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효민,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3 (23): 219-245, 2019
2 노정학,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중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42 (42): 2003
3 서동엽,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중등 내용 비교 및 바칼로레아 체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51-73, 2020
4 장근주, "프랑스와 독일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국제 비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3) : 261-283, 2015
5 KIM SUMIN, "우리나라와 캐나다 BC(British Columbia)주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24 (24): 57-71, 2020
6 최인선,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4 (24): 559-574, 2020
7 정영옥, "수학교육 연구 프로젝트-독일의 수학 교육과정 연구-" 3 (3): 131-153, 2001
8 권점례,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34 (34): 135-160, 2020
9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10 정영옥,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371-402, 2016
1 강효민,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3 (23): 219-245, 2019
2 노정학,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중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42 (42): 2003
3 서동엽,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중등 내용 비교 및 바칼로레아 체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51-73, 2020
4 장근주, "프랑스와 독일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국제 비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3) : 261-283, 2015
5 KIM SUMIN, "우리나라와 캐나다 BC(British Columbia)주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24 (24): 57-71, 2020
6 최인선,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4 (24): 559-574, 2020
7 정영옥, "수학교육 연구 프로젝트-독일의 수학 교육과정 연구-" 3 (3): 131-153, 2001
8 권점례,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34 (34): 135-160, 2020
9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10 정영옥,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371-402, 2016
11 이주현,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등 수학교사의 인식과 실천적 고민" 한국교원대학교 2019
12 최정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독일 베를린과 브란덴브르크 주 교육과정 사례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63-76, 2018
13 정영옥,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181-211, 2004
14 공서영, "독일의 7학년 함수 영역 수학 교과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31 (31): 433-456, 2017
15 소경희,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3 (43): 25-45, 2014
16 정환옥, "독일 통일 전후 동ㆍ서독 중등학교 수학교육의 현황과 수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및 이의 활용 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353-371, 2008
17 김문숙, "독일 역량기반교육과정의 개혁과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36 (36): 5-28, 2009
18 강이화, "독일 교육과정 표준화의 방향과 의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5-325, 2015
19 최수진, "국내 고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모습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69-196, 2018
20 "https://www.kmk.org/themen/allgemeinbildende-schulen/bild ungswege-und-abschluesse.html"
21 "https://www.kmk.org/themen/allgemeinbildende-schulen/bi ldungswege-und-abschluesse/sekundarstufe-ii-gymnasi ale-oberstufe-und-abitur.html"
22 "https://www.kmk.org/fileadmin/Dateien/pdf/Dokument ation/de_2019.pdf"
23 "https://www.kmk.org/dokumentation-statistik/beschluesse-und-veroeffentlichungen/bildung-schule/qualitaetssich erung-in-schulen.html#c2365"
24 "https://www.kmk.org/de/themen/qualitaetssicherung-in-schule n/bildungsstandards.html#c5034"
25 "https://www.iqb.hu-berlin.de/vera/"
26 "https://www.iqb.hu-berlin.de/bista/subject/"
27 "https://www.iqb.hu-berlin.de/bista/Weiterentwicklung %20BiSta"
28 "https://www.iqb.hu-berlin.de/bista"
29 "https://www.iqb.hu-berlin.de/abitur/"
30 BMBF, "Zur Entwicklung nationaler Bildungsstandards" Berlin 2007
31 KMK, "Vereinbarung zur Gestaltung der gymnasialen Oberstufe und der Abiturprüfung"
32 Miyoung Lee, "Studie zum kompetenzorientierten Curriculum für die deutsche Abiturprüfung im Fach Deutsch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Operatoren" Korean Society for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28 (28): 187-215, 2020
33 Berlin, "Rahmenlehrplan für den Unterricht in der gymnasialen Oberstufe" Mathematik
34 Gwi Soo Na, "Exploring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Age"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8 (28): 437-478, 2018
35 Youkyung Ko,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Germany and Changes of the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German History 35 : 53-87, 2017
36 KMK, "Bildungsstandards im Fach Mathematik für die Allgemeine Hochschulreife"
37 Hamburg, "Bildungsplan gymnasiale Oberstufe" Mathematik
38 KMK, "Beschlüsse der Kultusministerkonferenz. Bildungsstandards im Fach Mathematik für den Primarbereich"
39 KMK, "Beschlüsse der Kultusministerkonferenz. Bildungsstandards im Fach Mathematik für den Mittleren Schulabschluss"
40 KMK, "Beschlüsse der Kultusministerkonferenz. Bildungsstandards im Fach Mathematik für den Hauptschulabschluss"
41 이승미, "A case study 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Hessen"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30 (30): 151-174, 2012
42 Seong-Kyeong Ki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New Zealand"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1 (21): 625-644, 2019
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안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4 교육부, "2021년 교육부 업무계획 발표"
45 김성경,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적용에서의 쟁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58 (58): 263-282, 2019
46 박경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Ⅱ"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