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와 성과의 관계 탐색 = Search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Health Care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5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의 제도적 배열과 성과 사이의 가능한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각국의 정부가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을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당사자들의 협력 및 계...

      본 논문은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의 제도적 배열과 성과 사이의 가능한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각국의 정부가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을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당사자들의 협력 및 계약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조정하는지, 즉 제도적 배열이 어떠한지에 따라서 보건의료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분석하였다.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히는 미국 영국 독일 한국을 선정하고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OECD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제도적 배열은 재정 서비스공급 규제의 차원으로 나눠 하위지표를 구성하였고 성과 측면은 효과성, 효율성, 형평성으로 나누어 그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효과성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국이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측면에서는 한국, 형평성 측면에서는 영국과 독일이 상대적으로 높고 미국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특정 전달체계의 포괄적 우월성을 주장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별 제도의 성과적 특성을 볼 때 최근 한국에서도 도입이 논의되는 문지기 제도는 보건의료서비스의 효과성과 형평성을 제고하지만 효율성은 낮출 수 있다고 추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서비스 공급의 제도적 배열 양태가 다양한 성과 차원과 연결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서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arrangement, -including financing, services, and regulation, and its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This study researches well-known types of health care systems- 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arrangement, -including financing, services, and regulation, and its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This study researches well-known types of health care systems- NHS, SHI, NHI, and Liberal system and compares the health care system`s institutional arrangement, with a focus on those health care systems in the U.S, D.K, Germany, and Korea, since these countrie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each model In previous studies, health spending, infant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were used to measure the health care system`s performance. However these measurements are not sufficient to comprehensively evaluate health care performance because these variables measure only specific aspects of output. So we measured the health care system performance by not only just considering the quantitative variables but also focusing on the qualitative aspects using the OECD data. From the results there is no one-size-fits-all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performance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needs to be studied based on the context. Also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health care serv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명훈, "한국 의사의 사회적 권위와 신뢰 : 의료의 문화사회학" 몸과 마음 2002

      2 이재율, "한국 의료제도의 현실과 개선방향" 19 (19): 63-79, 2000

      3 OECD, "한국 의료의 질 검토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4 이상이, "한국 보건의료체계의 진단과 과제" 한국보건사회학회 12 : 115-156, 2002

      5 OECD, "지속가능한 의료시스템을 찾아서: OECD 보건의료시스템-효율성과 정책세팅"

      6 장원기, "일차의료전달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7 윤석준, "의료체계의 패러다임 변화 : 진료중심에서 건강관리체계를 중심으로" 2011

      8 장동민,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형평 분석" 6 : 110-143, 1996

      9 최병호,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성과 평가: OECD Health Data를 중심으로" 77 : 83-95, 2003

      10 오영호,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의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 25 (25): 38-71, 2005

      1 성명훈, "한국 의사의 사회적 권위와 신뢰 : 의료의 문화사회학" 몸과 마음 2002

      2 이재율, "한국 의료제도의 현실과 개선방향" 19 (19): 63-79, 2000

      3 OECD, "한국 의료의 질 검토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4 이상이, "한국 보건의료체계의 진단과 과제" 한국보건사회학회 12 : 115-156, 2002

      5 OECD, "지속가능한 의료시스템을 찾아서: OECD 보건의료시스템-효율성과 정책세팅"

      6 장원기, "일차의료전달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7 윤석준, "의료체계의 패러다임 변화 : 진료중심에서 건강관리체계를 중심으로" 2011

      8 장동민,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형평 분석" 6 : 110-143, 1996

      9 최병호,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성과 평가: OECD Health Data를 중심으로" 77 : 83-95, 2003

      10 오영호,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의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 25 (25): 38-71, 2005

      11 윤석준, "복지논쟁시대의 보건정책" 범문에듀케이션 2011

      12 이상일, "복지국가 의료개혁의 보건 관련 성과와 의료 탈상품화의 정치 - 영국, 미국, 스웨덴, 이탈리아의 의료개혁 비교연구" 한국사회학회 43 (43): 275-310, 2009

