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성을 넘어서는 방법: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 2>의 탈정치성 비판 = Method for Going Beyond the Patriarchal Discourses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 Critique on the De-politics in the Documentary Red Maria 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5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try feminist criticism on Kyungsoon’s documentary film Red Maria 2 released in 2015. This film argues that the stance towards the prostitution should be changed to get over the patriarchal discourse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prostitution as a sex work instead of the hatred, to switch the discussions on 'comfort women' issues to feminist way.
      However, this paper insists that the film failed in compellation strategy while omitting the postcolonial feminist studies. The documentary is unfolded as if 'Korean' postcolonial feminist knowledge discourse and struggle did not exist. As a result, its narrative structure converges to intellectual patriarchalism and intellectual colonialis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laims that the film misunderstands the concept of prostitution hatred as dislikes of women whose occupation is a prostitute. However, prostitution hatred is a result of the system that makes military 'comfort women' or the sex workers and the practices to rationalize i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stitution hatred, the film does not consider a structures how women are placed in the 'comfort stations,' red-light districts, and prostitution clubs.
      This study argues the needs for seeking the politics on 'comfort women'’s bodily experiences and their differences to go beyond the simplified victim theory that is mobilized to make history in the patriarchal nationalism frame. In solidarity with the diverse lived bodies’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pelled being asked the qualification for a victim, we can restructure the global memory politics of the women who were missed in histo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try feminist criticism on Kyungsoon’s documentary film Red Maria 2 released in 2015. This film argues that the stance towards the prostitution should be changed to get over the patriarchal discourse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

      This study is to try feminist criticism on Kyungsoon’s documentary film Red Maria 2 released in 2015. This film argues that the stance towards the prostitution should be changed to get over the patriarchal discourse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prostitution as a sex work instead of the hatred, to switch the discussions on 'comfort women' issues to feminist way.
      However, this paper insists that the film failed in compellation strategy while omitting the postcolonial feminist studies. The documentary is unfolded as if 'Korean' postcolonial feminist knowledge discourse and struggle did not exist. As a result, its narrative structure converges to intellectual patriarchalism and intellectual colonialis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laims that the film misunderstands the concept of prostitution hatred as dislikes of women whose occupation is a prostitute. However, prostitution hatred is a result of the system that makes military 'comfort women' or the sex workers and the practices to rationalize i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stitution hatred, the film does not consider a structures how women are placed in the 'comfort stations,' red-light districts, and prostitution clubs.
      This study argues the needs for seeking the politics on 'comfort women'’s bodily experiences and their differences to go beyond the simplified victim theory that is mobilized to make history in the patriarchal nationalism frame. In solidarity with the diverse lived bodies’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pelled being asked the qualification for a victim, we can restructure the global memory politics of the women who were missed in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순 감독의 2015년 작,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에 관한 여성주의적 비평을 시도하는 논문이다. 이 영화는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적 프레임을 넘어서기 위해 성매매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매춘혐오를 거두고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함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본고는 이 영화가 탈식민 페미니즘 연구들을 누락하면서 말 걸기 전략에 실패했다고 보았다. 영화에서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한국’ 탈식민 페미니스트 지식의 담론 투쟁은 없는 것처럼 다루어진다. 그 결과 영화의 서사구조는 지적 가부장성, 지적 식민주의로 수렴된다. 동시에 본고는 이 영화가 매춘혐오라는 개념에 대해 매춘을 직업으로 하는 여성을 미워하는 마음으로 오해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매춘혐오는 ‘위안부’와 성노동자를 만들어내는 제도와 그것을 합리화하는 실천이 만들어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매춘혐오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영화에서는 여성이 위안소, 유곽, 성매매 업소 등에 배치되는 구조적 기획이 고려되지 않는다.
      본고는 가부장적 민족주의 프레임에서 역사 만들기를 위해 동원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의 단일화된 피해 서사를 넘어서기 위해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몸의 경험과 차이의 정치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피해자의 자격을 물으며 추방되어온 다양한 살아있는 몸의 경험과 연대하면서 비로소 역사에서 누락된 여성들에 대한 기억의 정치를 지구적으로 재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순 감독의 2015년 작,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에 관한 여성주의적 비평을 시도하는 논문이다. 이 영화는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적 프레임을 넘어서기 위해 성매...

      이 연구는 경순 감독의 2015년 작,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에 관한 여성주의적 비평을 시도하는 논문이다. 이 영화는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적 프레임을 넘어서기 위해 성매매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매춘혐오를 거두고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함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본고는 이 영화가 탈식민 페미니즘 연구들을 누락하면서 말 걸기 전략에 실패했다고 보았다. 영화에서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한국’ 탈식민 페미니스트 지식의 담론 투쟁은 없는 것처럼 다루어진다. 그 결과 영화의 서사구조는 지적 가부장성, 지적 식민주의로 수렴된다. 동시에 본고는 이 영화가 매춘혐오라는 개념에 대해 매춘을 직업으로 하는 여성을 미워하는 마음으로 오해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매춘혐오는 ‘위안부’와 성노동자를 만들어내는 제도와 그것을 합리화하는 실천이 만들어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매춘혐오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영화에서는 여성이 위안소, 유곽, 성매매 업소 등에 배치되는 구조적 기획이 고려되지 않는다.
      본고는 가부장적 민족주의 프레임에서 역사 만들기를 위해 동원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의 단일화된 피해 서사를 넘어서기 위해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몸의 경험과 차이의 정치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피해자의 자격을 물으며 추방되어온 다양한 살아있는 몸의 경험과 연대하면서 비로소 역사에서 누락된 여성들에 대한 기억의 정치를 지구적으로 재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재,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1999

