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가사집의 생성과 유통에 관한 연구 1 -가사육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사육종이라는 가사집의 원본을 발굴 · 소개하고 이에 대한 자료 정리와 연구를 병행하여 가사육종이라는 단행본을 출간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2년이라는 기간을 설정하고 단계적이고 순차적으로 접근하였다.
      1년차에는 ① 가사육종의 원전 발굴, ② 전사본 및 재전사본의 수집 · 정리, ③ 가사육종의 원본 발굴 및 전사 경로에 대한 연구 등을 과제로 설정하고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1차로 학술대회 발표(한민족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 2010년 11월 6일)를 통해 검증받은 뒤 학회지(󰡔한민족어문학󰡕 제57집, 한민족어문학회, 2010년 12월 30일 발행)에 논문을 투고하여 게재하였다.
      2년차에서는 1년차 연구를 바탕으로 ① 가사육종에 수록된 작품 연구, ② 단행본 가사육종(주해서) 발간을 목표로 삼았다. 작품 연구의 성과는 단행본의 서두에 붙이게 될 해제로 활용될 예정이다. 단행본 가사육종(주해서)은 해제 ․ 주석 ․ 원전 영인의 3부로 구성될 예정인데, 이 중 해제와 원전 영인을 위한 준비는 완료되었으나 주석의 경우 현재 약 60% 정도가 진척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작업에 박차를 가해 6개월 후에 작업을 완료하고 출판 과정을 진행하려 한다.
      가사육종은 그 동안 원전의 소재가 불명한 상태였기 때문에 비록 전사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가사집 자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가사 연구자들조차 이 가사집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제 이 연구로 인해 가사육종의 원전이 발굴되었고 나아가 도서관에 가지 않고도 충분한 연구가 가능한 주해서가 발간될 예정이므로 학문적 파급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가사 연구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해석과 해설 작업이 완료된 결과물은 누구라도 손쉽게 작품에 접근할 수 있어 작품을 개방하고, 독자를 대중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작품에 대한 개방화와 대중화는 곧바로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특히 가사육종에 수록된 작품 중에는 <농가월령가>와 같이 중등 과정의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도 있기 때문에 주해서가 발간되면 교육적인 차원에서 상당히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가사육종이라는 가사집의 원본을 발굴 · 소개하고 이에 대한 자료 정리와 연구를 병행하여 가사육종이라는 단행본을 출간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2년이라�...

      이 연구는 가사육종이라는 가사집의 원본을 발굴 · 소개하고 이에 대한 자료 정리와 연구를 병행하여 가사육종이라는 단행본을 출간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2년이라는 기간을 설정하고 단계적이고 순차적으로 접근하였다.
      1년차에는 ① 가사육종의 원전 발굴, ② 전사본 및 재전사본의 수집 · 정리, ③ 가사육종의 원본 발굴 및 전사 경로에 대한 연구 등을 과제로 설정하고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1차로 학술대회 발표(한민족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 2010년 11월 6일)를 통해 검증받은 뒤 학회지(󰡔한민족어문학󰡕 제57집, 한민족어문학회, 2010년 12월 30일 발행)에 논문을 투고하여 게재하였다.
      2년차에서는 1년차 연구를 바탕으로 ① 가사육종에 수록된 작품 연구, ② 단행본 가사육종(주해서) 발간을 목표로 삼았다. 작품 연구의 성과는 단행본의 서두에 붙이게 될 해제로 활용될 예정이다. 단행본 가사육종(주해서)은 해제 ․ 주석 ․ 원전 영인의 3부로 구성될 예정인데, 이 중 해제와 원전 영인을 위한 준비는 완료되었으나 주석의 경우 현재 약 60% 정도가 진척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작업에 박차를 가해 6개월 후에 작업을 완료하고 출판 과정을 진행하려 한다.
      가사육종은 그 동안 원전의 소재가 불명한 상태였기 때문에 비록 전사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가사집 자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가사 연구자들조차 이 가사집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제 이 연구로 인해 가사육종의 원전이 발굴되었고 나아가 도서관에 가지 않고도 충분한 연구가 가능한 주해서가 발간될 예정이므로 학문적 파급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가사 연구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해석과 해설 작업이 완료된 결과물은 누구라도 손쉽게 작품에 접근할 수 있어 작품을 개방하고, 독자를 대중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작품에 대한 개방화와 대중화는 곧바로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특히 가사육종에 수록된 작품 중에는 <농가월령가>와 같이 중등 과정의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도 있기 때문에 주해서가 발간되면 교육적인 차원에서 상당히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to academia and examined the circulation of Gasa, the narrative poem, and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Gasa in the late Joseon era.
      Until recently, only copies of Gasayukjong had been discovered without anything known about the whereabouts of the original version. Then the recent discovery of the original version of Gogeumgagok led the researcher to think that a hand-written collection of works of Gasa titled Okruyeonga housed at Seoreung divis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n Tokyo might be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Therefore, the researcher acquired and examined related data with reference to the introduction written by Maema Gyosaku(1868~1942) in 1928 and identified Okruyeonga owned by Asami Rintaro(1869~1943) as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Gasayukjong contains six narrative poems, which were handwritten through three rounds. In the first round, <Okruyeonga> and <Nonggawollyeongga>, long narrative poems for reciting created by literati called Sadaebu, were written by hand. In the second round, <Chunmyeongok>, <Gangchonbyeolgok> and <Eobusa> were written by hand. These works were initially enjoyed among Sadaebu but, after the 18th century, they became representative narrative poems for singing and gained popularity among people in Seoul. In the third round, <Noinga)> was handwritten. The poem was created by middle class people at adult entertainment places in Seoul. These six poems show that as the work to handwrite the poems progressed, the poems gradually turned from ideal discourse for Sadaebu into practical discourse enjoyed by the middle class.
      번역하기

      This study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to academia and examined the circulation of Gasa, the narrative poem, and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Gasa in the late Joseon era. Until recently, only copies of Ga...

      This study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to academia and examined the circulation of Gasa, the narrative poem, and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Gasa in the late Joseon era.
      Until recently, only copies of Gasayukjong had been discovered without anything known about the whereabouts of the original version. Then the recent discovery of the original version of Gogeumgagok led the researcher to think that a hand-written collection of works of Gasa titled Okruyeonga housed at Seoreung divis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n Tokyo might be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Therefore, the researcher acquired and examined related data with reference to the introduction written by Maema Gyosaku(1868~1942) in 1928 and identified Okruyeonga owned by Asami Rintaro(1869~1943) as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Gasayukjong contains six narrative poems, which were handwritten through three rounds. In the first round, <Okruyeonga> and <Nonggawollyeongga>, long narrative poems for reciting created by literati called Sadaebu, were written by hand. In the second round, <Chunmyeongok>, <Gangchonbyeolgok> and <Eobusa> were written by hand. These works were initially enjoyed among Sadaebu but, after the 18th century, they became representative narrative poems for singing and gained popularity among people in Seoul. In the third round, <Noinga)> was handwritten. The poem was created by middle class people at adult entertainment places in Seoul. These six poems show that as the work to handwrite the poems progressed, the poems gradually turned from ideal discourse for Sadaebu into practical discourse enjoyed by the middle cla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