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 The Analysis on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of in-service Teachers of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0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직 국어교사 133명을 표집하여 쓰...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직 국어교사 133명을 표집하여 쓰기 평가 효능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했던 것을 활용하였다. 쓰기 평가 효능감의 하위 요인은 ‘실행적 평가 효능감’과 ‘일반적 평가 효능감’이며, 문항 수는 총 18개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도 분석 등을 적용한 결과, 검사 도구의 양호도, 자료의 안정성 및 적절성은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어교사의 성별에 따른 쓰기 평가 효능감의 차이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두 하위 구성 요인 모두 동일했다.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효능감에서 성별 차이를 보고했던 선행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교사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쓰기 평가 효능감의 평균이 상승하였지만, 경력별 차이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경력이 6~20년에 속하는 국어교사들 중에는 쓰기 평가에서 자신감을 잃은 교사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WASE)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give educational administrators the information to need to make decisions. To get the purposes, in-service Korean teachers 1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WASE)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give educational administrators the information to need to make decisions. To get the purposes, in-service Korean teachers 133 are sampled and provided with WASE scale which consist of 18 items and two factors:practical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and genearl writing assessment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re is no significant gender gap of WASE. This result is different with that of pervious article which had analysed the pre-service teachers` WASE. (2) there is no significant teacher career gap of WASE also. As teachers` career year goes up, the mean of in-service teachers` WASE increase. Howeve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get 6~20 career years need supplementation programs to booster WASE, because they have a lack of WASE or self-esteem on school writing assess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andura,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학지사 1999

      2 박영민,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42) : 181-207, 2010

      3 박영민, "예비 국어교사의 성별 및 학생 성별 인식에 따른 평가 차이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239-258, 2010

      4 박영민, "쓰기 효능감의 특성 및 신장 방안" 4 : 183-211, 2011

      5 박영민, "논술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 우리어문학회 (33) : 493-523, 2009

      6 최숙기, "논설문 평가에 나타난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및 편향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201-228, 2011

      7 박영민, "국어 교사 효능감의 구성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41-272, 2009

      8 주동범, "교사효능감의 개념, 측정, 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489-498, 2009

      9 Ross, J., "Within-teacher predectors of teacher efficacy" 12 : 385-400, 1996

      10 Allinder,R,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17 : 86-95, 1994

      1 Bandura,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학지사 1999

      2 박영민,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42) : 181-207, 2010

      3 박영민, "예비 국어교사의 성별 및 학생 성별 인식에 따른 평가 차이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239-258, 2010

      4 박영민, "쓰기 효능감의 특성 및 신장 방안" 4 : 183-211, 2011

      5 박영민, "논술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 우리어문학회 (33) : 493-523, 2009

      6 최숙기, "논설문 평가에 나타난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및 편향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201-228, 2011

      7 박영민, "국어 교사 효능감의 구성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41-272, 2009

      8 주동범, "교사효능감의 개념, 측정, 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489-498, 2009

      9 Ross, J., "Within-teacher predectors of teacher efficacy" 12 : 385-400, 1996

      10 Allinder,R,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17 : 86-95, 1994

      11 Guskey,T.R, "The influence of change i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up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21 : 245-259, 1984

      12 Lavelle,E, "Teacher’s self-efficacy for writing" 4 (4): 73-84, 2006

      13 Coladarci,T,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60 : 323-337, 1992

      14 Henson,R.K, "Teacher self-efficay:Substantive Implications and measurement dilemmas" Texas A&M University 2001

      15 Skaalvik, E,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A study of relations" 26 : 1059-1069, 2010

      16 Gibson, S, "Teacher efficacy:a construct validation" 76 : 569-582, 1984

      17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Its meaning and measure" 68 : 202-248, 1998

      18 Guskey,T.R, "Teacher efficacy, self-concept, and attitud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novation" 4 : 63-69, 1988

      19 Graham, S, "Teacher efficacy in writing:A construct validation with primary grade teachers" 5 (5): 177-202, 2001

      20 Stein, M., "Teacher development and school improvement:The process of teacher change" 4 : 171-187, 1988

      21 Haverback, H, "Pre-service reading teacher efficacy and tutoring: A review" 20 (20): 181-255, 2008

      22 Fives, H., "Does burnout begin with student-teaching? Analyzing efficacy, burnout, and support during the student-teaching semester" 23 (23): 916-934, 2007

      23 김연하,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24 Hall, B, "An attempt to explicate teacher efficacy beliefs among first year teachers"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