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의 평론가 김우정론 = Kim Woo-jung Theory, a critic of the 19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literary achievements as a critic centering literary life and artworks of Woo-jung Kim in 1960s who has not been spotlighted in Korean literary criticism history.Woo-jung Kim's literary career began at the literary section of the Mokpo Public Commercial Middle School to be a poet, and he published the collection of poems, 『A poem in hell and sun』 in 1958 without going on the platform. He was formally trained to be a poet and wanted to be a true poetic creator by going on the platform with 「Conversation」. He realized to be a critic as the finding the reason for causeless thing by the selection o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of <Chosunilbo> in 1962 after several tries o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s after became a poet.
      Woo-jung Kim was a critic not belonging to literature field described centering 『Literature and Intelligence』 and 『Creation and Criticism』 centering 『Prose Era』 in 1960s. So, he was alienated in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ry criticism because he worked at the outside of dynamic composition such as literary genealogy, literary power or symbolic struggle. There is need for historical literary historical approach to the dynamic composition in case of Woo-jung Kim. The evaluation for the achievements of the writers not involved in the dynamic relationship or genealogical system can not be neglected though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ctually all writers and artworks can not be the target for research. It is because he leaved not a little achievements as a critic sincerely by implementing literary role as a literary critic as a 4.19 generation in 1960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literary achievements as a critic centering literary life and artworks of Woo-jung Kim in 1960s who has not been spotlighted in Korean literary criticism history.Woo-jung Kim's literary career began at the literary secti...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literary achievements as a critic centering literary life and artworks of Woo-jung Kim in 1960s who has not been spotlighted in Korean literary criticism history.Woo-jung Kim's literary career began at the literary section of the Mokpo Public Commercial Middle School to be a poet, and he published the collection of poems, 『A poem in hell and sun』 in 1958 without going on the platform. He was formally trained to be a poet and wanted to be a true poetic creator by going on the platform with 「Conversation」. He realized to be a critic as the finding the reason for causeless thing by the selection o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of <Chosunilbo> in 1962 after several tries o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s after became a poet.
      Woo-jung Kim was a critic not belonging to literature field described centering 『Literature and Intelligence』 and 『Creation and Criticism』 centering 『Prose Era』 in 1960s. So, he was alienated in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ry criticism because he worked at the outside of dynamic composition such as literary genealogy, literary power or symbolic struggle. There is need for historical literary historical approach to the dynamic composition in case of Woo-jung Kim. The evaluation for the achievements of the writers not involved in the dynamic relationship or genealogical system can not be neglected though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ctually all writers and artworks can not be the target for research. It is because he leaved not a little achievements as a critic sincerely by implementing literary role as a literary critic as a 4.19 generation in 196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문학평론사에 소환되거나 호출된 적이 없었던 1960년대 평론가 김우정의 문학적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평론가로서의 문학적 성과를 밝힌 것이다. 김우정은 1958년에 시집 『지옥과 태양의 시』를 내면서 시인으로 활동했다. 진실의 시적 창조자이고자 했던 그는, 신석정의 추천을 받은 「대화」로 『자유문학』을 통해 다시등단했으나 시인이 된 뒤에 평론가로 선회하였다. 여러 차례에 걸쳐 신춘문예에 도전한 끝에 196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됨으로써 평론가-되기를 실현하였다. 그는 1960년대의 『현대문학』의 주요 필진으로 활동했으나 문학 권력과는 거리가 있었고 『산문시대』를 중심으로 한 『문학과지성』,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서술했던 문학장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평론가였다. 그래서 문학 계보학이나 문학 권력, 상징투쟁 같은 역학 구도 바깥에 활동함에 따라 평론문학의 사적 전개에서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김우정의 경우를 보면 모든 작가와 작품이 연구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더라고 역학 관계나 계보학적 체계에 속하지 않았던 작가들의 업적들에 대한 평가는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4.19세대의 문학비평가로 문학적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함으로써 평론가로서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기때문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문학평론사에 소환되거나 호출된 적이 없었던 1960년대 평론가 김우정의 문학적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평론가로서의 문학적 성과를 밝힌 것이다. 김우정은 1958년에 시집 『...

      본 연구는 한국문학평론사에 소환되거나 호출된 적이 없었던 1960년대 평론가 김우정의 문학적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평론가로서의 문학적 성과를 밝힌 것이다. 김우정은 1958년에 시집 『지옥과 태양의 시』를 내면서 시인으로 활동했다. 진실의 시적 창조자이고자 했던 그는, 신석정의 추천을 받은 「대화」로 『자유문학』을 통해 다시등단했으나 시인이 된 뒤에 평론가로 선회하였다. 여러 차례에 걸쳐 신춘문예에 도전한 끝에 196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됨으로써 평론가-되기를 실현하였다. 그는 1960년대의 『현대문학』의 주요 필진으로 활동했으나 문학 권력과는 거리가 있었고 『산문시대』를 중심으로 한 『문학과지성』,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서술했던 문학장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평론가였다. 그래서 문학 계보학이나 문학 권력, 상징투쟁 같은 역학 구도 바깥에 활동함에 따라 평론문학의 사적 전개에서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김우정의 경우를 보면 모든 작가와 작품이 연구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더라고 역학 관계나 계보학적 체계에 속하지 않았던 작가들의 업적들에 대한 평가는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4.19세대의 문학비평가로 문학적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함으로써 평론가로서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기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우정, "현대시의 변모"

      2 김우정, "한국에 서사시는 가능한가"

      3 김우정, "태풍기와 불안의 시선"

      4 김우정, "태양과 지옥의 시" 항도출판사 1958

      5 김우정, "작가와 독자"

      6 김우정, "문학인의 자세"

      7 목포100년의 문학 발간추진위원회, "목포100년의 문학"

      8 김광림, "69년 상반기 시단평 -풍성한 「양」 알찬 「질」"

      9 강소연, "1960년대 비평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 김우정, "현대시의 변모"

      2 김우정, "한국에 서사시는 가능한가"

      3 김우정, "태풍기와 불안의 시선"

      4 김우정, "태양과 지옥의 시" 항도출판사 1958

      5 김우정, "작가와 독자"

      6 김우정, "문학인의 자세"

      7 목포100년의 문학 발간추진위원회, "목포100년의 문학"

      8 김광림, "69년 상반기 시단평 -풍성한 「양」 알찬 「질」"

      9 강소연, "1960년대 비평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