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효재,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1999
2 정민아,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 본북스 2016
3 정희진, "포스트 식민주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 문학동네 23 (23): 2016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목소리들" 나무연필 2017
6 이나영,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구술사의 정치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40, 2016
7 김수진,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5-72, 2013
8 심영희, "침묵에서 증언으로 :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귀국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3 (23): 115-146, 2000
9 정지영, "침묵과 망각으로 말하는 ‘구술/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7-135, 2015
10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 이효재,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1999
2 정민아,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 본북스 2016
3 정희진, "포스트 식민주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 문학동네 23 (23): 2016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목소리들" 나무연필 2017
6 이나영,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구술사의 정치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40, 2016
7 김수진,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5-72, 2013
8 심영희, "침묵에서 증언으로 :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귀국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3 (23): 115-146, 2000
9 정지영, "침묵과 망각으로 말하는 ‘구술/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7-135, 2015
10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1 양현아,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한국여성학회 22 (22): 133-167, 2006
12 양현아, "증언과 역사쓰기-한국인 “군 위안부”의 주체성 재현" 한국사회사학회 60-96, 2001
13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뿌리와이파리 2013
14 임지현, "적대적 공범자들" 소나무 2005
15 이나영, "일본군 ‘위안부’ 운동 : 포스트/식민국가의 역사적 현재성"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41-78, 2010
16 上野千鶴子,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 현실문화연구 2014
17 한혜인, "우리가 잊은 할머니들... 국내 첫 커밍아웃 이남님, 타이에서 가족 찾은 노수복" 한겨레신문
18 김주희, "여성 ‘몸-증권화’를 통한 한국 성산업의 정치경제적 전환에 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1) : 142-173, 2016
19 김주희, "속도의 페미니즘과 관성의 정치" 문학과 지성사 29 (29): 19-34, 2017
20 김주희, "성매매 여성들의 “재여성화 전략”으로서의 ‘외모관리-소비’ 활동에 대한 여성주의 분석" 아시아여성연구원 55 (55): 57-92, 2016
21 민가영, "생존의 개인화 시대에십대 가출 여성의 자기 보호" 한국여성연구원 34 (34): 29-59, 2017
22 김은실, "민족 담론과 여성: 문화, 권력, 주체에 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하여" 한국여성학회 10 : 18-52, 1994
23 "레드마리아2, Red Maria 2, 2015, 다큐멘터리, 한국, 120분, 감독: 경순"
24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 다큐멘터리, 한국, 98분, 감독: 경순"
25 Nichols, Bill, "다큐멘터리입문" 한울 2005-, 2001
26 Niney, Francois,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예림기획 2012
27 박경신, "누가 더 국가주의적인가?" 문학동네 23 (23): 29-60, 2016
28 山下英愛, "내셔널리즘의 틈새에서: 위안부 문제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한울아카데미 2012
29 "낮은 목소리, The Murmuring, 1995, 다큐멘터리, 한국, 98분, 감독: 변영주"
30 "낮은 목소리 3 숨결, My Own Breathing 1999, 다큐멘터리, 한국, 77분, 감독: 변영주"
31 "낮은 목소리 2, Habitual Sadness, 1996, 다큐멘터리, 한국, 71분, 감독: 변영주"
32 이나영, "글/로컬 젠더질서와 한반도 여성의 몸: 일본군 ‘위안부’와 미군 기지촌 ‘양공주’" 국학연구원 (161) : 3-38, 2013
33 이상화, "군위안부 경험에 관한 연구: 결혼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0 : 328-329, 1997
34 Mies, Maria,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 갈무리 2014-, 1986
35 이소희, "“Working through Trauma”: Comfort Womenʹs Self‐Representation in the Nazen Moksori Trilogy"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343-378, 2010
36 권은선,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 한다는 것의 의미: 영화 <귀향>의 성/폭력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4 (34): 3-28, 2017
37 변영주, "‘낮은 목소리’, 조우와 그 이후"
38 신은실, "[인터뷰] 경순 감독: <레드마리아2>를 둘러싼 담론들" 한국독립영화협회 88-107, 2016
39 이동기, "[이동기의 현대사 스틸컷] 유럽의 성노예, 생존으로 저항하다" 한겨레21
40 정지혜, "[스페셜] 논쟁적인 다큐멘터리가 나와야한다 - 김동원 감독, 경순 감독" 씨네21
41 권김현영, "[FICT 코너] 고통의 ‘무의미함’과 피해자화의 문제" 여성신문
42 Chatterjee, Partha, "The Nation and its Fragments: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43 Winter, Jay, "The Generation of Memory: Reflections on the “Memory Boom” in Contemporary Historical Studies" 10 (10): 57-66, 2001
44 Winter, Jay, "Memory, Trauma and Worl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UK 54-73, 2006
45 Steinbock, Eliza, "Keywords for Radicals: The Contested Vocabulary of Late-Capitalist Struggle" AK Press 2016
46 강가람,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 : 한일 사회 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7 변혜정, "'성폭력' 피해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친밀한 이성애 관계에서 성(폭력) 경험에 대한 여성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