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삼국유사』 「處容郞望海寺」조에서 확인되는 등장인물의 관등인 級干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라 하대 處容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級干은 급벌찬으로 알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7927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125-156(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삼국유사』 「處容郞望海寺」조에서 확인되는 등장인물의 관등인 級干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라 하대 處容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級干은 급벌찬으로 알려...
본고는 『삼국유사』 「處容郞望海寺」조에서 확인되는 등장인물의 관등인 級干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라 하대 處容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級干은 급벌찬으로 알려진 신라의 9등급 관등이다. 이 관등의 수여 대상을 확인한 결과, 군공을 세우다 전사한 자들이 많았고, 그들을 위무하기 위한 관등의 하나가 級干이었다. 더불어 처용이 가진 級干 관등을 분석하여, 해당 관등이 역신에 대항하는 긍정적 존재가 사회에 미치는 위무적 영향력을 담보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처용랑망해사」조의 지백 級干(地神)이 부정적 차원의 자연재해로 해석되는 점과 대응된다.
또한 처용의 등장 배경이 동해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으로 말미암아, 신라 초기부터 동해와 관련된 왕실의 인식이 어떠하였는지 살펴보고, 이를 처용이라는 인물과 연결을 지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처용은 헌강왕 당시의 왕실과 혈연적으로 관련되었다고 보기 어려웠다. 헌강왕이 문무왕과 같이 용으로서의 면모를 강조한 바가 확인되지 않는 한, 헌강왕을 용으로 볼 수도 없고, 용의 아들이 처용을 헌강왕과 연결하기는 곤란하다. 또한 산신과 지신의 춤사위가 사실상 자연재해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고, 동일선상에서 부정적으로 파악되는 역신에 대항한 처용을 만들어진 신적 존재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Geupgan(級干)', which is the official character of the characters in the "Cheoyongrang Manghaesa(處容郞望海寺)" section of the Samguk Yusa(三國遺事), and examines the reality of Cheoyong(處容) with it....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Geupgan(級干)', which is the official character of the characters in the "Cheoyongrang Manghaesa(處容郞望海寺)" section of the Samguk Yusa(三國遺事), and examines the reality of Cheoyong(處容) with it. Intervals are grade 9 bureaucracies, also known as Geupbeolchan(級伐飡).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cipients of this bureaucracy, many died while establishing the military service, and one of the bureaucracies to consolate them was the rank.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Cheo-yong's inter-class bureaucracy, and it could be seen as guaranteeing the consoled influence of the positive existence against the evil spirit on society. This corresponds to the fact that the inter-class governments of the land god in the "Cheoyongrang Manghaesa" section are natural disasters of a negative dimension.
Also, since the background of Cheoyong's appearance is related to the East Sea, we examined what the royal family's perception of the East Sea was from the early days of Silla, and thought about whether it could be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Cheoyong.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Cheoyong was related by blood to the royal family at the time of King Heongang(憲康王). Unless it is confirmed that King Heongang emphasized the aspect of a dragon like King Munmu(文武王), King Heongang cannot be regarded as a dragon,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on of the dragon to link Cheoyong with King Heongang. In addition, the dance movements of the mountain gods and the earth gods were viewed as actually symbolizing natural disasters, and Cheoyong, who opposed the evil spirit perceived negatively in the same line, was attempted to be understood as a created divine exist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진,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불교미술사학회 28 : 637-654, 2019
2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3 한상길, "역병과 한국불교" 6 : 2021
4 강호선, "역병과 불교의례 : 고려~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n 불교의례와 국가(1) - 국가재난에 대한 불교의 의례적 대응" 2020
5 박수진, "신라 경문왕가(景文王家)와 성골의 재등장" 한국역사연구회 (111) : 155-181, 2019
6 주보돈, "신라 骨品制 연구의 새로운 傾向과 課題" 한국고대사학회 (54) : 5-42, 2009
7 김기흥, "신라 處容說話의 역사적 진실" 80 : 2001
8 강석근,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조 깊이 읽기 - 울산광역시 처용문화제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 한국공연문화학회 (32) : 465-488, 2016
9 "삼국유사"
10 윤순옥,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지리학회 44 (44): 497-509, 2009
1 이용진,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불교미술사학회 28 : 637-654, 2019
2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3 한상길, "역병과 한국불교" 6 : 2021
4 강호선, "역병과 불교의례 : 고려~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n 불교의례와 국가(1) - 국가재난에 대한 불교의 의례적 대응" 2020
5 박수진, "신라 경문왕가(景文王家)와 성골의 재등장" 한국역사연구회 (111) : 155-181, 2019
6 주보돈, "신라 骨品制 연구의 새로운 傾向과 課題" 한국고대사학회 (54) : 5-42, 2009
7 김기흥, "신라 處容說話의 역사적 진실" 80 : 2001
8 강석근,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조 깊이 읽기 - 울산광역시 처용문화제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 한국공연문화학회 (32) : 465-488, 2016
9 "삼국유사"
10 윤순옥,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지리학회 44 (44): 497-509, 2009
11 "삼국사기"
12 정은정, "고려 김해의 邑基와 龍神 祭禮" 부산경남사학회 (119) : 121-155, 2021
13 전덕재, "고대·고려 초 울산지역 변동과 蔚州의 성립" 대구사학회 141 : 33-77, 2020
14 이우성, "金載元博士回甲紀念論叢" 藜堂 金載元博士 회갑기념사업위원회 1969
15 李龍範, "處容說話의 一考察-唐代 이슬람商人과 新羅" 32 : 1969
16 姜仁求, "昔脫解와 吐含山, 그리고 石窟庵" 24 : 2001
17 무함마드 깐수, "新羅·西域交流史" 단국대학교출판부 1992
18 辛鍾遠, "新羅 初期 佛敎史硏究" 민족사 1992
19 전기웅, "憲康王代의 정치사회와 ‘處容郞望海寺’條 설화" 신라문화연구소 (26) : 55-83, 2005
20 김수민, "『삼국유사』 처용설화와 중국 門神文化의 영향" 신라사학회 (50) : 105-133, 2020
21 신선혜, "『삼국유사』 기이편 「處容郎 望海寺」조의 이해" 38 : 2017
22 처용간행위원회, "『處容硏究全集』 Ⅳ 종합" 도서출판 역락 2005
23 권주현, "『三國遺事』 處容郞望海寺條를 통해서 본 新羅下代의 樂" 한국상고사학회 57 (57): 105-130, 2007
24 김창석, "8∼10세기 이슬람 제종족의 신라 來往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44) : 92-126, 2006
「적성방향약금사학절목(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으로 본 천주교 금지 정책과 척사(斥邪) 인식
조선총독부 재무국장 하야시 시게조(1929~1937)의 재정 구상과 증세 정책
제2대 국회기 내각제ㆍ직선제 논의와 발췌개헌 - 의회 내부의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1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 ![]() |
2008-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 | 1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4 | 1.558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