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이의 얼굴에 깃든 발전의 꿈: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분석 = The Dream of Development Envisaged in the Visage of the Kid: Critical Analysi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in order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social imaginary underlying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South Kore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is a dispositive that pro...

      This article analyze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in order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social imaginary underlying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South Kore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is a dispositive that produces a “global citizen-subject” through the government of their imaginaries. At the center of this imaginary lies the visage of the “fellow global citizen” that envisages the object, means, and duty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n, on the contrary to the rhetoric of the global “citizen” who participates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at does it mean that the visage of the fellow global citizen is that of the kid, not adult? Addressing the question, I analyzed education materials of KOICA: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volunteer program participants, prizewinning works of writing contests, textbooks and exhibition. This article first demonstrates the shape of the fellow global citizen is the kid, then explains the logic of this selection of the visage, and finally brings the political effect of the imaginary into light. Above all, the visage of the global citizen in the recipient country, the “object”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Korean global citizen-subjects, is represented as the visage of the kid with the despair for the present and hope for the future. The kid, as a cheerful recipient and the innocuous other, suppresses the unequal relationship on which the development “aid” is grounded, and becomes the legitimate subject of the right to dream of development. The recipient country, whose metaphor is the kid that is expected to naturally grow up, is also imagined to succeed in the development. As the synchronic gap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development aid is optimistically anticipated to be bridged to the development. Two of them thereby could be the same global “citizen”, who are both oriented to the development. In consequence,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envisaged to be the global civic “solidarity”. In the solidarity, the donor country with the visage of the adult imposes the obligation of development upon the recipient country with the visage of the kid, and reduces the meaning of the equliaty to the equality of opportunity to develo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의 기저에서 작동하는 상상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을 분석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의 기저에서 작동하는 상상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을 분석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은 국제개발협력에 동참하는 “세계시민”이라는 주체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들의 상상을 통치한다. 그 상상의 중심에는 국제개발의 대상과 방식, 당위를 내포하고 있는 국외의 ‘동료 세계시민’들의 얼굴이 있다. 우리는 이 얼굴이, 국제개발“협력”에 참여하는 세계“시민”이라는 수사와는 달리 성인이 아닌 아이의 얼굴이라는 점에 착목하여, 세계시민교육 교재와 체험관의 상설전시, 글쓰기 공모전 수상작과 해외현장활동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동료 세계시민의 형상이 아이의 얼굴로 상상된다는 것을 논증하고, 아이의 얼굴이 세계시민의 도상으로 채택되는 논리와 이러한 도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상상의 정치적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서 한국의 세계시민-주체들에게 국제개발“협력”의 ‘대상’이 되는 수원국의 세계시민은 현재의 절망과 미래의 희망을 품고 있는 아이의 얼굴을 하고 있다. 개발‘원조’의 명랑한 수증자이자 안전한 타자인 아이는 ‘원조’가 전제하고 있는 불평등한 관계를 가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존재로서, 발전을 꿈꿀 권리를 담지하는 적법한 주체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장이 기대되는 아이가 수원국을 은유하게 되면서, 공여국과 수원국 간 현존하는 사회경제적 격차 역시 수원국의 미래 발전에 의해 해소될 것이라고 낙관된다. 양자는 모두 발전을 지향하는 동일한 세계“시민”들로, 국제개발“협력”은 이들 간의 ‘연대’로 상상된다. 이 연대에서 성인의 얼굴을 한 공여국은 아이의 얼굴을 한 수원국에게 실현될지 모르는 발전의 꿈을 증여하면서 발전의 의무를 부과하고, 평등의 의미를 발전에 대한 기회의 평등으로 축소시킨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한국국제협력단, "한국해외봉사단 20년 발자취" 한국국제협력단 2011

      3 윤노아, "한국 사회과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 분석: 1993-2015"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35-48, 2015

      4 이긍연, "한국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실행" 3 : 39-62, 2017

      5 에발드, "푸코효과" 난장 292-310, 2014

      6 김홍중, "파우스트 콤플렉스: 아산 정주영을 통해 본 한국 자본주의의 마음"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237-285, 2015

