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시의 중심 주제가 1964년을 기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이미 있어왔다. 이 글은 그 중 김수영의 문학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1964년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1872
2021
Korean
한일협정 ; 65년 체제 ; 베트남전 ; 미메시스 ; The Korea-Japan Agreement ; Vietnam ; Kim Sooyoung ; Mimesis ; 65 year system
KCI등재
학술저널
255-276(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김수영 시의 중심 주제가 1964년을 기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이미 있어왔다. 이 글은 그 중 김수영의 문학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1964년과...
김수영 시의 중심 주제가 1964년을 기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이미 있어왔다. 이 글은 그 중 김수영의 문학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1964년과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결정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확정된 때이다. 학계에서는 ‘65년 체제’라는 명칭을 이미 부여하고 있지만, 이 주제와 관련한 한국문학의 논의는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렇다는 것은 65년 체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인식이 그다지 깊지 않다는 사실을 뜻한다. 이 문제를 김수영에게로 가져와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했다. 1)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당대의 동아시아 체제에 연동되어 있다는 점에서 근대 식민체제와 전후민주주의에 대한 김수영의 기억과 반응을 분석하고 김수영이 4.19의 시인인데서 멈추지 않고 제국적 질서에 대응하는 세계시민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역사적 층위이다. 2) 식민주의 체제에 대한 대응으로 망각이 아니라 개별자들의 소규모적 실천으로 실현하는 민주주의의 담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정치적 층위이다. 이는 당대 한국문학의 윤리에 대한 확인이기도 한데, 이 논문은 이 윤리가 당대의 베트남 전쟁과 관련되어 있음을 살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 of Kim Soo-young’s poetry has changed since 196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Vietnam. 1964 and 1965 were the t...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 of Kim Soo-young’s poetry has changed since 196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Vietnam. 1964 and 1965 were the times when the historical facts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ecision to dispatch troops to Vietnam were confirmed. Although the academic community has already given the name ‘65-year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in Korean literature on this topic. This means that our own perception of the 65-year system is not very deep. Bringing this issue to Soo-young Kim, we confirmed the following: 1) In the sense that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are linked to the East Asian system of the time, Kim Soo-young’s memory and reaction to the modern colonial system and post-war democracy are analyzed. Kim Soo-young does not stop as a poet of 4.19 rather shows the image of a global citizen responding to the imperial order. This is the historical layer of his poetry. 2) The point is that it insists on the discourse of democracy that realizes the response to the colonial system through small-scale practice of individuals rather than oblivion. This is the political layer of his poetry. This is also a confirmation of the ethic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this thesis examines that this ethics i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Vietnam Wa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M. 하이데거, "횔덜린의 송가" 서광사 2009
2 김상환,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민음사 2000
3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소명출판 2020
4 박태균, "베트남 파병을 둘러싼 한미 협상 과정: 미국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74) : 144-189, 2006
5 박대현,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6 최현식,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7 하상일,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8 고봉준,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9 야마모토 요시타카, "나의 1960년대" 돌베개 2017
10 "김수영 전집 1, 2" 민음사 2018
1 M. 하이데거, "횔덜린의 송가" 서광사 2009
2 김상환,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민음사 2000
3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소명출판 2020
4 박태균, "베트남 파병을 둘러싼 한미 협상 과정: 미국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74) : 144-189, 2006
5 박대현,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6 최현식,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7 하상일,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8 고봉준,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삶창 2020
9 야마모토 요시타카, "나의 1960년대" 돌베개 2017
10 "김수영 전집 1, 2" 민음사 2018
11 이승규, "김수영 시의 역설 의식 연구" 한국문학회 (73) : 247-275, 2016
12 マルティン ハイデッガ―, "藝術作品のはじまり" 理想社 1966
13 マルティン ハイデッガ―, "ヘルダ―リンの詩の解明" 理想社 1967
14 Steven Ungar, "Scandal & Aftereffect-Blanchot and France since 1930" Minnesota Univ. Press 1994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비즈니스 요청 화행의 수행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세계문학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