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트렌트와 경제 구조의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의 역할이 확대되고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양적 수준은 투자가 증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71062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2020
한국어
국가연구개발사업 ; 연구개발 협력 ; 질적 효율성 ; 연구개발 효율성 ; R&D효율성 ; DEA ; DEA/Window
서울
142 ; 26 cm
지도교수: 조남욱
I804:11034-2000003362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업 트렌트와 경제 구조의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의 역할이 확대되고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양적 수준은 투자가 증가...
산업 트렌트와 경제 구조의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의 역할이 확대되고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양적 수준은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고 있는 반면, 질적 수준의 향상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이하 DEA) 모형과 DEA/Window 모형을 이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질적 수준을 효율성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과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사업의 논문 성과와 특허 성과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 과학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의 양적·질적 효율성은 사업수행 주체 또는 분석관점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연구개발 특성, 연구개발 협력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사업 수행주체뿐만 아니라, 대상 성과 유형, 연구개발 특성, 연구개발 협력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 주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의 질적 효율성 관리를 위해서는 연구개발단계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초연구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개발연구에서 질적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민간 주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의 질적 효율성 관리를 위해서는 연구수행주체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철강화학 분야의 경우, 대학이 수행한 과제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중견기업이 수행할 경우 질적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개발 분야, 연구수행주체별 특성에 따른 효율성의 시계열적인 안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 섬유세라믹 분야, 대기업에서 질적 효율성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적으로는 철강화학 분야, 중소/중견기업에서 질적 효율성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주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의 질적 효율성 관리를 위해서는 연구수행주체, 공동연구 유무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연구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적 효율성과 공동연구 기관 수 간 상관분석 결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단독연구의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지지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민간 주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의 질적 효율성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연구수행주체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출연연구소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에서 질적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기관 수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기업에서 2개 기관 이상과 협력 시 질적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에서 2개 기관 이상과 협력 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 규모에 따른 연구개발 역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금속 분야와 화학공정 분야의 연구수행주체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 분야의 출연연구소에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공정 분야의 대기업에서 질적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화학공정 분야의 경우, 화학산업의 특성 상 대기업이 국산화가 미흡한 분야나 중소기업이 추진하기 어려운 대규모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금속 분야의 협력 기관 수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 분야의 1개 기관과 협력 시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적 효율성과 금속 분야 협력 기관 수 간 상관분석 결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협력 기관 수가 적을수록 질적 효율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지지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질적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효율성 관리 대상 성과의 유형을 특정하고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개발 과제 특성에 따라 과학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의 질적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연구수행주체 및 연구개발 협력 유형을 사업 계획 수립과 예산 편성 단계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효율성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 가운데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과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사업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보다는 추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의 질적 수준 관리를 위한 정책적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R&D invest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quantitative outputs such as number of papers and patents have also increased with the investment. However, the quality of R&D outputs has not been fully addressed. I...
Korea’s R&D invest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quantitative outputs such as number of papers and patents have also increased with the investment. However, the quality of R&D outputs has not been fully addressed.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R&D outputs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In this paper, a Data Envelopment Analysis(DEA)/Window method was used to construct models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analysis of R&D investment. Indices were proposed to analyze the qualitativ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The Impact Factor of SCI paper was used as a qualitative index of scientific performance, and a smart score of domestic patent was used as a qualitative index of technical performance. This model was used to analyz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of scientific performance and the technical performance. Based on cases R&D projects of Korea,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projects were analyzed and factors that would influence R&D efficiencies were identified.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roving R&D efficiency. Also, it is recommended to carefully consider research fields,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ve types of R&D projects during the planning stag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manage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R&D projects' efficiency.
