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대적 감수성에 대한 호응과 근대 이데올로기가 파장한 유무형의 모순을 생태적 사유는 성찰적 명제로 내재화한다. 현 단계 생태비평의 최고 위계를 김지하, 장회익, 김종철, 문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65244
신철하 (강원대학교)
2007
Korean
생태비평 ; 율려(律呂) ; 온생명 ; 녹색평론 ; 생태정치학 ; 이중구속 ; 컴퓨터영어 ; eco-criticism ; Yulryeo ; global life ; noksaekpeongnon ; eco- politics ; double binding ; computi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327-355(29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시대적 감수성에 대한 호응과 근대 이데올로기가 파장한 유무형의 모순을 생태적 사유는 성찰적 명제로 내재화한다. 현 단계 생태비평의 최고 위계를 김지하, 장회익, 김종철, 문순...
새로운 시대적 감수성에 대한 호응과 근대 이데올로기가 파장한 유무형의 모순을 생태적 사유는 성찰적 명제로 내재화한다. 현 단계 생태비평의 최고 위계를 김지하, 장회익, 김종철, 문순홍의 담론들은 개성적으로 보여준다. 문순홍의 생태비평이 지향하는 키워드는 생물지역론과 생태여성론이며, 그 궁극은 녹색사회이다. 장회익의 온생명론은 나쁜 의미에서의 과학주의가 안고 있는 지적 폐쇄성과 사회적 그것에 대한 통렬한 성찰이자 새 과학문화를 향한 외침이다. 김지하의 ‘율려’와 김종철의 교양주의는 직관과 삶의 체득으로 파악한 우리사회의 대안문화운동으로 명명된다. 그런 면에서 양자의 생태담론은 더 나은 삶과 세계를 향한 새로운 휴머니즘의 옹호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logical deliberation has its own inherent introspective hypothesis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inconsistencies derive from the responses to new era sensitivity and contemporary ideology. The discourses of Kim Ji-ha, Jang Hoi-ik, Kin Jong-chul an...
Ecological deliberation has its own inherent introspective hypothesis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inconsistencies derive from the responses to new era sensitivity and contemporary ideology.
The discourses of Kim Ji-ha, Jang Hoi-ik, Kin Jong-chul and Moon Soon-hong illustrate the hierarchy of ecological criticism of the present stage along with their personal touches. The keywords of eco-criticism by Moon Soon-hong are eco-regionalism and eco-feminism, and it ulti- mately aims at the ‘green society’. The theory of global life by Jang Hoi-ik is the intellectual closure which scientific possesses, bitter intro- spection on that of society and cry for the new scientific culture. ‘Yul- Yeo’ by Kim Ji-ha and intellectual inclination by Kim Jong-chul are designated as the alternative cultural movements of our society. In that sense, the ecological discourses of these two writers could be considered as their support to the new humanism to reach the better life and world.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현대문학의 생태학적 고찰" 2006
2 "오늘의 인문과학과 코기토" 생각의나무 1999
3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삼인 1999
4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5 "생태시학으로서의 생명과 율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27) : 2005
6 "생명과 자치" 솔 1996
7 "삶과 온생명" 솔 1998
8 "삶, 반성, 인문학" 태학사 2003
9 "살림의 시학" 세계사 1995
10 "문학생태학현실" 중앙일보사 (92) : 2000.11.
1 "한국 현대문학의 생태학적 고찰" 2006
2 "오늘의 인문과학과 코기토" 생각의나무 1999
3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삼인 1999
4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5 "생태시학으로서의 생명과 율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27) : 2005
6 "생명과 자치" 솔 1996
7 "삶과 온생명" 솔 1998
8 "삶, 반성, 인문학" 태학사 2003
9 "살림의 시학" 세계사 1995
10 "문학생태학현실" 중앙일보사 (92) : 2000.11.
11 "문학생태학의 미학적 과제" 한국언어문학회 2003
12 "대지의 신 죽임의 문화에서 살림의 문화로" 1993
13 "김수영시와 자유의 문제: 문학생태학의 미학적과제(2)" 2005
14 "경계의 시학" 민음사 (4) : 1997
15 "歷史としての 社會主義" 고세현역
16 "日本近代文學の 起源" 민음사 1997
17 "‘기우뚱한 균형’에 관하여" 1995.8.
18 "Steps to an Ecology of Mind" 책세상 2006
19 "La Vie Quotidienne dans Monde Moderne" 박정자역
검열의 내면화와 그 정치적 발현-1960년대 보수우익문학의 동향을 중심으로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기 그리고 반공 내셔널리즘-반공 내셔널리즘을 묻는다
반공주의의 내면화와 1960년대 풍자소설의 한 경향-이호철ㆍ서기원의 단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 |
2020-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1 | 2.23 | 0.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