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 설계강우 지속기간 산정방법을 중심으로  :  (Operation and Research o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Catchment: Review of Duration of Design Stor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accurate and reliable hydrological data, to analyze the basic runoff characteristics at the Se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to propose the guide for duration of design storm suitable for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ritical duration at Selma-Cheon and 3-IHP experimental catchments. We obtain the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rainfall from 5-station, river-stage, discharge, water quality from 2-stage station, and meteorological data from a station via the persistent maintenance of instruments during 2001. Then the mean areal rainfall and streamfiow are calculated for 2 river-stage gauging stations. These data are composed of the time units of ten minute, an hour, and a day and stored into Hydrologic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HISS) in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echnology (KICT) for the dissemination to users. Also, it i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 runoff rate by year and month and for main storm events using the observed rainfall and runoff data. In addition,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is calculated at 18 basins in Selma-Cheon and 3-IHP experimental catchments by each hydrological condition. Using these results, the effect of hydrological factor on critical duration is analyzed and peak discharge at critical duration is compared with the one at 24hr duration by runoff model in each hydrological condition. From this result, the limit for application of critical duration can be presented approximatel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duration is carried out for the estim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onsequently, a simple equation is proposed by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using a peak time of unit hydrograph and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with high correl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accurate and reliable hydrological data, to analyze the basic runoff characteristics at the Se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to propose the guide for duration of design storm suitable for hydrologic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accurate and reliable hydrological data, to analyze the basic runoff characteristics at the Se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to propose the guide for duration of design storm suitable for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ritical duration at Selma-Cheon and 3-IHP experimental catchments. We obtain the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rainfall from 5-station, river-stage, discharge, water quality from 2-stage station, and meteorological data from a station via the persistent maintenance of instruments during 2001. Then the mean areal rainfall and streamfiow are calculated for 2 river-stage gauging stations. These data are composed of the time units of ten minute, an hour, and a day and stored into Hydrologic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HISS) in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echnology (KICT) for the dissemination to users. Also, it i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 runoff rate by year and month and for main storm events using the observed rainfall and runoff data. In addition,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is calculated at 18 basins in Selma-Cheon and 3-IHP experimental catchments by each hydrological condition. Using these results, the effect of hydrological factor on critical duration is analyzed and peak discharge at critical duration is compared with the one at 24hr duration by runoff model in each hydrological condition. From this result, the limit for application of critical duration can be presented approximatel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duration is carried out for the estim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onsequently, a simple equation is proposed by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using a peak time of unit hydrograph and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with high corre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국내 수문특성에 적합한 설계강우 지속기간 산정방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올해에도 예년과 같이 지속적으로 수문관측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질을 높이고 결측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측기기의 일상점검과 꾸준한 유지관리와 보수가 있었다. 시험유역에서 생성된 자료는 5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 2개 수위관측소의 수위, 유량측정성과, 수질자료, 1개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등의 관측자료가 있으며, 이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우량과 우량자료 등이 있다. 관측자료와 가공자료는 10분, 1시간, 1일 자료로 구성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운영하는 수문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시공간 분포 특성, 유출률 분석 등 기본적인 강우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유역의 전적비교 1개 지점과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평창강, 보청천, 위천의 17개 지점에 대해 각 수문요소 조건별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고, 여러가지 수문요소별 영향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요소별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유역특성인자와 임계지속기간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이들 인자들의 영향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단위도의 첨두시간과 임계지속기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들 두 가지 인자 사이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간단한 임계지속기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국내 수문특성에 적합한 설계강우 지속기간 산정방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올해에도 예년과 같이 지속적으로 수문관측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질을 높이고 결측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측기기의 일상점검과 꾸준한 유지관리와 보수가 있었다. 시험유역에서 생성된 자료는 5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 2개 수위관측소의 수위, 유량측정성과, 수질자료, 1개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등의 관측자료가 있으며, 이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우량과 우량자료 등이 있다. 관측자료와 가공자료는 10분, 1시간, 1일 자료로 구성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운영하는 수문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시공간 분포 특성, 유출률 분석 등 기본적인 강우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유역의 전적비교 1개 지점과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평창강, 보청천, 위천의 17개 지점에 대해 각 수문요소 조건별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고, 여러가지 수문요소별 영향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요소별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유역특성인자와 임계지속기간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이들 인자들의 영향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단위도의 첨두시간과 임계지속기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들 두 가지 인자 사이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간단한 임계지속기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유역 개요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유역 개요
      • 2.1 개황
      • 2.2 지형
      • 2.3 지질
      • 2.4 산림ㆍ토양
      • 3. 수문ㆍ기상관측소의 운영
      • 3.1 관측소 현황
      • 3.2 우량관측소
      • 3.3 수위관측소
      • 3.4 기상관측소
      • 3.5 실시간 우량/수위 관측시스템
      • 3.6 관측소 유지관리
      • 4. 수문자료의 수집 및 검토
      • 4.1 자료 처리 절차
      • 4.2 강우관측 및 자료검토
      • 4.3 수위관측 및 자료검토
      • 4.4 유량측정 및 자료검토
      • 4.5 유량 환산
      • 4.6 유사량 측정 및 분석
      • 4.7 기상관측 현황
      • 4.8 수질측정 현황
      • 4.9 자료 등록 및 제공
      • 5. 강우-유출 특성분석
      • 5.1 올해의 기상 개황
      • 5.2 강우특성 분석
      • 5.3 유출특성 분석
      • 6. 향후 시험유역 운영계획
      • 6.1 관측기기 확충 및 유지관리
      • 6.2 수문관측 및 분석
      • 6.3 자료처리 및 제공 시스템 완성 및 운영
      • 6.4 유출 분석
      • 7. 요약 및 결론
      • 7.1 연구 요약
      • 7.2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3 연구 내용 및 범위
      • 1.4 연구 방법
      • 2. 연구성과 몇 설계기준 검토
      • 2.1 주요 연구성과 검토
      • 2.2 국내외 설계강우 지속기간 선정기준 검토
      • 3. 임계지속기간 이론
      • 3.1 임계지속기간의 개념
      • 3.2 임계지속기간 산정절차
      • 4. 적용된 수문모형에 대한 고찰
      • 4.1 확률강우량
      • 4.2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
      • 4.3 SCS 유출곡선지수법
      • 4.4 유출모형의 개요
      • 5. 임계지속기간의 산정
      • 5.1 임계지속기간 산정방법 요약
      • 5.2 대상유역
      • 5.3 입력자료 구축
      • 5.4 임계지속기간 산정결과
      • 6.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의 검토
      • 6.1 임계지속기간의 비교 검토
      • 6.2 유출모형별 임계지속기간에서의 홍수량 분석
      • 6.3 유역특성인자와의 상관분석
      • 6.4 임계지속기간 산정식의 유도
      • 6.5 임계지속기간 적용방법
      • 7. 요약 및 결론
      • 7.1 연구 요약
      • 7.2 결론
      • 참고문헌
      • 1편부록
      • I-1. 수문자료 처리절차
      • I-2. 설마천 시험유역 수문자료 구성양식
      • 2편부록
      • II-1. 설마천 유역 임계지속기간 산정결과
      • II-2. 평창간 유역 임계지속기간 산정결과
      • II-3. 보청천 유역 임계지속기간 산정결과
      • II-4. 위천 유역 임계지속기간 산정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