      7 한국국제협력단, "코이카 창립 22주년 기념 건축·광고·사진·글짓기 공모전 수상작 모음집"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13

      8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9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14

      10 KOICA ODA 교육원, "창립 25주년 기념 KOICA 글짓기 공모전 수상작품집" KOICA ODA 교육원 2016

      1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한국국제협력단, "한국해외봉사단 20년 발자취" 한국국제협력단 2011

      3 윤노아, "한국 사회과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 분석: 1993-2015"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35-48, 2015

      4 이긍연, "한국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실행" 3 : 39-62, 2017

      5 에발드, "푸코효과" 난장 292-310, 2014

      6 김홍중, "파우스트 콤플렉스: 아산 정주영을 통해 본 한국 자본주의의 마음"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237-285, 2015

      7 한국국제협력단, "코이카 창립 22주년 기념 건축·광고·사진·글짓기 공모전 수상작 모음집"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13

      8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9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14

      10 KOICA ODA 교육원, "창립 25주년 기념 KOICA 글짓기 공모전 수상작품집" KOICA ODA 교육원 2016

      11 삭스,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대" 21세기북스 2015

      12 이태주,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 45 (45): 293-317, 2010

      13 코젤렉, "지나간 미래" 문학동네 1988

      14 모스, "증여론" 한길사 2002

      15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16 KOICA ODA 교육원, "제 17회 KOICA 글짓기모음집" KOICA ODA 교육원 2014

      17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1" 한길사 2006

      18 월러스틴, "자유주의 이후" 당대 1996

      19 센,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3

      20 하버마스, "이질성의 포용" 나남출판 2000

      21 KOICA ODA 교육원, "우리는 세계시민" KOICA ODA 교육원·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3

      22 칸트, "영원한 평화" 아카넷 2013

      23 후쿠야마, "역사의 종말" 한마음사 1992

      24 푸코, "안전·영토·인구" 난장 2011

      25 크룩생크, "시민을 발명해야 한다" 갈무리 2014

      26 고프만, "스티그마: 장애의 세계와 사회적응"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9

      27 센, "센코노믹스, 인간의 행복에 말을 거는 경제학" 갈라파고스 2008

      28 배영주,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5-167, 2013

      29 설규주,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1-54, 2004

      30 차승한, "세계시민교육의 요청에 대한 도덕과의 현황 진단"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9) : 161-184, 2018

      31 변종헌, "세계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2 (2): 65-85, 2001

      32 푸코,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난장 2012

      33 고프만, "상호작용의례" 아카넷 2013

      34 뒤르케임, "사회분업론" 아카넷 2012

      35 동즐로, "사회보장의 발명" 동문선 2008

      36 김다원,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문화 다양성’수업 내용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167-181, 2010

      37 야스타카, "사회" 푸른역사 2015

      38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39 삭스, "빈곤의 종말" 21세기 북스 2006

      40 다쿠지, "빈곤과 공화국: 사회적 연대의 탄생" 문학동네 2014

      41 허창수,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25-234, 2017

      42 퍼거슨, "분배정치의 시대" 여문책 2017

      43 리스트,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봄날의 책 2013

      44 러미스, "반자본발전 사전" 아카이브 95-124, 2010

      45 작스, "반자본 발전 사전" 아카이브 223-250, 2010

      46 에스테바, "반자본 발전 사전" 아카이브 33-70, 2010

      47 헬드, "민주주의의 모델들" 후마니타스 2010

      48 박정호,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 증여의 사회학적 본질과 기능 그리고 호혜성의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7 (7): 7-49, 2009

      49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담장 너머 지구촌 보기"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OICA ODA 교육원 2009

      50 노찬옥, "다원주의 시대의 세계시민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07-224, 2004

      51 이가영, "내부로부터의 세계화? 국제자원활동 귀환청년들의 탈영토화·재영토화된 삶" 비판사회학회 (116) : 367-395, 2017

      52 김홍중, "꿈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 부르디외와 벤야민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8) : 32-72, 2015

