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신동엽 시의 외연을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함으로써 그의 시세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신동엽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은 등단 이후의 작품으로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1873
2021
Korean
신동엽 ; 습작기 ; 사랑 ; 실패 ; 한국전쟁 ; 죽음 ; 주체 ; 욕망 ; 혁명 ; Shin Dong-yup ; Apprenticeship Period ; Love ; Failure ; Korean War ; Death ; Subject ; Desire ; Revolution
KCI등재
학술저널
277-309(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동엽 시의 외연을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함으로써 그의 시세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신동엽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은 등단 이후의 작품으로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동엽 시의 외연을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함으로써 그의 시세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신동엽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은 등단 이후의 작품으로 이루어져왔다. 신동엽의 시의 정수는 등단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하며 발표한 작품에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발표작이 곧 신동엽의 ‘전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특히 신동엽은 1959년 등단 이후 1969년 작고하기까지 짧은 활동기간에 비해 오랜 기간 동안 습작시를 남겼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습작기를 비롯한 미발표작은 공식적으로 발표한 작품에 비하여 그 한계가 뚜렷한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신동엽의 시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신동엽 시세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학’에 대한 사유는 등단 이전부터 천착해 왔으며, 등단작은 그의 시의 시작점이라기보다는 진행 중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동엽의 시세계의 전반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 이전의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고에서는 습작기 시에 나타는 ‘사랑’과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신동엽 습작 초기 에서는 대상에 대한 욕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시편이 중심을 이루는 한편, 현실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시 또한 일부 찾아볼 수 있다. 두 시편을 견주어 볼 때 ‘욕망의 주체’가 지닌 힘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곧,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시적 주체의 끊임없는 욕망의 분출은 현실을 바라보는 관점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습작기에서 시적 전환은 ‘한국전쟁’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환의 핵심은 ‘전쟁’을 통해 ‘죽음’에 대한 사유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에 있다. 이 때, 개인적 차원에서 머물던 시적 주체의 시야가 ‘공동체’로 확장된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할 점은 시적 주체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실패한 혁명’의 위치를 자임하고자 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시적 주체의 태도는 새로운 세계와 질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질서와 체계에 끊임없는 균열을 일으킴으로써 ‘가능성’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곧, 「시인정신론」의 핵심 개념인 ‘귀수성(歸數性)’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동엽의 시세계는 습작기 시에 나타나는 ‘사랑과 죽음’의 전개 과정을 함께 놓을 때, 보다 세밀한 접근이 가능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etic world by extending the extension of Shin Dong-yup’s poetry to the study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discussion about Shin Dong-yup has been made up of works after his de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etic world by extending the extension of Shin Dong-yup’s poetry to the study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discussion about Shin Dong-yup has been made up of works after his debut. Clearly, the essence of Shin Dong-yup"s poetry lies in the works he published while working in earnest after his debut. Howeve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ed work is Shin Dong-yup’s ‘whol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from his debut in 1959 to his death in 1969, he wrote poems for a long period of time against the short period of activity.
It is true that the unpublished works, including the study period, have distinct limitations compared to the officially published works. However, it is also a point where we can examine how Shin Dong-yup’s poetic world has been formed. Shin Dong-yup’s thoughts on ‘Donghak’,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poetic world, have been studied since before his debu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debut work was in progress rather than the starting point of his poetry.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amine the whole of Shin Dong-yup’s poetic worl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by extending it to the period of study before that.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meaning of ‘love’ and ‘death’ in the study period. In the earliest Shin Dong-yup"s apprenticeship, the main focus is on the poems that directly reveal the desire for the subject, while there are also some poems that deal directly with real problems. When we compare the two poems, we can discover the power of the ‘subject of desire’. This shows that the poetic subject’s continuous outburst of desire for an absen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point of view of real problems.
The poetic transition from the apprenticeship takes place through the ‘Korean War’. The key to the transformation lies in the fact that thinking about ‘death’ takes place in earnest through ‘war’. At this time, the poetic subject’s perspective, which stayed at the individual level, is expanded to the ‘community’. At the same time, what should be noted is the attitude of the poetic subject to assume the position of a ‘failed revolution’ by ‘chose death’. This poetic subject’s attitude does not create a new world and order, but creates a space of ‘possibility’ by constantly creating cracks in the existing order and system. It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at thi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e concept ‘Guisuseong(歸數性)’ of ‘The Poet’s Spirit’.
A more detailed approach to Shin Dong-yup"s poetic world is possible when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failure of love and revolution" that appears during the study period is put toge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경, "한국전쟁 체험 양상별 시인 연구 - 김수영, 신동엽, 박인환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571-605, 2021
2 차성환, "팬데믹 이후의 인문학과 ‘전경인(全耕人)’" 한국언어문화학회 (73) : 5-35, 2020
3 김응교, "좋은 언어로" 소명출판 2019
4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새물결 2013
5 자크 라캉, "에크리-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6 최진석, "아나키의 시학과 윤리학 - 신동엽과 크로포트킨" 한국비교문학회 (71) : 117-152, 2017
7 유승, "신동엽의 아나키스트적 상상력" 한국학연구소 (41) : 195-221, 2012
8 김란희, "신동엽과 한국문학" 역락 11-28, 2011
9 박은미, "신동엽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80) : 7-36, 2021
10 신동엽, "신동엽 시 전집" 창비 2013
1 임수경, "한국전쟁 체험 양상별 시인 연구 - 김수영, 신동엽, 박인환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571-605, 2021
2 차성환, "팬데믹 이후의 인문학과 ‘전경인(全耕人)’" 한국언어문화학회 (73) : 5-35, 2020
3 김응교, "좋은 언어로" 소명출판 2019
4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새물결 2013
5 자크 라캉, "에크리-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6 최진석, "아나키의 시학과 윤리학 - 신동엽과 크로포트킨" 한국비교문학회 (71) : 117-152, 2017
7 유승, "신동엽의 아나키스트적 상상력" 한국학연구소 (41) : 195-221, 2012
8 김란희, "신동엽과 한국문학" 역락 11-28, 2011
9 박은미, "신동엽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80) : 7-36, 2021
10 신동엽, "신동엽 시 전집" 창비 2013
11 신동엽, "신동엽 산문전집" 창비 2013
12 이나영, "신동엽 문학사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 고찰" 한국어문학회 (144) : 259-302, 2019
13 레나타 살레클, "사랑과 증오의 도착들" b 2003
14 신동엽, "꽃같이 그대 쓰러진" 실천문학사 1988
15 강재철, "국민방위군의 행로-국민방위군 강순봉 인터뷰" 인천작가회의(작가들) 71 : 217-237, 2019
16 남정욱, "6·25전쟁시 예비전력과 국민방위군" 한국학술정보(주) 2010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비즈니스 요청 화행의 수행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세계문학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