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Student′s Engagement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in Online and Offline Lec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33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및 2020년 G도 소재 대학생 중에서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

      본 연구는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및 2020년 G도 소재 대학생 중에서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학습, 대학환경에 대한 학습참여를 분석하였다.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450명, 온라인 학습환경은 454명으로, 총 904명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번을 기준으로 2019년과 2020년에 응답한 대상을 추출하여 총 66명의 동일대상을 확보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t-test,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별 학습참여에서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3학년, 1학년, 2학년, 4학년 순으로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체능, 공학, 인문사회 계열 순으로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 배경 변인별 평균 비교 결과, 성별에서는 학습환경에 상관없이 남녀가 비슷하게 나왔다. 반면 학년에서는 오프라인의 경우 4학년에 비해 1학년, 2학년, 3학년이 비슷하게 높았지만, 온라인의 경우 학년 구분 없이 비슷하게 나왔다. 계열에서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학습환경 모두 예체능 계열이 높게 나왔다. 이에 따라 실습 과목 비율이 높은 계열일수록 학습참여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비교해봤을 때, 이질집단의 경우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지만 학업도전의 반성적 학습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이 오프라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동일집단은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학습참여의 하위요인인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경험, 대학환경 모두 온라인 대비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학습환경일 때 더 높게 나타나는 이질집단의 결과는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따라 성취도가 결정되는 온라인 학습환경의 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하지만 동일 집단의 학습환경에 따른 학습참여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오프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참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일 대상으로 학습환경과 학생 배경 변인(성별, 학년, 계열)의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환경과 학생 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의 상호작용은 없지만, 학습환경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온라인 학습환경 교육의 운영 및 질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를 구축 및 운영해야 하며,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교수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법 제공 등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s on university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For this, various factors such as academic year, gender,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s with faculty, or engagement in university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s on university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For this, various factors such as academic year, gender,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s with faculty, or engagement in university environments were analyzed. A total of 904 university students (450,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454,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rom the G-province-located universitie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in 2019 and 2020.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K-NSSE)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year, and a total of 66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using IBM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by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division. It was found that ‘junior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freshmen’, ‘sophomores’, and ‘seniors’. In terms of the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by online environ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year. The division of ‘art & physical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found regardless of learning environments.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seniors’ but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t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academic years. In this study, the students in the division of ‘art & physical education’ or the training-based classes were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both in online and in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a heterogeneous group was compared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as higher tha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terms of the engagement of learning according to sub-factors such as the reflec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the online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a homogeneous group, the offline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regardless of sub-factors such as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s with professors, or learning environments.
      Third, the results of a two-way ANOVA showed that no interac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s and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e.g., gender, academic year, and academic division) was foun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s may affect the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learning.
      For the active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learning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the oper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o enhance faculty-student interaction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eaching competen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5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대학에서의 학습참여 7
      • 가. 개념 및 진단 도구 7
      • 나. 학습참여의 하위요인 9
      • 2. 학습환경 11
      • 가. 오프라인 학습환경 11
      • 나. 온라인 학습환경 12
      • Ⅲ. 연구 방법 15
      • 1. 연구대상 15
      • 2. 연구 변인 및 측정 도구 17
      • 3. 분석 방법 23
      • Ⅳ. 연구 결과 24
      •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5
      • 2. 오프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생배경변인에 따른 학습참여의 차이 분석 32
      • 3.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생배경변인에 따른 학습참여의 차이 분석 38
      • 4. 학습환경에 따른 학습참여 차이(이질집단) 45
      • 5. 학습환경에 따른 학습참여 차이(동일집단) 48
      • Ⅴ. 논의 및 결론 57
      • 1. 논의 57
      • 2. 결론 및 제언 63
      • 참고문헌 67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