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외 다중운집행사는 다양한 문화적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 체육대회, 공연 등 다양한 행사를 지역주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다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86188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96(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옥외 다중운집행사는 다양한 문화적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 체육대회, 공연 등 다양한 행사를 지역주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다만 ...
옥외 다중운집행사는 다양한 문화적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 체육대회, 공연 등 다양한 행사를 지역주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옥외 다중운집행사의 증가는 행사장 사고 위험성을 항시 내포하고 있어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가족단위 행사 참여가 많아지면서 행사장의 편리성 확보 역시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옥외다중운집행사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준은 실효성에 의문이 있어 종합적인 안전 가이드라인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범죄학, 재난·재해, 그리고 여성학적 측면에서 다중운집행사의 안전성 및 편리성 확보를 위한 옥외다중운집행사 진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옥외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은 범죄예방, 안전사고 예방, 그리고 편리성 강화를 위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가이드라인의 평가를 위해 대구 치맥축제 및 신천 돗자리 음악회에 참여한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남녀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개별 문항들에 대한 남녀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행사장 안전성과 편리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보다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owded outdoor-events are getting increased because of the diverse demands of people. Many local governments make an endeavor providing their residents for a lot of events including local festivals, athletics competitions, concerts, and so on. Ho...
The crowded outdoor-events are getting increased because of the diverse demands of people. Many local governments make an endeavor providing their residents for a lot of events including local festivals, athletics competitions, concerts, and so on. However, there is always a risk of unpredicted accidents so that needed a steadily comprised risk manual. In addition, a convenience is also an important issue because of increasing the numbers of family participants. Unfortunately, many studies pointed out inefficacy of current risk manual and standard for these kinds of events. As a result,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new guidelin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s of criminology, crisis management, and women’s studies in order to examin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crowded outdoor-events. To test the proposed guideline, two hund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major outdoor-events in Dae-gu. The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individual question of the guideline. The gender differences,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were not found. And the medium level of safety and convenience were found in two major summer events in Dae-gu.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2 김광주, "지역축제의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상주시를 사례로"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127-159, 2007
3 이민형, "지역문화축제 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구축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61-184, 2012
4 김태민, "지방 공연행사장의 안전관련 법제 고찰 및 정책제언"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241-266, 2014
5 대구광역시의회, "주요축제 종합보고회"
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법률 제12943호. 2014.12.30.)"
7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6439호. 2015.7.24.)"
8 박진원, "월드타임즈"
9 서영주, "여행프로젝트 시설 가이드라인"
10 이주호, "여성친화적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생활안전 정책과제" 1-14, 2013
1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2 김광주, "지역축제의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상주시를 사례로"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127-159, 2007
3 이민형, "지역문화축제 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구축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61-184, 2012
4 김태민, "지방 공연행사장의 안전관련 법제 고찰 및 정책제언"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241-266, 2014
5 대구광역시의회, "주요축제 종합보고회"
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법률 제12943호. 2014.12.30.)"
7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6439호. 2015.7.24.)"
8 박진원, "월드타임즈"
9 서영주, "여행프로젝트 시설 가이드라인"
10 이주호, "여성친화적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생활안전 정책과제" 1-14, 2013
11 최유진, "여성친화도시 안전 사업" 188-196, 2015
12 여성건설인협회, "여성친화도시 서울 방향과 과제" 서울시 2006
13 윤우석, "여성안심구역의 범죄예방을 위한 상황통제기법 제안 및 효과성 검토-경북지방경찰청 사례를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소 2014
14 이상원, "안전한 사회구축을 위한 CPTED 전략 - 버스정류장 방범진단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경찰학회 11 (11): 125-138, 2009
15 윤우석, "시계열분석을 통한 범죄예방환경 조성사업의 범죄억제효과 분석: 구미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9 (9): 131-164, 2015
16 정무헌, "소방안전의식 지표개발 및 국민 소방안전의식 조사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9 (29): 89-94, 2015
17 홍선영, "성인지적 관점의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표 개발"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4
18 "서울특별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조례(서울특별시조례 제5948호. 2015.07.30.)"
19 박경래, "범죄유발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20 지식경제부,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기반표준(KS A8800:2012)"
21 윤우석, "범죄예방 환경조성사업의 범죄안전인식 개선효과 검증"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53-180, 2015
22 이성용, "방범진단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발전방안"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찰청 2014
23 류정아, "문화관광축제의 성별영향평가" 한국문화광광연구원. 여성가족부 2007
24 이강문, "대규모 시민참여 행사 안전관리시스템 구축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8) : 57-80, 2011
25 "대구광역시 재난 및 안전관리 조례(대구광역시 조례 제4720호. 2015.05.20.)"
26 김상운,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를 위한 경찰 개입 수준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27 "뉴시스"
28 강용길, "근린지역 범죄예방 진단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경찰대학 산학협력단. 경찰청 2015
29 "공연법(법률 제13298호 일부개정 2015. 05. 18)"
30 "공연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5840호, 2014.12.9.)"
31 이유미,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범죄피해경험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성(safety) 평가 지표간의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9 (19): 73-82, 2008
32 전용태,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1 (11): 556-569, 2015
33 "경찰법(법률 제12601호, 2014.5.20.)"
34 이태현, "경상매일신문"
35 "경비업법(법률 제12911호, 2014.12.30.)"
36 "경비업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5915호, 2014.12.30.)"
37 "경기도 옥외행사의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경기도조례 제4884호)"
38 박동균, "거리응원 안전대책의 발전과제" 1-23, 2011
39 Cornish, D.B., "The reasoning criminal,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on offending" Springer-Verlag 1986
40 Silver, E., "Sources of informal social control in Chicago Neighborhoods" 42 (42): 551-583, 2004
41 Cohen, L.E., "Social change in crime rate of larceny: a routine activity approach" 44 : 588-608, 1979
42 Clarke, R.,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successful case studies" Harrow and Heston Publishers 1997
43 Brantingham, P.J, "Patterns in crime" Macmillan 1984
44 Sampson, J. R.,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277 : 918-924, 1997
45 Bursick R., "Neighborhoods and crime: the dimensions of effective community control" Lexington Books 1993
46 Shearing, C.D, "Modern private security: its growth and implications" 193-245, 1981
47 Warner, D.B, "Local social ties in a community and crime model: questioning the systemic nature of informal social control" 44 (44): 520-536, 1997
48 Brantingham, P.J., "Enviornmental criminology" Sage 1981
49 Newman, O., "Defensible space: people and design in the violent city" Macmillan 1972
50 Jefferey, C. 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1971
51 Clarke, R., "Crime and justice: an annual review of research 6"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52 Sampson, J.R, "Community structure and crime: testing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94 (94): 774-802, 1989
5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0 여행프로젝트 시설 인증평가 보고서(I): 女幸 화장실, 女幸 주차장, 女幸길, 女幸 공원" 서울시 2010
여성 성폭력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 CPTED를 중심으로 -
우범자 관리를 위한 강력범죄 전력자 재범위험성 평가도구 개발
경찰공무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04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