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활용한 안전한 식생활 방안 연구 = A study of Dietary Planing Based on Applic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0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Dietary assessment : DR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dequacy or excess of an individual or group's dietary intakes. For individuals, if the usual intake is lower than the EAR, the likelihood of nutritional deficiency is increased; for groups, the risk of undernutrition increases with increasing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a usual intake lower than the EAR. The risk for excessive intake in individuals or in groups can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UL. DRI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and interpreted cautiously in all cases of dietary assessment.
      ○ Dietary planning : Meal planning is the targeting of meals with no deficient or excessive nutrients in order to provide proper nutrition to an individual and a group. For individuals, the aim of meal planning should be set close to RNI or AI; for groups, the aim should be set to meet EAR and less than UL, based on the usual intake distribution, and be free from the risk of deficiency or excess.
      ○ Korean Food Guidance System : The Food Guidance System describes the basic concept of planning a meal with major food groups, its representative food items, and the number of servings in order to meet the nutritional recommendation for the general population. Nutritional recommendations for the Food Guidance system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KDRIs an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In this revision, the existing six major food groups were retained but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including grains, relocation of nuts, and change of group names. The six major food groups are 'Grains', 'Meat, Fish, Eggs, and Beans', 'Vegetables',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Oils, Fats, and Sugars'. Representative food items of each food group were selected and one serving size of each representative food item was prepared using data of the 2007 and 2008 KNHANES as well as the existing data that were used for the previous Food Guidance System. The serving size in the Food Guidance System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ertain amount of energy for each food group in order to educate the general public easily. This size is different from the exchange unit that was designed for medical dietary therapy for individuals because this is for the general population. Target patter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lifecycle in order to present how to plan meals using the Food Guidance System and achieve nutritional goals. At first, the age group and gender specific energy levels were based on the EER suggested in DRIs. The nutrient profile of each food group was calculated. Target patterns were designed by two different types: A-type with two servings of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type with one serving as the calcium requirements differ between children and adults. Finally, the menu was presented for each age and gender group. For the educational message, the Food Balance Wheels symbol was developed comprising a bicycle image to promote exercise, a big wheel consisting of the 6 major food groups with proportional area to represent the number of servings of each food group, and a small wheel containing a glass of water. This symbol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diet and sufficient water intak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people and prevent obesity through proper exercise. The colors of the food groups in the Food Balance Wheels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USA Food Guide My Pyramid to improve consistency in international nutrition education.
      번역하기

      ○ Dietary assessment : DR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dequacy or excess of an individual or group's dietary intakes. For individuals, if the usual intake is lower than the EAR, the likelihood of nutritional deficiency is increased; for groups, th...

      ○ Dietary assessment : DR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dequacy or excess of an individual or group's dietary intakes. For individuals, if the usual intake is lower than the EAR, the likelihood of nutritional deficiency is increased; for groups, the risk of undernutrition increases with increasing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a usual intake lower than the EAR. The risk for excessive intake in individuals or in groups can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UL. DRI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and interpreted cautiously in all cases of dietary assessment.
      ○ Dietary planning : Meal planning is the targeting of meals with no deficient or excessive nutrients in order to provide proper nutrition to an individual and a group. For individuals, the aim of meal planning should be set close to RNI or AI; for groups, the aim should be set to meet EAR and less than UL, based on the usual intake distribution, and be free from the risk of deficiency or excess.
