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무선 인터넷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유선 인터넷을 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69319
경산 :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 디자인학 시각영상디자인 , 2013. 2
2013
한국어
경상북도
; 26 cm
지도교수: 홍창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무선 인터넷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유선 인터넷을 주 ...
최근 무선 인터넷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유선 인터넷을 주 기반으로 하던 e-러닝 환경이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학습으로 확대되어 국내 사이버대학들도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캠퍼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국내 사이버대학에서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높아진 상호작용성을 최적화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사이버대학들이 제공하던 동영상 강의를 그대로 스마트폰에서 구현하거나 학습관리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가지는 교육적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 개발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변화하고 있는 국내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이버대학 내 정보를 이용하는 데 디자인 측면에 중점을 둔 UI(User Interface) 개선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사이버대학의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사이버대학 중 분류별로 상위5위 안의 대학 7개(경희, 한양, 서울디지털, 서울, 한양, 영진, 영남)의 메인페이지 인터페이스에 대해 UI 구성요소인 콘텐츠 정보구조, 네비게이션(Navigation), 레이아웃(Layout), 레이블(label), 아이콘(Icon),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컬러(Color)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사례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종합하면 모바일 웹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나 강의실, 지원서작성, 학사정보 등의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는 모바일 앱, 즉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나왔고 몇몇 사이버대학교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방적인 콘텐츠의 구성을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심플한 레이아웃을 지니는 등의 서비스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만한 기제가 부족하여 사용자 이용률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의 선택 빈도에 따라 사용횟수가 높은 콘텐츠를 우석적으로 배치하고, 부가적인 서비스의 노출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네비게이션은 가장 간단하고 짧은 경로로 만들며 메인화면으로 바로가는 경로를 항상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레이아웃, 메뉴의 화면구성, 레이블에 있어서 각 대학별로 통일성과 일관성이 강조되며 간편한 구성일 것을 제안한다.
넷째, 아이콘은 단순화되고 알아보기 쉬운 이미지를 사용하고, 의미를 담고 있는 모든 형태의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를 적절히 혼합해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이 높은 서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웹 컬러를 기준으로 하고 Point Color는 주로 아이덴티티의 컬러를 사용하여 대학 이미지를 나타내어 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갖되 강한 컬러의 사용보다는 아이콘 및 텍스트의 주목성을 살리기 위한 컬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기존의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였고 더 발전된 모바일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제작 가이드라인 표준안을 제안한다. 이는 개선된 UI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서비스의 유용성, 편리성을 만족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UI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 연구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모바일 시장규모의 발전 추세에 따라 더욱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