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이동 운동에 있어서 관심의 대상은 이용자들이 휠체어를 자립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휠체어 이용자들은 휠체어에서 일반 사무용 의자나 침대 등으로 이동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81575
1994
Korean
692
KCI등재
학술저널
159-16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휠체어 이동 운동에 있어서 관심의 대상은 이용자들이 휠체어를 자립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휠체어 이용자들은 휠체어에서 일반 사무용 의자나 침대 등으로 이동 ...
휠체어 이동 운동에 있어서 관심의 대상은 이용자들이 휠체어를 자립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휠체어 이용자들은 휠체어에서 일반 사무용 의자나 침대 등으로 이동 운동을 하여야 한다.이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 이동 운동(휠체어로부터 다른 물체로 이동)시 발생되는 지면반력과 근육활동의 형태를 분석하고, 선택된 높이 조건에 따른 지면반력과 근육활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6명의 남자 대학생 피험자들이 3개의 높이 조건(40cm, 50cm, 60cm높이)에 따른 이동 운동시 발생하는 지면반력과 근육(상완 이두근. 상완 삼두근, 전-삼각근, 후-삼각근)활동의 변화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원되어졌다. 지면반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포스 플렛폼이, 근전도 측정을 위해서는 I_afayette EMG Amplifier /Integrator가 사용되었다. 높이 조건에 따른 지면반력 자료는 시기별로 표준화시킨 후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근전도 자료는 각근율별로 최대 근력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한 후 표준화 시키고 이를 각 조건별로 평균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자료들은 변량분석을 한 다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경우 Scheffe`방법을 사용하여 사후 비교를 하였다.지면반력에 대한 분석 결과는 전-후 반향의 평균치에서 60cm와 40cm높이 조건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최대치에서 60 cm와 40 cm그리고 60 cm와 50 cm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직 방향과 좌-우 방향의 반력에서는 높이 조건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전도 활동은 후-삼각근의 경우 40cm에서 보다 60cm에서 더 큰 근육활동을 보여주었다(p<0.5).그러나 이두근, 삼두근 그리고 전-삼각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이와 같은 결과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1. 휠체어 이동 운동시 이동 지점의 높이가 클수록 이동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근력은 더욱 많이 요구되어 진다.2. 휠체어 이동 운동에서 후-삼각근은 가장 중요한 근육중 하나이며, 이 근육은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여성의 정상 보행시 신발 뒷축의 높이가 지면 반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