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산림세라피 정책 특성 분석을 통한 전라남도 치유의 숲 정책 제언 = A Proposal Concerning the Healing Forest Policy of Jellanamdo Areas through an Analysis of the Japan`s Forest Therapy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32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public`s concern and need regarding healing forests have rapid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healing forest policy for the Jellanam-do area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therapy policy in Japan. We especiall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lanning and designing a warm temperate forest therapeutic in the small islands. Aspects on managements propose a customized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target segmentation and publicity through publication. Also, aspects related with the policy system propose two methods. Firstly, the healing forest should be classified in order to specialize the induction of therapeutic prosperities. Moreover, it is to implement a healing forest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complementary interaction between the forest interpreter and therapist.
      번역하기

      Recently, the public`s concern and need regarding healing forests have rapid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healing forest policy for the Jellanam-do area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therapy policy in Japan. We e...

      Recently, the public`s concern and need regarding healing forests have rapid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healing forest policy for the Jellanam-do area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therapy policy in Japan. We especiall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lanning and designing a warm temperate forest therapeutic in the small islands. Aspects on managements propose a customized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target segmentation and publicity through publication. Also, aspects related with the policy system propose two methods. Firstly, the healing forest should be classified in order to specialize the induction of therapeutic prosperities. Moreover, it is to implement a healing forest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complementary interaction between the forest interpreter and therapi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우, "치유의 숲 조성 방향, In 산림" 산림조합중앙회 34-37, 2009

      2 장흥군, "정남진 장흥군 치유의 숲 기본계획 보고서" 93-99, 2010

      3 이원희, "전남발전연구원, 녹색의 땅, 전남 산림자원의 관광적 활용방인 모색" 33-64, 2011

      4 송태갑, "전남 치유의 숲 조성 및 실행프로그램 개발방향" (195) : 1-45, 2011

      5 김선명, "전남 도서지역 교육 및 복지 실태조사" 전남발전연구원 1-85, 2009

      6 유리화, "우리는 왜 지금 산림치유에 주목하는가?, In 산림" 산림조합중앙회 54-57, 2009

      7 산림청, "난대림 생물산업화를 위한 복구 개발 산·학·관 협동 실현연구(Ⅴ)" 95-98, 2003

      8 NPO法人 森林セラピ-ソサエテイティ, "森林セラピ-ガイドブック" (株)JTBパブリッシンクグ 8-15, 2009

      9 전라남도, "21C 전남도서 발전전략 보고서" 1-682, 2000

      1 이준우, "치유의 숲 조성 방향, In 산림" 산림조합중앙회 34-37, 2009

      2 장흥군, "정남진 장흥군 치유의 숲 기본계획 보고서" 93-99, 2010

      3 이원희, "전남발전연구원, 녹색의 땅, 전남 산림자원의 관광적 활용방인 모색" 33-64, 2011

      4 송태갑, "전남 치유의 숲 조성 및 실행프로그램 개발방향" (195) : 1-45, 2011

      5 김선명, "전남 도서지역 교육 및 복지 실태조사" 전남발전연구원 1-85, 2009

      6 유리화, "우리는 왜 지금 산림치유에 주목하는가?, In 산림" 산림조합중앙회 54-57, 2009

      7 산림청, "난대림 생물산업화를 위한 복구 개발 산·학·관 협동 실현연구(Ⅴ)" 95-98, 2003

      8 NPO法人 森林セラピ-ソサエテイティ, "森林セラピ-ガイドブック" (株)JTBパブリッシンクグ 8-15, 2009

      9 전라남도, "21C 전남도서 발전전략 보고서" 1-682,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