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2 우정권, "한국 근대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소명 2004
3 마리 매클린, "텍스트의 역학" 한나래 1997
4 나카무라 미츠오, "태평양전쟁의 사상" 이매진 2007
5 김남천, "체험적인 것과 관찰적인 것(발자크 연구 4)" 1940
6 최재서, "전환기의 조선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7 신태수, "적강소설에 나타난 자의식과 운명의 관계" 한민족어문학회 (43) : 11-295, 2003
8 필립 르죈,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 1998
9 유호식, "자기에 대한 글쓰기 연구" 43 : 2000
10 노상래, "암흑기 김남천 소설 연구" 우리말글학회 37 (37): 337-363, 2006
1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2 우정권, "한국 근대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소명 2004
3 마리 매클린, "텍스트의 역학" 한나래 1997
4 나카무라 미츠오, "태평양전쟁의 사상" 이매진 2007
5 김남천, "체험적인 것과 관찰적인 것(발자크 연구 4)" 1940
6 최재서, "전환기의 조선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7 신태수, "적강소설에 나타난 자의식과 운명의 관계" 한민족어문학회 (43) : 11-295, 2003
8 필립 르죈,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 1998
9 유호식, "자기에 대한 글쓰기 연구" 43 : 2000
10 노상래, "암흑기 김남천 소설 연구" 우리말글학회 37 (37): 337-363, 2006
11 김남천, "등불" 1942
12 장성규, "김남천 서술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2006
13 최재서, "朝鮮文壇の再出發を語る" 1942
14 김남천, "「소설의 세계」, 『조선일보』, 1938. 2. 15"
15 김남천, "「두 의사의 소설」, 『매일신보』, 1942. 10. 20"
16 노지승, "1920년대 초반, 편지 형식 소설의 의미 사적 영역의 성립 및 근대적 개인의 탄생 그리고 편지 형식 소설과의 관련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0 : 351-38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