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자이나 생태론의 근간이 되는 단일 감관 생명체 개념을 고찰한다. 이 단일 감관 생명체(ekendriyajīva)는 불교 문헌에서 일근자(一根者)라고 하여, 촉각만을 지닌 식물을 지칭하는 용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53256
2021
Korean
단일 감관 생명체 ; 일근자 ; 자이나교 ; 생태주의 ; 니고다 ; one-sense living being ; ekendriyaj?va ; the theory of plant sentience ; j?va ; nigoda
KCI등재
학술저널
53-8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자이나 생태론의 근간이 되는 단일 감관 생명체 개념을 고찰한다. 이 단일 감관 생명체(ekendriyajīva)는 불교 문헌에서 일근자(一根者)라고 하여, 촉각만을 지닌 식물을 지칭하는 용어�...
본고는 자이나 생태론의 근간이 되는 단일 감관 생명체 개념을 고찰한다. 이 단일 감관 생명체(ekendriyajīva)는 불교 문헌에서 일근자(一根者)라고 하여, 촉각만을 지닌 식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자이나교에서는 촉각만을 지닌 생명체로서 식물뿐 아니라 땅, 물, 불, 공기(지수화풍)까지 인정하며, 이 존재들에게 의식성까지 부여하며 엄연한 중생(有情)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논의도 풍부하다. 이를 위해 자이나 대표적 교의서인 Tattvārthasūtra(TS)와 이에 대한 공의파 주석서 Sarvārthasiddhi(SS), 그리고 Gommatsāra Jīvakanda(GsJ), Syādvādamañjalī(SM) 등의 제 문헌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제Ⅱ장에서 자이나 존재론에서 영혼과 생명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혼이 카르마 및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신체化된 결과로서 생명체가 되었음을 고찰한다. 그리고 감관의 수에 따른 생명체의 분류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주로 SS를 통해 땅, 불, 불, 공기가 어떠한 생명체인지 고찰한다. 지수화풍을 엄연한 생명체로 인정함으로써 자연 환경을 보호하는 자이나 생태주의가 역설된다. Ⅳ장에서는 불교와 반대 입장인 자이나의 식물 중생설을 고찰하고, 식물에게서 생명성 뿐 아니라 의식성을 부여한 근거를 밝힌다. 더 나아가 자이나 특유의 극미 영혼이자 식물군으로 분류되는 니고다가 어떤 존재인지 소개하며, 현대 생물학의 관점에서 미생물, 바이러스로 추측될 수 있음을 언급한다.
환경윤리관은 인간중심에서 동물, 생명, 생태중심주의로 발전했으며 심층 생태론도 제창되었다. 자이나교의 환경윤리관은 분명하게 생명중심주의(biocentrism)이지만, 개체(種)의 생명성을 절대적으로 긍정하고 보호하는 생명관을 통해 단일 감관 생명체인 땅, 물, 불, 공기, 식물 및 극미의 미생물까지 보호하는 생태주의를 오히려 실제적으로 담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이나교의 경우는 ‘생명중심의 생태주의’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concept of a Jain living being and a one-sense living being(ekendriyajīva) to reveal the value of the Jaina ecology. The idea of ekendriyajīva, one sense living being, is often referred to in Buddhist texts as ...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concept of a Jain living being and a one-sense living being(ekendriyajīva) to reveal the value of the Jaina ecology. The idea of ekendriyajīva, one sense living being, is often referred to in Buddhist texts as 一根者 as a term referring to a plant that has only one-sense (touch). However, in Jainism, plants and earth, water, fire, and air are recognized as living organisms with only a sense of touch, giving them consciousness.
Chapter II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l and life-force in Jaina ontology in TS and SS and reveals that the soul became a living being due to being physicalized by the interaction with karma and matter. Besides, I present the classic concept of an ecosystem called lokākaśa(universe) and the classification of living being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es. Chapter Ⅲ examines the vitality of the earth, fire, fire, and air in SS. In Chapter IV, Jain theory of plant sentience, which is opposed to Buddhism, is examined. Jain admits the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vitality of plants. Furthermore, I focused on the subtle soul of Jaina are classified as a type of vegetable soul, and this nigoda is similar to microorganisms and viruses.
