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개방 이래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경험해온 인도는 최근에 더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행보를 보이며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의 공정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양국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53258
2021
Korean
한·인도 CEPA ; 무역수지 ; 중력모형 ; 합성대조방법 ; 내생성 ; Korea-India CEPA ; Trade Balance ; Gravity Model ; Synthetic Control Method ; Endogeneity
KCI등재
학술저널
115-140(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외 개방 이래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경험해온 인도는 최근에 더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행보를 보이며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의 공정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양국 �...
대외 개방 이래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경험해온 인도는 최근에 더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행보를 보이며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의 공정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양국 간 CEPA가 무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기존 문헌들은 서로 엇갈린 결론을 내리고 있으며, 내생성을 통제하지 못하는 방법론적 한계 역시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정책 분석 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합성대조방법(Synthetic Control Method, SCM)을 활용하여 양국 간 CEPA와 무역수지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중력모형에 SCM을 적용하여 인도와 교역을 하는 127개국을 대상으로 1992년~2019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 한·인도 CEPA는 인도의 대(對)한국 무역적자를 악화시켰으며, (2) 이는 반사실적 합성대조단위 대비 대(對)한국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 모두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와의 장기적인 통상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CEPA 개선 협상에 반영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dia has continuously suffered from trade deficit since its opening in the early 1990s. Recently, the economy has pursued protectionist policies, even questioning the fairness of Korea-India CEPA. Not only do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effect of ...
India has continuously suffered from trade deficit since its opening in the early 1990s. Recently, the economy has pursued protectionist policies, even questioning the fairness of Korea-India CEPA. Not only do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effect of Korea-India CEPA on bilateral trade flows with fixed-effects models yield contradictory results, but they are also unable to sufficiently control for endogeneity. This paper attempts to overcome such methodological limitation by relying on synthetic control method(SCM), which has been widely adopted for policy analysis. By applying SCM on gravity model, I examine bilateral data of 127 trade partners with India over the period of 1992~2019.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Korea-India CEPA has broadened Indian trade deficit against Korea in a causal sense. (2) This resulted from both reduction of exports to and rise of imports from Korea, when compared with the synthetic control unit. These empirical findings are robust to alternative specifications of the sample dat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봉호, "한-인도 CEPA의 산업별 무역효과 패널분석" 한국관세학회 20 (20): 159-176, 2019
2 이순철, "한-인도 CEPA의 무역효과 분석: 한국의 대인도 수입중심으로" 한국관세학회 17 (17): 149-167, 2016
3 조의윤, "최근 인도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진단"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19
4 김우보, "인도도 ‘CEPA 불공정’... 코로나쇼크에 무역 장벽 높이는 신흥국"
5 김경화, "인도 수입규제 동향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20
6 심혜정, "무역업계의 시각으로 본 인도시장 진출의 어려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19
7 손용정, "무역구조분석을 통한 한·인도 CEPA의 효과 고찰"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347-362, 2013
8 김우보, "[뒷북경제]형제의 나라 터키...‘FTA 파기 고려’ 이유는"
9 Urata, "Trade Creation and Diversion Effects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A product-level analysis" 37 (37): 267-289, 2014
10 LaPorta, R, "The quality of government" 15 (15): 222-279, 1999
1 최봉호, "한-인도 CEPA의 산업별 무역효과 패널분석" 한국관세학회 20 (20): 159-176, 2019
2 이순철, "한-인도 CEPA의 무역효과 분석: 한국의 대인도 수입중심으로" 한국관세학회 17 (17): 149-167, 2016
3 조의윤, "최근 인도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진단"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19
4 김우보, "인도도 ‘CEPA 불공정’... 코로나쇼크에 무역 장벽 높이는 신흥국"
5 김경화, "인도 수입규제 동향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20
6 심혜정, "무역업계의 시각으로 본 인도시장 진출의 어려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19
7 손용정, "무역구조분석을 통한 한·인도 CEPA의 효과 고찰"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347-362, 2013
8 김우보, "[뒷북경제]형제의 나라 터키...‘FTA 파기 고려’ 이유는"
9 Urata, "Trade Creation and Diversion Effects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A product-level analysis" 37 (37): 267-289, 2014
10 LaPorta, R, "The quality of government" 15 (15): 222-279, 1999
11 Head, K, "The erosion of colonial trade linkages after independence" 81 (81): 1-14, 2010
12 Abadie, A, "The economic costs of conflict: A case study of the Basque Country" 93 (93): 113-132, 2003
13 LaPorta, R,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legal origins" 46 (46): 285-332, 2008
14 Hannan, Swarnali A, "The Impact of Trade Agreements: New Approach, New Insight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6
15 Anderson J.E, "The Gravity Model" (3) : 133-160, 2011
16 Pinotti, P, "The Economic Costs of Organised Crime: Evidence from Southern Italy" 125 (125): 203-232, 2015
17 Abadie, A, "Synthetic control methods for comparative case studies: Estimating the effect of California’s Tobacco control program" 105 (105): 493-505, 2010
18 Tinbergen, J, "Shaping the World Economy: Suggestions for a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The Twentieth Century Fund 1962
19 Baier S.L, "On the endogeneity of international trade flows and free trade agreements" 2002
20 Mayer, T, "Notes on cepii’s distances measures: The geodist database" CEPII 2011
21 Melitz, J, "North, South and distance in the gravity model" 51 (51): 971-991, 2007
22 Disdier, A.C, "Je t’aime, moi non plus: Bilateral opintions and international trade" 23 (23): 1140-1159, 2007
23 Shahid Ahmed, "India-Korea CEPA: An Assessment" 한국경제연구학회 12 (12): 45-98, 2011
24 Adarov, Amat, "Eurasian Economic Integration: Impact Evaluation Using the Gravity Model and the Synthetic Control Methods" The Vienn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Studies 150-, 2018
25 Magee, "Endogenous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an empirical analysis" Berkeley Electronic Press 2 (2): 2003
26 Baier S.L, "Do free trade agreements actually increase members’ international trade" 71 (71): 72-95, 2007
27 Nilanjan Ghosh, "China-India Relations in Economic Forums: Examining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2018
28 Kepaptsoglou, K, "Analyzing free trade agreements’ effects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 sure gravity model based approach" (2097) : 88-96, 2009
29 최명례, ", 2021 국별 진출전략 인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21
자이나의 단일 감관 생명체(ekendriyajīva) -생명중심의 생태주의의 근간으로서-
『인도 센서스』의 종교별 인구 조사와 종교 커뮤널리즘의 성장, 1871~194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5-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12-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아시아연구소 -> 인도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 Institute of Indi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7 | 0.84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