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 연구자, 교사,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3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적, 내용, 방법
      • III. 연구 방법
      • 1. 델파이 조사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적, 내용, 방법
      • III. 연구 방법
      • 1. 델파이 조사
      • 2. 설문조사
      • IV. 연구 결과
      • 1. 연구자 및 교사의 다문화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
      • 2. 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
      • 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라미,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과학연구소 49 (49): 59-88, 2018

      2 김기영,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9 (9): 371-393, 2017

      3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5 황갑진,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51-167, 2011

      6 김인,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지향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42, 2009

      7 구정화,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 및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내용 분석 -다문화 현상의 묘사를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2 (12): 1-24, 2019

      8 김정원, "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1 (1): 135-157, 2010

      9 임선일, "초·중등학교 다문화감수성교육의 한계와 다양화 방안 모색"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 (8): 173-202, 2019

      10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1 우라미,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과학연구소 49 (49): 59-88, 2018

      2 김기영,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9 (9): 371-393, 2017

      3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5 황갑진,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51-167, 2011

      6 김인,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지향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42, 2009

      7 구정화,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 및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내용 분석 -다문화 현상의 묘사를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2 (12): 1-24, 2019

      8 김정원, "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1 (1): 135-157, 2010

      9 임선일, "초·중등학교 다문화감수성교육의 한계와 다양화 방안 모색"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 (8): 173-202, 2019

      10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11 김동진,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1-26, 2019

      12 김미진,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21-45, 2019

      13 이기용,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82-111, 2015

      14 문정원, "유아교사 상호문화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71-298, 2020

      15 류윤석, "유아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교육적 지향점" 한독교육학회 15 (15): 27-44, 2010

      16 모경환,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연구소 17 (17): 261-290, 2011

      17 은지용,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인권 교육의 실태 및 과제" 교육연구소 24 (24): 7-31, 2018

      18 전영은,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연구 : 한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425-452, 2020

      19 장인실, "다문화학생 밀집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에 관한 연구: 학교 혁신의 관점에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79-101, 2019

      20 한현우, "다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63-81, 2011

      21 안병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55-177, 2009

      22 Sleeter, C.,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23 최충옥, "다문화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0

      24 Bennett, C.,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25 Banks, J.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16

      26 모경환,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5-270, 2009

      27 박영진,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2010-2020) 분석연구: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에 근거하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3 (13): 111-134, 2020

      28 Ladson-Billings, G., "The dreamkeepers: Successful teachers of African American children" Jossey-Bass 1994

      29 Aronson, E., "Social Psychology" PEARSON 2015

      30 Chen, G. 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 A synthesis" 19 (19): 353-383, 1996

      31 Ladson-Billings, G.,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2.0: a.k.a. the remix" 84 (84): 74-84, 2014

      32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563-575, 1976

      33 교육부,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교육부 2021

      34 법무부, "2019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35 행정안전부,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안전부 2019

      36 김이선, "2018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성가족부 2018

      37 안상수, "2015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성가족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