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국내 수문특성에 적합한 설계강우 지속기간 산정방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올해에도 예년과 같이 지속적으로 수문관측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질을 높이고 결측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측기기의 일상점검과 꾸준한 유지관리와 보수가 있었다. 시험유역에서 생성된 자료는 5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 2개 수위관측소의 수위, 유량측정성과, 수질자료, 1개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등의 관측자료가 있으며, 이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우량과 우량자료 등이 있다. 관측자료와 가공자료는 10분, 1시간, 1일 자료로 구성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운영하는 수문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시공간 분포 특성, 유출률 분석 등 기본적인 강우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유역의 전적비교 1개 지점과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평창강, 보청천, 위천의 17개 지점에 대해 각 수문요소 조건별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고, 여러가지 수문요소별 영향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요소별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유역특성인자와 임계지속기간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이들 인자들의 영향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단위도의 첨두시간과 임계지속기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들 두 가지 인자 사이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간단한 임계지속기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