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슬러지와 UF막을연계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운전조작인자를 변화시켜 처리수의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8504
1995
Korean
539.9
학술저널
150-158(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활성슬러지와 UF막을연계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운전조작인자를 변화시켜 처리수의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
활성슬러지와 UF막을연계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운전조작인자를 변화시켜 처리수의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처리수의 BOD농도는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항상 10mg/L이하이었고, SS농도는 전 공정에서 1mg/L 이하로 안정된 수질을 나타내었다. 또한 막면유속은 처리수의 수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유기물 용적부하 0.4kgBOD/m^3.d에서 막면유속이 0.6m/sec까지는 슬러지 부착현상 등에 의하여 플럭스가 0.05m^3/m^2.d정도로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3) 막면 유속을 1,/sec에서 유기물 용적부하를 0.8kgBOD/m^3.d이하인 경우에는 0.15m^3/m^2.d이상의 높은 플럭스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으로 높게 되면 슬러지부착 및 막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플럭스가 감소하였다.
4) 반응조내의 미소생물상은 막면유속에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원생동물의 수는 막면유속증가와 함께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Benson's Group Additivity Method를 이용한 염화다환방향족 화합물의 열역학적물성치 평가와 생성반응경로에 관한 연구
Modeling Non-Volatile Contaminant Transport in Unsaturated Porous Media in the Presence of Colloids
Membrane Technology for Wastewater Re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