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增類合 통용자 고찰 = A Study of Interchangeable Character in SinjeungYuhap(新增類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0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jeungYuhap(新增類合)”is a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the Joseon period.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Therefore, this text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period. ...

      “SinjeungYuhap(新增類合)”is a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the Joseon period.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Therefore, this text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book “SinjeungYuhap(新增類合)” and 109 group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second part mainly analyzes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and classifies them. The third part main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last is the conclusion. Through analysis,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can be divided into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in which the variant characters predominates. The title characters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Most of the title characters belong to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but there are exceptions. We estimate that the titl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opular characters, the phonetic loan characters, and the mother characters are more commonly used at the time than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so they are selected as the title charac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新增類合에서 제시한 109개의 통용자를 대상으로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은 서론,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 표제자와 통용자의 특징, 결론 네 개의 부분...

      이 논문은 新增類合에서 제시한 109개의 통용자를 대상으로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은 서론,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 표제자와 통용자의 특징, 결론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新增類合의 표제자와 통용자는 이체 관계, 가차관계, 분화 관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이체 관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정자와 속자, 본자와 가차자, 모자와 분화자의 관점에서 표제자와 통용자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표제자는 정자, 본자, 분화자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셋째 표제자가 속자, 가차자, 모자인 경우는 新增類合 당시에 이 글자들이 정자, 본자, 분화자에 비해 더 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실, "조선시대 4종 문자교육용 교재의 표제자 선정 기준 고찰" 중국연구소 71 : 89-110, 2017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정연실, "국내 몽학(蒙學) 교재 연구 - 자종(字種)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연구소 67 : 25-47, 2016

      4 "異體字字典"

      5 徐中舒, "甲骨文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89

      6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新增類合"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2

      7 裘錫圭, "文字學概要" 商務印書館 1990

      8 易志文, "『說文解字⋅虫部』字的意义体系(一)" (4) : 2007

      9 王暉, "‘虫’ ‘蟲’字初義與意符 ‘虫’旁類屬範疇演變考" 41 (41): 2012

      1 정연실, "조선시대 4종 문자교육용 교재의 표제자 선정 기준 고찰" 중국연구소 71 : 89-110, 2017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정연실, "국내 몽학(蒙學) 교재 연구 - 자종(字種)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연구소 67 : 25-47, 2016

      4 "異體字字典"

      5 徐中舒, "甲骨文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89

      6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新增類合"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2

      7 裘錫圭, "文字學概要" 商務印書館 1990

      8 易志文, "『說文解字⋅虫部』字的意义体系(一)" (4) : 2007

      9 王暉, "‘虫’ ‘蟲’字初義與意符 ‘虫’旁類屬範疇演變考" 41 (4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6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