      ○ Korean Food Guidance System : The Food Guidance System describes the basic concept of planning a meal with major food groups, its representative food items, and the number of servings in order to meet the nutritional recommendation for the general population. Nutritional recommendations for the Food Guidance system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KDRIs an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In this revision, the existing six major food groups were retained but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including grains, relocation of nuts, and change of group names. The six major food groups are 'Grains', 'Meat, Fish, Eggs, and Beans', 'Vegetables',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Oils, Fats, and Sugars'. Representative food items of each food group were selected and one serving size of each representative food item was prepared using data of the 2007 and 2008 KNHANES as well as the existing data that were used for the previous Food Guidance System. The serving size in the Food Guidance System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ertain amount of energy for each food group in order to educate the general public easily. This size is different from the exchange unit that was designed for medical dietary therapy for individuals because this is for the general population. Target patter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lifecycle in order to present how to plan meals using the Food Guidance System and achieve nutritional goals. At first, the age group and gender specific energy levels were based on the EER suggested in DRIs. The nutrient profile of each food group was calculated. Target patterns were designed by two different types: A-type with two servings of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type with one serving as the calcium requirements differ between children and adults. Finally, the menu was presented for each age and gender group. For the educational message, the Food Balance Wheels symbol was developed comprising a bicycle image to promote exercise, a big wheel consisting of the 6 major food groups with proportional area to represent the number of servings of each food group, and a small wheel containing a glass of water. This symbol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diet and sufficient water intak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people and prevent obesity through proper exercise. The colors of the food groups in the Food Balance Wheels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USA Food Guide My Pyramid to improve consistency in international nutrition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식사평가 : 개인이나 집단의 식사를 평가할 때는 목적에 적합한 영양섭취기준을 활용하여야 한다. 개인의 경우에는 평소 섭취량이 평균필요량 보다 낮아질수록 부족할 확률이 높아지며, 집단의 경우에는 평소 섭취량이 평균섭취량 이하인 사람의 비율로 부족한 사람의 비율을 추정한다. 상한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개인의 과잉섭취 위험도나 집단의 과잉섭취 비율을 추정할 수 있다.
      ○ 식사계획 : 식사계획은 영양이 부족 하거나 과잉이 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식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의 경우에는 식사계획의 목적을 권장섭취량이나 충분섭취량에 가까운 수준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단체의 경우에는 평균 필요량이나 상한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평상시 섭취 분포가 부족하거나 과잉의 위험이 적도록 식사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식사구성안 : 식사구성안은 일반인에게 영양적으로 만족할 만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품군별 대표 식품과 섭취 횟수를 이용하여 식사의 기본 구성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식사구성안의 영양적 목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되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기존의 6개 식품군 분류를 유지하였으나, 곡류군 통합, 견과류 재배치 및 명칭 등의 수정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곡류, 고기ㆍ생선ㆍ계란ㆍ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ㆍ유제품류, 유지ㆍ당류로 결정되었다. 식품군별 대표식품과 1인 1회 분량 설정은 원칙적으로 기존에 설정된 식품과 식품의 분량 및 최신 연구정보를 반영한다는 식사구성안의 제정의 개념적 목표 하에 2007년과 200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설정에 이용하였다. 식사구성안에 제시된 1인 1회 분량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일정한 에너지량을 기준으로 하고, 식품마다 1회 제공량 또는 1회 섭취량이 제공된다. 따라서 식사구성안에 제시된 1인 1회 분량은 일반 사람들의 섭취량으로부터 산출된 것이므로 각 개인이 섭취해야 하는 양으로 제시되는 식사요법을 위한 교환단위와는 차이가 있다. 식사구성안의 영양 목표를 충족시키는 1일 식사 구성을 제시하기 위해 권장식사패턴을 개발하였다. 우선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설정된 체위기준을 참조하여 성별, 연령(생애주기)별 기준 에너지를 설정하였고, 앞에서 선정된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1인 1회 분량을 기준으로 식품군별 대표 영양가표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성별 생애주기별 에너지 기준에 맞는 식품군별 권장 섭취 횟수가 제시된 권장식사패턴을 제시하였다. 권장식사패턴은 일상적인 식사 섭취 패턴을 반영하도록 하였고, 어린이와 성인의 우유ㆍ유제품류 섭취량이 다르므로 우유ㆍ유제품류를 2회 섭취하는 A타입과 1회 섭취하는 B타입으로 구분하였다. 성별 생애주기별로 제시된 권장식사패턴은 총 9개이며, 이번 개정에서는 구체적인 식단 작성의 예를 제시하기 위하여 성별ㆍ연령별 다빈도 식품 및 음식을 참조하여 각각 한 개씩의 식단을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식사모형은 적절한 영양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권장식사패턴을 기준으로 한 균형 잡힌 식사를 강조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비만을 예방하자는 의미로 자전거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자전거의 큰 바퀴 모양을 이용하여 6개의 식품군으로 나누고 권장식사패턴의 섭취횟수를 이용하여 면적 비율을 구성하였으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기 위하여 작은 바퀴에 물잔을 삽입하였다. 각 식품군을 상징하는 색은 미국식품피라미드의 식품군 색과 동일하게 하여 영양교육의 통일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 식사평가 : 개인이나 집단의 식사를 평가할 때는 목적에 적합한 영양섭취기준을 활용하여야 한다. 개인의 경우에는 평소 섭취량이 평균필요량 보다 낮아질수록 부족할 확률이 높아지며, ...

