종일’에 동산에 떠오르는보름달을 바라보면서 온갖 상념을 형상화한 풍류가사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 임동권, "한국세시풍속" 서문당 1999

      3 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집문당 1980

      4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연구사" 이회 1998

      6 구사회, "한국 고전시가의 작품 발굴과 새로 읽기" 보고사 2014

      7 "출야의 완월가라, 추야완월가화답가"

      8 김성배, "주해가사문학전집" 정연사 1961

      9 이상보, "이조가사정선" 정연사 1970

      10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전집(1-50권)" 아세아문화사 1998

      1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 임동권, "한국세시풍속" 서문당 1999

      3 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집문당 1980

      4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연구사" 이회 1998

      6 구사회, "한국 고전시가의 작품 발굴과 새로 읽기" 보고사 2014

      7 "출야의 완월가라, 추야완월가화답가"

      8 김성배, "주해가사문학전집" 정연사 1961

      9 이상보, "이조가사정선" 정연사 1970

      10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전집(1-50권)" 아세아문화사 1998

      11 이용기, "수심가㉠,㉡" 1992

      12 "수심가(一,二), 여끔수심가" 한국가사문학관소장

      13 박성의, "송강가사" 정음사 1961

      14 권영철, "동학가사(Ⅰ,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5 권영철, "규방가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6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2

      17 "경북 내방가사2" 북코리아 87-101,

      18 고정옥, "가사집" 평양국립출판사 1955

      19 정렬모, "가사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4

      20 이상보, "18세기 가사선집" 민속원 1991

      21 이상보, "17세기 가사선집" 교학연구사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