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이주배경청소년의 교육특성
- 2.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준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2 고남정, "학교 재학과 학교 밖 기관 이용 여부가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2 (22): 271-289, 2016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2018
4 강희경,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59-269, 2019
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2018
6 정윤경,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23, 2017
7 한세리, "사회자본과 학업성취도 향상: 가정과 학교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157-182, 2018
8 교육부,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2021
9 김민정,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 비교 연구 - 경기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265-291, 2014
10 박명희,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27-54, 2017
1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2 고남정, "학교 재학과 학교 밖 기관 이용 여부가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2 (22): 271-289, 2016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2018
4 강희경,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59-269, 2019
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2018
6 정윤경,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23, 2017
7 한세리, "사회자본과 학업성취도 향상: 가정과 학교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157-182, 2018
8 교육부,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2021
9 김민정,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 비교 연구 - 경기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265-291, 2014
10 박명희,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27-54, 2017
11 오성배, "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와 영향 요인 탐색" 교육연구원 38 (38): 215-234, 2018
12 아영아, "다문화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77-100, 2013
13 박승민, "다문화 가정 학업우수 청소년의 학습역량 촉진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121-148, 2013
14 김영란,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우수학력 집단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155-181, 2015
15 연은모,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진로관련행동, 진로장벽인식 간 관계: 자녀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1-140, 2019
16 배병렬,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7
17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5-120, 1988
18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2019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의 국제적 연구동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 연구자, 교사,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소수민족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교차문화아이들(Cross Cuture Kids)의 문화변용에 따른 적응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