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Way to Verify Effectiveness in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3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agnosis is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going forward to the next process for teaching. A diagnos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a solid precondition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In national curriculum, the moral education has been highly requested as leading subject. However in moral education, there has been not enough to diagnose and show effectiveness of it.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method how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oral education. And this study provides procedures for teachers to easily verify the effects of moral education as follows: (1)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2)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and selection of measurement tools, and (3)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easurement of it.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data on the effectiveness in moral lesson would ultimately be contributed to get the self-sufficiency of moral education. The specification of moral competence as a factor to be measured could be contributed to achieve the consist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moral education.
      번역하기

      Diagnosis is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going forward to the next process for teaching. A diagnos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a solid precondition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In national curriculum, the moral ...

      Diagnosis is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going forward to the next process for teaching. A diagnos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a solid precondition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In national curriculum, the moral education has been highly requested as leading subject. However in moral education, there has been not enough to diagnose and show effectiveness of it.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method how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oral education. And this study provides procedures for teachers to easily verify the effects of moral education as follows: (1)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2)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and selection of measurement tools, and (3)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easurement of it.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data on the effectiveness in moral lesson would ultimately be contributed to get the self-sufficiency of moral education. The specification of moral competence as a factor to be measured could be contributed to achieve the consist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mora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진단은 발전의 초석이다. 공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진단하는 작업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굳건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도덕 교과는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당위적 위상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그 효과를 진단하려는 노력이 다소 부족했다. 이 연구는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현장의 도덕 교사들이 도덕 수업의 효과를 손쉽게 검증해 볼 수 있는 절차를 ①도덕과 성취기준 분석, ②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측정 도구 선정, ③측정 및 결과 분석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도덕 수업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도덕과 교육의 자족성을 갖추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자족성을 갖추지 못한 현 상태를 전제로 출발한 한계점이 있는데, 측정해야 할 요소인 도덕적 역량이 구체화된다면 수미일관된 도덕과 교육의 효율적 작동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진단은 발전의 초석이다. 공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진단하는 작업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굳건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도덕 교과는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당위적 위상이 ...

      진단은 발전의 초석이다. 공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진단하는 작업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굳건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도덕 교과는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당위적 위상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그 효과를 진단하려는 노력이 다소 부족했다. 이 연구는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현장의 도덕 교사들이 도덕 수업의 효과를 손쉽게 검증해 볼 수 있는 절차를 ①도덕과 성취기준 분석, ②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측정 도구 선정, ③측정 및 결과 분석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도덕 수업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도덕과 교육의 자족성을 갖추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자족성을 갖추지 못한 현 상태를 전제로 출발한 한계점이 있는데, 측정해야 할 요소인 도덕적 역량이 구체화된다면 수미일관된 도덕과 교육의 효율적 작동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개정 및 재표준화" 집문당 2011

      2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0 (20): 225-241, 1999

      3 박균열, "중등 도덕과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 통일연구원 25 (25): 51-88, 2016

      4 이인태, "성취기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설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9) : 29-56, 2018

      5 김윤경,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교육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1) : 53-81, 2018

      6 박균열, "도덕적 판단력 도구 MJT의 한국적 표준화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9-275, 2014

      7 이인태,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들의 특징과 활용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0) : 1-27, 2016

      8 박균열,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의 구성원리를 활용한 통일 · 안보의식측정도구 개발 기초 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67-92, 2017

      9 Lind, G.,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 양서각 2017

      10 이인태,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3) : 81-110, 2019

      1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개정 및 재표준화" 집문당 2011

      2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0 (20): 225-241, 1999

      3 박균열, "중등 도덕과에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 통일연구원 25 (25): 51-88, 2016

      4 이인태, "성취기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덕과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설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9) : 29-56, 2018

      5 김윤경,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교육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1) : 53-81, 2018

      6 박균열, "도덕적 판단력 도구 MJT의 한국적 표준화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9-275, 2014

      7 이인태, "도덕적 정체성 측정 도구들의 특징과 활용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0) : 1-27, 2016

      8 박균열,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의 구성원리를 활용한 통일 · 안보의식측정도구 개발 기초 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67-92, 2017

      9 Lind, G.,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 양서각 2017

      10 이인태,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3) : 81-110, 2019

      1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2 박균열, "도덕 판단력 측정도구 MJT의 특징과 활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3) : 125-162, 2006

      13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 중학교 도덕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2016

      1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 초등학교 3~4학년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