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무원의 기본권 제한 - 정치적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헌법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 = Einschränkung der Grundrechte der Beamt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60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r Beamte ist Staatsdiener, der einer Gemeinwohlbindung unterliegt, er ist aber zugleich Grundrechtsträger. Die doppelte Rolle des Beamten erzeugt die Gefahr, daß die durch Grundrechte garantierte private Lebensführung auf die Amtsführung übergreift. Hier stellt sich die Frage, wie im Kollisionsfalle der Ausgleich zwischen der Grundrechtsfreiheit des Bürgers und dem Sonderstatus des Beamten herzustellen ist. Mit Blick auf die doppelte Rechtsstellung des Beamten beurteilt sich die Frage, ob und inwiefern er Grundrechtsträger ist, danach anders, ob er auf der Rechtsebene Amt, Dienst oder Privatbereich agiert. Der Beamte kann außerhalb des Dienstes, also im Privatbereich die politische Meinungsäußerungsfreiheit in Anspruch nehmen. Da auch die politische Meinungsäußerung im Privatbereich jedoch auf dienstliche Interessen negative Auswirkung haben kann, findet sie in der Amtspflicht zur Verfassungstreue und in der Pflicht zur Zurückhaltung bei politischer Betätigung ihre Grenzen. Das außerdienstliche politische Engagement des Beamten darf nicht die Unparteilichkeit gefährden oder auch nur bei Außenstehenden den Eindruck der Parteilichkeit wecken mit der Folge, daß das Vertrauen in das Amt Schaden nimmt. Das Mäßigungsgebot sichert die Erhaltung eines für den Staat unentbehrlichen, verläßlichen Beamtentums.
      Bei Auslegung und Anwendung des Mäßigungsgebots im konkreten Fall sind die Stellung und Funktion des in Frage stehenden Beamten bedeutsam. Für die Richter können noch höhere Anforderungen an Unabhängigkeit zu stellen sein. Sie dürfen durch ihr Verhalten das in ihre Unabhängigkeit gesetzte Vertrauen nicht gefährden.
      번역하기

      Der Beamte ist Staatsdiener, der einer Gemeinwohlbindung unterliegt, er ist aber zugleich Grundrechtsträger. Die doppelte Rolle des Beamten erzeugt die Gefahr, daß die durch Grundrechte garantierte private Lebensführung auf die Amtsführung übergr...

      Der Beamte ist Staatsdiener, der einer Gemeinwohlbindung unterliegt, er ist aber zugleich Grundrechtsträger. Die doppelte Rolle des Beamten erzeugt die Gefahr, daß die durch Grundrechte garantierte private Lebensführung auf die Amtsführung übergreift. Hier stellt sich die Frage, wie im Kollisionsfalle der Ausgleich zwischen der Grundrechtsfreiheit des Bürgers und dem Sonderstatus des Beamten herzustellen ist. Mit Blick auf die doppelte Rechtsstellung des Beamten beurteilt sich die Frage, ob und inwiefern er Grundrechtsträger ist, danach anders, ob er auf der Rechtsebene Amt, Dienst oder Privatbereich agiert. Der Beamte kann außerhalb des Dienstes, also im Privatbereich die politische Meinungsäußerungsfreiheit in Anspruch nehmen. Da auch die politische Meinungsäußerung im Privatbereich jedoch auf dienstliche Interessen negative Auswirkung haben kann, findet sie in der Amtspflicht zur Verfassungstreue und in der Pflicht zur Zurückhaltung bei politischer Betätigung ihre Grenzen. Das außerdienstliche politische Engagement des Beamten darf nicht die Unparteilichkeit gefährden oder auch nur bei Außenstehenden den Eindruck der Parteilichkeit wecken mit der Folge, daß das Vertrauen in das Amt Schaden nimmt. Das Mäßigungsgebot sichert die Erhaltung eines für den Staat unentbehrlichen, verläßlichen Beamtentums.
      Bei Auslegung und Anwendung des Mäßigungsgebots im konkreten Fall sind die Stellung und Funktion des in Frage stehenden Beamten bedeutsam. Für die Richter können noch höhere Anforderungen an Unabhängigkeit zu stellen sein. Sie dürfen durch ihr Verhalten das in ihre Unabhängigkeit gesetzte Vertrauen nicht gefährd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무원은 공익실현의 의무가 있는 ‘국민의 공복’이자, 동시에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된 자유의행사를 통하여 자신의 인격을 발현하는 ‘기본권의 주체’이다.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말미암아,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되는 사적인 활동과 정치적 참여가 직무수행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을안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개인의 기본권적 자유와 공무원의 특수한 지위를 어떻게조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인하여, 공무원이 직무수행의 영역, 근무영역 및 사적 영역 중에서 어떠한영역에서 활동하는지에 따라 공무원이 표현의 자유를 주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달리 판단된다. 공무원은 직무 외의 영역(사적 영역)에서는 사인이자 기본권의 주체이므로, 정치적으로 의견을 표명할 수있다. 그러나 사적 영역에서의 정치적 의견표명도 직무수행의 영역 및 직무상의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내용에 있어서 ‘헌법에 대한 충성의무’에 의하여 그리고 그 방식에 있어서 직무 내외를 불문하고 적용되는 ‘정치적 자제의 의무’에 의하여 한계가 설정된다. 사적 영역에서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공무원의 언행으로 인하여, 공무원이 더 이상 자신의 직무를 공정하게 수행할 수 없으리라는 인상을 국민에게 주어서는 안 된다. ‘자제의 의무’는 공정하고 중립적이며 공익을 실현하는 국가행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국가생활에 있어서 불가결한 직업공무원제도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이다. 개별사건의 경우 요청되는 ‘자제의 의무’를 해석을 통하여구체화함에 있어서, 문제되는 공무원의 지위와 기능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법관은 다른 공무원보다도 정치적인 의견표명에 있어서 더욱 자제를 해야 하고, 정치적 활동에 있어서 사법의 독립성에 대한국민의 신뢰가 저해되지 않도록 행동해야 한다.
      번역하기