목차 (Table of Contents)
1 신건권, 안건식, "“회계측정론”", 신영사, 1995
2 오동현, 이정동, "『효율성분석이론』", 지필미디어, 2012
3 고길곤, "“효율성 분석 이론”", 문우사, 2017
4 박만희,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5 김성진, 이상엽, 엄익천, 박석종, 김인자, "“국가연구개발사업 백서”", KISTEP, 2006
6 이장재, "“연구개발 조직과 생산성”", STEPI 과학기술정책동향, 1996
7 김성호, 최태성, 이동원, "“효율성 분석 : 이론과 활용”", 서울경제경영, 2007
8 김홍영,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2019-027, 2019
9 김주일, 한웅용,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KISTEP, 조 사자료 2019-002, 2019
10 구찬림, 정준호, 이종아, "“은행점포의 입지 유형별 효율성 분석”", 대 한부동산학회지, 33(1), 2015
1 신건권, 안건식, "“회계측정론”", 신영사, 1995
2 오동현, 이정동, "『효율성분석이론』", 지필미디어, 2012
3 고길곤, "“효율성 분석 이론”", 문우사, 2017
4 박만희,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5 김성진, 이상엽, 엄익천, 박석종, 김인자, "“국가연구개발사업 백서”", KISTEP, 2006
6 이장재, "“연구개발 조직과 생산성”", STEPI 과학기술정책동향, 1996
7 김성호, 최태성, 이동원, "“효율성 분석 : 이론과 활용”", 서울경제경영, 2007
8 김홍영,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2019-027, 2019
9 김주일, 한웅용,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KISTEP, 조 사자료 2019-002, 2019
10 구찬림, 정준호, 이종아, "“은행점포의 입지 유형별 효율성 분석”", 대 한부동산학회지, 33(1), 2015
11 김재경, 이봉수, 김준현, "“DEA를 이용한 농림 R&D 사업의 효율성 분 석”", 무역학회지, 45(1), 47-64, 2020
12 김명관, 홍사균, 조현대, 정윤성, 오윤정, 송완흡, 성태경, "“연구개발성 과의 질적 평가체계 구축 방안”", STEPI 정책연구 2016-06, 2016
13 박종혜, 황석원, 최승현, 천동필, 안두현, 김아름, 권성훈, "국가연구개발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9-24, 2009
14 이영규, 이찬섭, "“지역정보화기본계획 수립방향에 대한 연구”", 디지 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2), 2005
15 송광석, 최민영, 유한주, "“DEA를 이용한 BSC기반의 은행지점 효율성 평가”", 한국경영공학회지, 15(2), 177-195, 2010
16 나기주, "“재벌 내부거래 연결망의 정태적 동태적 분석”", 박사학위논 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 pp. 13~14, 2017
17 김명관, 최태진, 조현대, 정윤성, 이영훈, 서지영, "“국가연구개발사업 정성평가 현황과 발전방향”", STEPI 정책연구 2015-25, 2015
18 박창일, 서호준, "“6T 분야별 국가 R&D사업의 효율성과 생산성변화”", 한국경제연구, 3(1), 293-325, 2018
19 이성희, "DEA를 활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 평가", 박 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 pp. 45~57, 2016
20 강다연, 김종기, "“DEA를 이용한 ERP시스템 도입기업의 경영효율성.”",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8(8), 147-157, 2008
21 신태영, "“생산구조와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의 동태적 변화”", STEPI Issue & Policy 2012, 56, 2012
22 김기석, 이형석, "“DEA 모형을 이용한 한국 철강 산업의 효율성 분 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6), 197~198, 2007
23 김기태, 임요준, "“DEA를 이용한 해군장교 인사자료평가에 관한 연 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4(3), 1-12, 2019
24 반승현, 한동훈, "“DEA를 이용한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의 효율성 분 석”", e-비즈니스연구, 15(3), 197~203, 2014
25 김창범,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과 금융정책”", 산업경 제연구, 25(1), 801-825, 2012
26 강광남, 홍순기, 주상호, 조황희, 이정원, 이달환, "“국가연구개발사업 종 합조정 및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995
27 김종운, 하규수, "“주요국의 정부 연구개발(R&D) 평가제도에 관한 비 교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1(4), 77-90, 2013
28 이형진, "“국방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국방과 기술, 448, 70-83, 2016
29 김경화, 정상기, 박석종, "과학기술적 성과 관점에서 정부 R&D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4(2), 205-222, 2011
30 강근복, 최지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창출 영향요인에 관 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9(1), 161-190, 2016
31 김성식, 오중근, 박정로, 김재준,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국내 대형 건축사사무소의 효율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8(9), 165-172, 2012
32 강원진, 여인국, 박정희, 김흥규, "“DEA를 이용한 R&D 사업의 효율성 비교 : 원천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6(3), 126-132, 2013
33 강원진, 배진희, 김흥규, "“DEA를 활용한 R&D 프로젝트의 효율성 비 교 : 산업기술사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8(3), 29-38, 2015
34 김기석, 이형석, "“DEA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해운업체의 정태적ㆍ 동태적 효율성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9(4), 195-205, 2006
35 변상규, 한정희, "“국가 R&D 사업 효율성 연구 : 신성장동력핵심기술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 15(2), 179-206, 2009
36 임광혁, 홍한국, 임병학, "“DEA/Window 분석을 통한 지방 자치단체의 시대별 효율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7), 276-284, 2009
37 백철우, 홍세호, 엄익천, "“영역조절모형(RAM)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9(4), 711-735, 2016
38 양창준, 홍정식, 이학연, "국내 IT 산업 부문 간 효율성 비교 평가 : 자 료포락분석(DEA)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지, 17(1), 147-160, 2012
39 안두현, 홍순기, 홍사균, "연구개발투자의 산업부문간 흐름과 직간 접 생산성증대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1
40 문경주,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 부산지역 21개 공공도서 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 59-92, 2009
41 김태수, 이학연, 이성희,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 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경영과학, 32(4), 193-207, 2015
42 이동호, 이수철, "“Cumulative DEA/Malmquist Index 기법을 이용한 정 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 효율성 변화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41(1), 99-111, 2016
43 김인호, 이계석, 안성봉, 김태희,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국가연구 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 지, 12(1), 2009
44 이철행, 조근태, "“DEA를 이용한 보건의료기술 R&D 사업의 효율성 분 석과 전략적 포트폴리오 모형 : 중개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40(2), 172-18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