      ○ 식사평가 : 개인이나 집단의 식사를 평가할 때는 목적에 적합한 영양섭취기준을 활용하여야 한다. 개인의 경우에는 평소 섭취량이 평균필요량 보다 낮아질수록 부족할 확률이 높아지며, 집단의 경우에는 평소 섭취량이 평균섭취량 이하인 사람의 비율로 부족한 사람의 비율을 추정한다. 상한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개인의 과잉섭취 위험도나 집단의 과잉섭취 비율을 추정할 수 있다.
      ○ 식사계획 : 식사계획은 영양이 부족 하거나 과잉이 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식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의 경우에는 식사계획의 목적을 권장섭취량이나 충분섭취량에 가까운 수준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단체의 경우에는 평균 필요량이나 상한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평상시 섭취 분포가 부족하거나 과잉의 위험이 적도록 식사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식사구성안 : 식사구성안은 일반인에게 영양적으로 만족할 만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품군별 대표 식품과 섭취 횟수를 이용하여 식사의 기본 구성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식사구성안의 영양적 목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되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기존의 6개 식품군 분류를 유지하였으나, 곡류군 통합, 견과류 재배치 및 명칭 등의 수정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곡류, 고기ㆍ생선ㆍ계란ㆍ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ㆍ유제품류, 유지ㆍ당류로 결정되었다. 식품군별 대표식품과 1인 1회 분량 설정은 원칙적으로 기존에 설정된 식품과 식품의 분량 및 최신 연구정보를 반영한다는 식사구성안의 제정의 개념적 목표 하에 2007년과 200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설정에 이용하였다. 식사구성안에 제시된 1인 1회 분량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일정한 에너지량을 기준으로 하고, 식품마다 1회 제공량 또는 1회 섭취량이 제공된다. 따라서 식사구성안에 제시된 1인 1회 분량은 일반 사람들의 섭취량으로부터 산출된 것이므로 각 개인이 섭취해야 하는 양으로 제시되는 식사요법을 위한 교환단위와는 차이가 있다. 식사구성안의 영양 목표를 충족시키는 1일 식사 구성을 제시하기 위해 권장식사패턴을 개발하였다. 우선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설정된 체위기준을 참조하여 성별, 연령(생애주기)별 기준 에너지를 설정하였고, 앞에서 선정된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1인 1회 분량을 기준으로 식품군별 대표 영양가표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성별 생애주기별 에너지 기준에 맞는 식품군별 권장 섭취 횟수가 제시된 권장식사패턴을 제시하였다. 권장식사패턴은 일상적인 식사 섭취 패턴을 반영하도록 하였고, 어린이와 성인의 우유ㆍ유제품류 섭취량이 다르므로 우유ㆍ유제품류를 2회 섭취하는 A타입과 1회 섭취하는 B타입으로 구분하였다. 성별 생애주기별로 제시된 권장식사패턴은 총 9개이며, 이번 개정에서는 구체적인 식단 작성의 예를 제시하기 위하여 성별ㆍ연령별 다빈도 식품 및 음식을 참조하여 각각 한 개씩의 식단을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식사모형은 적절한 영양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권장식사패턴을 기준으로 한 균형 잡힌 식사를 강조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비만을 예방하자는 의미로 자전거 이미지를 선택하였다. 자전거의 큰 바퀴 모양을 이용하여 6개의 식품군으로 나누고 권장식사패턴의 섭취횟수를 이용하여 면적 비율을 구성하였으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기 위하여 작은 바퀴에 물잔을 삽입하였다. 각 식품군을 상징하는 색은 미국식품피라미드의 식품군 색과 동일하게 하여 영양교육의 통일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