      13 정영호, "보건의료부문 거버넌스 적용 및 필요성" 2007

      14 신영석,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의료급여제도의 내실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5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 대비 주치의 제도 도입 검토"

      16 European Commission, "and Long-term Care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17 Bambra, Clare. (2005), "Worlds of Welfare and the Health Care Discrepancy" 4 (4): 31-41, 2005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Statistics"

      19 Powell, Martin, "Understanding the Mixed Economy of Welfare, In 복지 혼합" The Policy Press and the Social Policy Association 2007

      20 Eaton, D., "Understanding institutional arrangements: Fresh Fruits and Vegetable value chains in East Africa. Markets, Chai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and Policy Paper, no.XX" Stichting DLO

      21 OECD, "Towards High-Performing Health Systems"

      22 Nixon, J.,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expenditure and health outcomes-evidence and caveats for a casual link" 7 (7): 7-19, 2006

      23 Salter, S., "The New Politics of Medicine" Palgrave Macmillan 2004

      24 Williamson, O. E,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 Taking Stock, Looking Ahead" 38 (38): 595-, 2000

      25 Lee, Sang-Yi,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one type of new typology: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aiwan" ELSEVIER IRELAND LTD 85 : 105-113, 2008

      26 Komajda, M., "The EuroHeart Failure Survey Programme: A Survey on the Quality of Care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Europe. Part 2: Treatment" 24 (24): 464-474, 2003

      27 Afonso, A., "Relative Efficiency of Health Provision: a DEA Approach with Non-discretionary Inputs" ISEG-UTL Economics Working Paper 2006

      28 Berger, M., "Public financing of health expenditure insurance, and Health outcome" 34 (34): 2105-2113, 2002

      29 Savas, E. S., "Privatization: the Key to Better Government" Chatham House Publishers 1997

      30 Burchardt, T., "Private Welfare and Public Policy" Joseph Rowntree Foundation 1999

      31 Starfield, B., "Primary Care: Balancing Health needs, Services and Tech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2 Navarro, V., "Politics and Health Outcome" 368 : 1033-1037, 2006

      33 OECD, "OECD 보건정책 연구: 보건의료의 가치 증진: 질 측정"

      34 OECD, "OECD Survey on Health System Characteristics 2008-2009"

      35 OECD,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Data"

      36 Starfield, B., "Is primary care essential?" 344 (344): 1129-1133, 1994

      37 North, D. C.,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8 Hills, J., "Inequality and th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9 Kydd, J., "Implications of Market and Coordination Failures for Rural Development in Least Developed Countries" 16 (16): 951-970, 2004

      40 Elola, J., "Health indicators and the organization of health care systems in Western Europe" 85 (85): 1397-1401, 1995

      41 Crémieux, P. Y., "Health care spending as determinants of health outcomes" 8 : 627-639, 1999

      42 Soares, R. R., "Health and the evolution of welfare across Brazilian municipalities" 84 : 590-608, 2007

      43 Seán Boyle., "Health Systems in Transition in UK"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2011

      44 Reinhard Busse, "Health Systems in Transition in Germany"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 2004

      45 Chun, Chang Bae, "Health Systems in Transitio in Korea"

      46 Paris, V, "Health System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 Survey of 29 OECD Countries" OECD Health 2010

      47 Phelps, Charles., "Health Economics, 4th edition" Addison-Wesley 2010

      48 AHRQ., "Guide to Prevention Quality Indicators: Hospital Admissions for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49 Filmer, D., "Child mortality and public spending on health: how much does money matter?" The World Bank 1997

      50 Burchardt, T.,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Welfare. CASE paper 2" London School of Economics 1997

      51 Myers, B., "A Guide to Medical Care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inciples" American Public Association 1965

      52 정형선, "2009년 국민의료비 및 국민보건계정"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2011

      53 AHRQ., "2007 National Healthcare Quality Report"

      54 김보린, "1차 의료 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 517-522, 2005

      55 신영전, "'의료민영화' 정책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역사적 맥락과 전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29) : 45-9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11 1.24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