      53 브뢰클링, "기업가적 자아" 한울아카데미 2014

      54 조철기,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62-180, 2013

      55 테일러, "근대의 사회적 상상" 이음 2010

      56 KOICA ODA 교육원,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시공미디어 2016

      57 유성상, "교육미래학을 위한 시론: 교육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173-193, 2015

      58 KOICA ODA 교육원, "광복 70주년 초중고 글짓기 특별공모전 수상집" KOICA ODA 교육원 2015

      59 김지만, "고독과 빈곤의 조우, 혹은 환대의 경계: 한국 대학생 봉사 여행에서의 주체 형성에 대한 소고" 한국문화사회학회 14 (14): 7-50, 2013

      60 KOICA ODA 교육원, "개발교육 이슈 리포트" KOICA ODA 교육원 2015

      61 카림, "가난을 팝니다" 오월의봄 2015

      62 Swidler, Ann, "“Teach a Man to Fish”: the Sustainability Doctrine and its Social Consequences" 37 (37): 1182-1196, 2009

      63 구경남, "‘애국주의’를 넘어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탐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8) : 37-74, 2017

      64 Rose, Gillian, "Visual Methodologies: An Introduction to Researching with Visual Materials" Sage 2016

      65 Gaonkar, Dilip Parameshwar, "Toward New Imaginaries: An Introduction" 14 (14): 1-19, 2002

      66 Levinas, Emmanuel, "Totality and Infinity, translated by Alphonso Lingis" Duquesne University 1969

      67 Hickel, Jason, "The ‘Girl Effect’: Liberalism, Empowerment and the Contradictions of Development" 35 (35): 1355-1373, 2014

      68 Zelizer, Viviana A., "The Social Meaning of Mon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69 Deleuze, Gill, "The Policing of Families" Pantheon 9-17, 1979

      70 Castoriadis, Cornelius, "The Imaginary Institution of Society" Mit Press 1987

      71 Strauss, Claudia, "The Imaginary" 6 (6): 322-344, 2006

      72 Rose, Nikolas, "Powers of Freedom: Reframing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73 Foucault, Michel,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 and other Writing 1972-1977" Pantheon Books 194-228, 1977

      74 Deleuze, Gill, "Michel Foucault: Philosopher" Harvester Wheatsheaf 159-168, 1992

      75 Fairclough, Norman, "Language and Power" Pearson Education 2001

      76 Dean, Mitchell, "Governmentality: Power and Rule in Modern Society" Sage publications 1999

      77 Ilcan, Suzan, "Governing the Poor: Exercises of Poverty Reduction, Practices of Global Aid" Queen’s University Press 2011

      78 Ferguson, James, "Global Shadows: Africa in the Neoliberal World Order" Duke University Press 2006

      79 Rojas, Cristina, "Global Governmentality: Governing International Spaces" Routledge 97-115, 2004

      80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Emerging Perspectives. Outcome Document of the Technical Consultat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ESCO 2013

      81 심희정,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ts Status and Limitations" 교육연구소 17 : 107-129, 2016

      82 Wright, Christopher, "Future Imaginings: Organiz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20 (20): 647-658, 2013

      83 Castel, Robert, "From Manual Workers to Wage Laborers: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Question" Transaction Publishers 2003

      84 Escobar, Arturo, "Encountering Development: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Third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85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Oxfam GB 2006

      86 Nussbaum, Martha, "Education for Citizenship in an Era of Global Connection" 21 (21): 289-303, 2002

      87 Jasanoff, Sheila, "Dreamscapes of Modernity: Sociotechnical Imaginaries and the Fabrication of Pow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88 Jessop, Bob, "Cultural Political Economy and Critical Policy Studies" 3 (3): 336-356, 2010

      89 Fairclough, Norm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Routledge 2013

      90 Levy, David L., "Contested Imaginaries and the Cultural Political Economy of Climate Change" 20 (20): 659-678, 2013

      91 Goffman, Erving, "Asylums: Essays on the Social Situation of Mental Patients and other Inmates" Double Day Anchor Books 19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