      2 정민아,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 본북스 2016

      3 정희진, "포스트 식민주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 문학동네 23 (23): 2016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목소리들" 나무연필 2017

      6 이나영,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구술사의 정치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40, 2016

      7 김수진,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5-72, 2013

      8 심영희, "침묵에서 증언으로 :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귀국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3 (23): 115-146, 2000

      9 정지영, "침묵과 망각으로 말하는 ‘구술/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7-135, 2015

      10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 이효재,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1999

      2 정민아,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 본북스 2016

      3 정희진, "포스트 식민주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 문학동네 23 (23): 2016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목소리들" 나무연필 2017

      6 이나영,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구술사의 정치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40, 2016

      7 김수진,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한국여성연구원 30 (30): 35-72, 2013

      8 심영희, "침묵에서 증언으로 :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귀국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3 (23): 115-146, 2000

      9 정지영, "침묵과 망각으로 말하는 ‘구술/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7-135, 2015

      10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1 양현아,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한국여성학회 22 (22): 133-167, 2006

      12 양현아, "증언과 역사쓰기-한국인 “군 위안부”의 주체성 재현" 한국사회사학회 60-96, 2001

      13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뿌리와이파리 2013

      14 임지현, "적대적 공범자들" 소나무 2005

      15 이나영, "일본군 ‘위안부’ 운동 : 포스트/식민국가의 역사적 현재성"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41-78, 2010

      16 上野千鶴子,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 현실문화연구 2014

      17 한혜인, "우리가 잊은 할머니들... 국내 첫 커밍아웃 이남님, 타이에서 가족 찾은 노수복" 한겨레신문

      18 김주희, "여성 ‘몸-증권화’를 통한 한국 성산업의 정치경제적 전환에 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1) : 142-173, 2016

      19 김주희, "속도의 페미니즘과 관성의 정치" 문학과 지성사 29 (29): 19-34, 2017

      20 김주희, "성매매 여성들의 “재여성화 전략”으로서의 ‘외모관리-소비’ 활동에 대한 여성주의 분석" 아시아여성연구원 55 (55): 57-92, 2016

      21 민가영, "생존의 개인화 시대에십대 가출 여성의 자기 보호" 한국여성연구원 34 (34): 29-59, 2017

      22 김은실, "민족 담론과 여성: 문화, 권력, 주체에 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하여" 한국여성학회 10 : 18-52, 1994

      23 "레드마리아2, Red Maria 2, 2015, 다큐멘터리, 한국, 120분, 감독: 경순"

      24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 다큐멘터리, 한국, 98분, 감독: 경순"

      25 Nichols, Bill, "다큐멘터리입문" 한울 2005-, 2001

      26 Niney, Francois,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예림기획 2012

      27 박경신, "누가 더 국가주의적인가?" 문학동네 23 (23): 29-60, 2016

      28 山下英愛, "내셔널리즘의 틈새에서: 위안부 문제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한울아카데미 2012

      29 "낮은 목소리, The Murmuring, 1995, 다큐멘터리, 한국, 98분, 감독: 변영주"

      30 "낮은 목소리 3 숨결, My Own Breathing 1999, 다큐멘터리, 한국, 77분, 감독: 변영주"

      31 "낮은 목소리 2, Habitual Sadness, 1996, 다큐멘터리, 한국, 71분, 감독: 변영주"

      32 이나영, "글/로컬 젠더질서와 한반도 여성의 몸: 일본군 ‘위안부’와 미군 기지촌 ‘양공주’" 국학연구원 (161) : 3-38, 2013

      33 이상화, "군위안부 경험에 관한 연구: 결혼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0 : 328-329, 1997

      34 Mies, Maria,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 갈무리 2014-, 1986

      35 이소희, "“Working  through  Trauma”:  Comfort Womenʹs  Self‐Representation  in  the  Nazen  Moksori  Trilogy"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343-378, 2010

      36 권은선,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 한다는 것의 의미: 영화 <귀향>의 성/폭력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4 (34): 3-28, 2017

      37 변영주, "‘낮은 목소리’, 조우와 그 이후"

      38 신은실, "[인터뷰] 경순 감독: <레드마리아2>를 둘러싼 담론들" 한국독립영화협회 88-107, 2016

      39 이동기, "[이동기의 현대사 스틸컷] 유럽의 성노예, 생존으로 저항하다" 한겨레21

      40 정지혜, "[스페셜] 논쟁적인 다큐멘터리가 나와야한다 - 김동원 감독, 경순 감독" 씨네21

      41 권김현영, "[FICT 코너] 고통의 ‘무의미함’과 피해자화의 문제" 여성신문

      42 Chatterjee, Partha, "The Nation and its Fragments: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43 Winter, Jay, "The Generation of Memory: Reflections on the “Memory Boom” in Contemporary Historical Studies" 10 (10): 57-66, 2001

      44 Winter, Jay, "Memory, Trauma and Worl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UK 54-73, 2006

      45 Steinbock, Eliza, "Keywords for Radicals: The Contested Vocabulary of Late-Capitalist Struggle" AK Press 2016

      46 강가람,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 : 한일 사회 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7 변혜정, "'성폭력' 피해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친밀한 이성애 관계에서 성(폭력) 경험에 대한 여성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1 1.21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