Environmental ethics have evolved from anthropoid centrism to animal, life-being, and ecocentrism. Among them, Jainism clearly shows biocentrism. But Jain"s lifecentred environmental ethics view is ecological. Jain ecology thoroughly affirms the vitality and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living being. So it can rather practically secure the ecological value that protects the earth, water, fire, air, and even microorga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효엽, "힌두교도의 이중적 생태의식에 미친 아드바이따 베단따의 영향" 인도철학회 (57) : 53-93, 2019
2 양영순, "자이나교의 요가 명상론: Yogaśāstra에 나타난 탄트라 요가와 비교하여" 동국대학교 2019
3 김미숙, "자이나교의 불살생론 연구 : 수행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병욱, "인도종교에 나타난 동물존중태도" 종교문화비평학회 21 (21): 45-86, 2012
5 박문성, "인도 고대 성전에 나타난 생명사상 ―'아타르바 베다' 12.1(대지 찬가)을 중심으로―" 신학과사상학회 (64) : 181-220, 2009
6 우제선, "식물은 중생인가" 한국종교교육학회 26 : 37-48, 2008
7 김광수, "불교의 가치관을 통해본 심층생태론 비판" 한국불교학회 (66) : 387-412, 2013
8 김종욱, "불교생태철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9 피터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8
10 宇野知行, "植物にジーブアはあるか" ジャイナ研究会, 第33回研究会. 於 大谷大学 2018
1 박효엽, "힌두교도의 이중적 생태의식에 미친 아드바이따 베단따의 영향" 인도철학회 (57) : 53-93, 2019
2 양영순, "자이나교의 요가 명상론: Yogaśāstra에 나타난 탄트라 요가와 비교하여" 동국대학교 2019
3 김미숙, "자이나교의 불살생론 연구 : 수행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병욱, "인도종교에 나타난 동물존중태도" 종교문화비평학회 21 (21): 45-86, 2012
5 박문성, "인도 고대 성전에 나타난 생명사상 ―'아타르바 베다' 12.1(대지 찬가)을 중심으로―" 신학과사상학회 (64) : 181-220, 2009
6 우제선, "식물은 중생인가" 한국종교교육학회 26 : 37-48, 2008
7 김광수, "불교의 가치관을 통해본 심층생태론 비판" 한국불교학회 (66) : 387-412, 2013
8 김종욱, "불교생태철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9 피터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8
10 宇野知行, "植物にジーブアはあるか" ジャイナ研究会, 第33回研究会. 於 大谷大学 2018
11 藤永伸, "ジャイナ教の生命觀" 55 : 57-68, 1989
12 渡辺硏二, "ジャイナ敎の植物観" 41 : 93-100, 1993
13 Majumdar, Girija Prasanna, "Vanaspati: Plants and Plant-life as in Indian Treatises and Traditions" University of Calcutta 1927
14 Jaini, J.L, "The sacred books of the Jains, Vol.Ⅱ" Today & Tomorrow's Printers & Publisher 1990
15 Rai Bahadur, J. L, "The Sacred Books of the Jainas, Vol. 6" The Central Jaina Publishing 1974
16 Jaini, P.S, "The Jaina Path of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td 1979
17 A.B. Duruva, "Syādvādamañjarī of Malliṣeṇa with the Anyayoga-Vyavaccheda-Dvātriṃaśikā of Hemacandr" Akshaya Prakashan 2005
18 Schmithausen, L, "Studia Philologica Buddhica Monograph Series Ⅴ"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1991
19 Yogaśāstra, "Muni Jāmbūvijaya. Vols. I-III" Jaina Sāhitya Vikāsa Maṇḍala 2007
20 Jain, Jagadīś Candra, "Life in Ancient India as Depicted in the Jain Canon and Commentaries: 6th century BC to 17th century AD"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984
21 Jaini, P.S,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1980
22 Pt. Pūlcandra Siddhanta Śāstrī, "Jñānapīṭha Mūrtidevī Granthamālā: Sanskrit Grantha No.13" 1971
23 Velankar, H.D, "Jinaratnakośa: An Alphabetical Register of Jain Works and Authors"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944
24 Chapple, C.K, "Jainsm and Ecology" Havard CSWR 2002
25 Wiley, K.L, "Jainsm and Ecology" Havard CSWR 2002
26 Tulasī, Gaṇādhipati, "Jaina Āgama: Vanaspati Kośa" Jaina Viśva Bhāratī 1996
27 Jacobi, H, "Jaina Sutras, Part Ⅱ" Dover Publications Inc 1984
28 Yuvacharya, Mahashramana, "Jaina Pāribhāṣika Śabdakośa Dictionary of Technical Terms of Jainism" Jain Vishva Bharati 2009
29 Shāstri, Bālchandra Siddhānta, "Jaina Lakṣaṇāvalī An authentic discriptive dictionary of Jaina philosophical terms Vol 3" Vir Sewa Mndir 1979
30 Sikdar, J.C, "Jaina Biology" L.D. Institute of Indology 111-, 1992
31 Wiley, K.L, "Historical Dictionary of Jainism" The Scarecrow Press Inc 2004
32 Rai Bahadur J. L, "Gommatsara Jiva-Kanda(PartⅠ)" AMS Press 1974
33 House, "First rep" AMS Press 192
34 Qvarnström, Olle, "A Handbook on the three jewels of Jainism the Yogaśāstra of Hemacandra" 2012
『인도 센서스』의 종교별 인구 조사와 종교 커뮤널리즘의 성장, 1871~1941
다시 보는 한·인도 CEPA와 무역수지: 합성대조방법을 활용한 실증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5-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12-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아시아연구소 -> 인도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 Institute of Indi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7 | 0.84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