      공무원은 공익실현의 의무가 있는 ‘국민의 공복’이자, 동시에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된 자유의행사를 통하여 자신의 인격을 발현하는 ‘기본권의 주체’이다.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말...

      공무원은 공익실현의 의무가 있는 ‘국민의 공복’이자, 동시에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된 자유의행사를 통하여 자신의 인격을 발현하는 ‘기본권의 주체’이다.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말미암아,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되는 사적인 활동과 정치적 참여가 직무수행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을안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개인의 기본권적 자유와 공무원의 특수한 지위를 어떻게조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공무원의 이중적 지위로 인하여, 공무원이 직무수행의 영역, 근무영역 및 사적 영역 중에서 어떠한영역에서 활동하는지에 따라 공무원이 표현의 자유를 주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달리 판단된다. 공무원은 직무 외의 영역(사적 영역)에서는 사인이자 기본권의 주체이므로, 정치적으로 의견을 표명할 수있다. 그러나 사적 영역에서의 정치적 의견표명도 직무수행의 영역 및 직무상의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내용에 있어서 ‘헌법에 대한 충성의무’에 의하여 그리고 그 방식에 있어서 직무 내외를 불문하고 적용되는 ‘정치적 자제의 의무’에 의하여 한계가 설정된다. 사적 영역에서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공무원의 언행으로 인하여, 공무원이 더 이상 자신의 직무를 공정하게 수행할 수 없으리라는 인상을 국민에게 주어서는 안 된다. ‘자제의 의무’는 공정하고 중립적이며 공익을 실현하는 국가행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국가생활에 있어서 불가결한 직업공무원제도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이다. 개별사건의 경우 요청되는 ‘자제의 의무’를 해석을 통하여구체화함에 있어서, 문제되는 공무원의 지위와 기능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법관은 다른 공무원보다도 정치적인 의견표명에 있어서 더욱 자제를 해야 하고, 정치적 활동에 있어서 사법의 독립성에 대한국민의 신뢰가 저해되지 않도록 행동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재 2012. 5. 31. 2009헌마705등(국가공무원 복무규정)"

      2 "헌재 2008. 1. 17. 2007헌마700(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조치)"

      3 "헌재 2004. 5. 14. 2004헌나1(대통령 노무현 탄핵)"

      4 "헌재 1994. 12. 29. 93헌마120(국회노동위원회 고발)"

