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연합합동작전수행을 위한 지상작전사령부의 작전수행능력 제고방안 = Consideration Options on Operational Capability of Ground Operations Command for Combined and Joint Ope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9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 부 창설된 지상작전사령부(이하 지작사)가 효과성에 기초한 연합 및 합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작전술적 제대로서의 역할과 작전수행체계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방개혁 2.0의 일환인 지작사가 작전술적 제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국방부와 합참, 육본, 교육사령부, 임시 지작사TF 등 수많은 전문 연구인력의 노력이 투여되었으며, 각종 정책회의 및 전술토의와 추진평가회의 등을 통해서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투참모단의 편성을 보강하였고, 이에 따른 결심지원체계 등 작전수행체계를 더욱더 발전시켜왔다. 특히 19-1차 및 2차 동맹연습 간 작전수행체계를 시험적용 하면서 미흡한 분야를 분석하여 보완할 수 있었지만, 주요쟁점 사항인 FB확장, 공역통제체계 개선, 지작사 예하의 직할부대 편성, 전력화 문제 등 편성의 완전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완시켜 나가야 할 과제들이 아직 산재해 있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층 더 완전성이 강화된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들의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 부 창설된 지상작전사령부(이하 지작사)가 효과성에 기초한 연합 및 합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작전술적 제대로서의 역할과 작전수행체계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 부 창설된 지상작전사령부(이하 지작사)가 효과성에 기초한 연합 및 합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작전술적 제대로서의 역할과 작전수행체계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방개혁 2.0의 일환인 지작사가 작전술적 제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국방부와 합참, 육본, 교육사령부, 임시 지작사TF 등 수많은 전문 연구인력의 노력이 투여되었으며, 각종 정책회의 및 전술토의와 추진평가회의 등을 통해서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투참모단의 편성을 보강하였고, 이에 따른 결심지원체계 등 작전수행체계를 더욱더 발전시켜왔다. 특히 19-1차 및 2차 동맹연습 간 작전수행체계를 시험적용 하면서 미흡한 분야를 분석하여 보완할 수 있었지만, 주요쟁점 사항인 FB확장, 공역통제체계 개선, 지작사 예하의 직할부대 편성, 전력화 문제 등 편성의 완전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완시켜 나가야 할 과제들이 아직 산재해 있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층 더 완전성이 강화된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들의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the role of Ground Operation Command (organized as of Jan. 1, 2019) as a Operational Unit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n the Operations System based on effectiveness for the Future Combined and Joint operations of the GOC. The GOC, as a part of the Defense Reform 2.0, has convened numerous personnel, includ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Joint Chiefs of Staff, ROKA HQ, ROKA Training & Doctrine Command, and TF of the Temporary GOC, and has strengthened the combat staff through policy meetings, discussions, and promotion assessment meetings, and thus developed the Operations System, including the resolution support system. There were factors improved by the pilot application of the Operations System in particular during 19-1st and 2nd the Alliance/DM Exercises. But, many tasks are still requiring continuous interest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branch,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FB expansion and air-space control system, organizing and fielding a direct unit under GOC, and the use of force.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the cornerstone for the Combined Ground Component Command (CGCC) greatly to become a more effective Component Comman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the role of Ground Operation Command (organized as of Jan. 1, 2019) as a Operational Unit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n the Operations System based on effectiveness for the Future Combined and Joint operations of 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the role of Ground Operation Command (organized as of Jan. 1, 2019) as a Operational Unit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n the Operations System based on effectiveness for the Future Combined and Joint operations of the GOC. The GOC, as a part of the Defense Reform 2.0, has convened numerous personnel, includ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Joint Chiefs of Staff, ROKA HQ, ROKA Training & Doctrine Command, and TF of the Temporary GOC, and has strengthened the combat staff through policy meetings, discussions, and promotion assessment meetings, and thus developed the Operations System, including the resolution support system. There were factors improved by the pilot application of the Operations System in particular during 19-1st and 2nd the Alliance/DM Exercises. But, many tasks are still requiring continuous interest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branch,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FB expansion and air-space control system, organizing and fielding a direct unit under GOC, and the use of force.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the cornerstone for the Combined Ground Component Command (CGCC) greatly to become a more effective Component Command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지작사에 관한 일반적 고찰 3. 지작사의 연합합동작전수행 저해요인 분석 4. 작전수행능력 제고를 위한 대안 5. 결론
      • 1. 서론 2. 지작사에 관한 일반적 고찰 3. 지작사의 연합합동작전수행 저해요인 분석 4. 작전수행능력 제고를 위한 대안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유, "현 연합방위체제 하 지작사 작전수행체계 발전방향" (439) : 101-102, 2016

      2 이상현, "한반도 안보상황과 연계된 전작권전환 추진방향" 104-110, 2010

      3 조기현, "한국군 주도하 합동·연합작전 발전방안 - 선제적 자위권에 의한 작전수행개념을 중심으로 -" 미래군사학회 2 (2): 245-277, 2013

      4 송진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에 따른 지상군 발전방안 연구" 육군군사연구소 (147) : 9-33, 2019

      5 송진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에 대한 이해와 현안" (460) : 89-130, 2019

      6 박창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신연합방위체계의 효율성" 한국국방연구원 26 (26): 137-164, 2010

      7 김남용,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국가 안보 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국방안보연구소 1 (1): 1-10, 2017

      8 윤태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관여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국방안보연구소 3 (3): 41-53, 2019

      9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47) : 155-188, 2019

      10 ROKA HQ, "training circular Ground Operation Command" 2017

      1 김정유, "현 연합방위체제 하 지작사 작전수행체계 발전방향" (439) : 101-102, 2016

      2 이상현, "한반도 안보상황과 연계된 전작권전환 추진방향" 104-110, 2010

      3 조기현, "한국군 주도하 합동·연합작전 발전방안 - 선제적 자위권에 의한 작전수행개념을 중심으로 -" 미래군사학회 2 (2): 245-277, 2013

      4 송진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에 따른 지상군 발전방안 연구" 육군군사연구소 (147) : 9-33, 2019

      5 송진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에 대한 이해와 현안" (460) : 89-130, 2019

      6 박창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신연합방위체계의 효율성" 한국국방연구원 26 (26): 137-164, 2010

      7 김남용,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국가 안보 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국방안보연구소 1 (1): 1-10, 2017

      8 윤태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관여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국방안보연구소 3 (3): 41-53, 2019

      9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47) : 155-188, 2019

      10 ROKA HQ, "training circular Ground Operation Command" 2017

      11 Sang-Hyun lee, "Ground Operations Command's Thermal Operation Plan" Joint Forces Military University (455) : 2018

      12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White Paper" 2018

      13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White Paper"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