      5 한수웅, "헌법학" 2013

      6 한수웅, "헌법 제7조의 의미 및 직업공무원제도의 보장" 법조협회 61 (61): 5-52, 2012

      7 "국가공무원법 제63조"

      8 이종수, "공무원의 정치적 활동의 허용여부와 그 한계" 8 (8): 165-, 2001

      9 한견우,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정치활동의 제한" 2 (2): 55-, 2011

      10 조소영,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범위에 관한 헌법적 고찰" 유럽헌법학회 (12) : 393-428, 2012

      1 "헌재 2012. 5. 31. 2009헌마705등(국가공무원 복무규정)"

      2 "헌재 2008. 1. 17. 2007헌마700(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조치)"

      3 "헌재 2004. 5. 14. 2004헌나1(대통령 노무현 탄핵)"

      4 "헌재 1994. 12. 29. 93헌마120(국회노동위원회 고발)"

      5 한수웅, "헌법학" 2013

      6 한수웅, "헌법 제7조의 의미 및 직업공무원제도의 보장" 법조협회 61 (61): 5-52, 2012

      7 "국가공무원법 제63조"

      8 이종수, "공무원의 정치적 활동의 허용여부와 그 한계" 8 (8): 165-, 2001

      9 한견우,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정치활동의 제한" 2 (2): 55-, 2011

      10 조소영,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범위에 관한 헌법적 고찰" 유럽헌법학회 (12) : 393-428, 2012

      11 장영수,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 보장 범위의 확대와 그 전제조건 —" 안암법학회 (37) : 1-26, 2012

      12 W. Moll, "Wieunbefangen ist der politische Richter?" 244-, 1985

      13 "Vitzthum, Der funktionelle Anwendungsbereich der Grundrechte, in: HbGR II §48"

      14 "Stern, Staatsrecht III/1, 1988, §74III"

      15 "Stern, Staatsrecht III/1, 1988, §74III"

      16 "Sendler, Was dürfen Richter in der Öffentlichkeit sagen?, NJW 1984"

      17 "Schnellenbach, Beamtenrecht in der Praxis, 2005"

      18 "Schmitt-Jortzig, Richteramt und politische Betätigung, NJW 1984"

      19 "Ronellenfitsch, DÖV 1981, S.1383"

      20 "Ronellenfitsch, Das besondere Gewaltverhältnis - ein frühtotgesagtes Rechtsinstitut, DÖV 1981"

      21 "O. Depenheuer, Das Öffentiche Amt, in: HStR III, 2005, §36"

      22 "Loschelder, Grundrechte im Sonderstatus, in: HStR V, 1992, §123"

      23 "Isensee, Öffentlicher Dienst, in: HdbVerfR, 2. Aufl. 1994, §32"

      24 "Isensee, Öffentlicher Dienst, in: HdbVerfR, 2. Aufl. 1994, §32"

      25 "Isensee, Öffentlicher Dienst, in: HdbVerfR, 2. Aufl. 1994, §32"

      26 "Isensee, Grundrechtsvoraussetzungen und Verfassungserwartungen an die Grundrechtsausübung, in: HbStR Bd. V, 1992, §115"

      27 "Isensee, Gemeinwohl un Staatsaufgaben im Verfassungsstaat, in: HStR III, 1988, §57 Rn.8"

      28 "Hesse, Grundzüge des Verfassung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29 "Hager, Freie Meinung und Richteramt, NJW 1988"

      30 "H. Lecheler, Der öffentliche Dienst, in: HStR III, 1988, §72"

      31 N. Klein, "Grundrechte und Wesensgehaltsgarantie im besonderen Gewaltverhältnis" DVBl 1102-, 1987

      32 "Depenheuer, Das Öffentiche Amt, in: HStR III, 2005, §36"

      33 "Battis, in: Achterberg/Püttner/Würtenberger(Hg), Besonderes Verwaltungsrecht Bd.II, 2000"

      34 "Badura, Staatsrecht, 2003, D Rn.105"

      35 "BVerwGE 78, 216"

      36 "BVerwGE 42, 79"

      37 "BVerwGE 30, 29"

      38 "BVerwG, NVwZ 90"

      39 "BVerfGE 39, 334"

      40 "BVerfGE 21"

      41 "BVerfG, NJW 91, 1478"

      42 "BVerfG, DÖV 81,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