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Ⅱ. 본론
- 1. 캐나다한인문단의 형성
- 2. 캐나다한인문학의 정체성 변화
- Ⅲ. 결론-캐나다한인문학의 정체성과 방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54014
송명희 (부경대학교)
2012
Korean
캐나다한인문학 ; 다문화주의 ; 모자이크 문화 ; 파생 ; 제휴 ; E.W. 사이드 ; 이석현 ; 박충도 ; 박민규 ; 정체성 ; 캐나다한인 ; Korean literature in Canada ; multiculturalism ; mosaic society ; filiation ; affiliation ; E.W.Said ; Lee Seokhyun ; Park Chungdo ; Park Minkyu ; identity ; Korean Canadian
810
KCI등재후보,02
학술저널
5-27(2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영자,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007
2 은숙 리 자엘페더,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8
3 김성곤,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미국소설" 열음사 1990
4 윤인진, "토론토지역 한인의 생활과 의식" 재외한인학회 2 (2): 5-55, 2001
5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6 송명희, "캐나다한인 수필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한국언어문학회 (70) : 321-353, 2009
7 조정남, "캐나다의 민족정책" 한국민족연구원 6 : 117-129, 2001
8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9집"
9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5집"
10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4집"
1 양영자,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007
2 은숙 리 자엘페더,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8
3 김성곤,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미국소설" 열음사 1990
4 윤인진, "토론토지역 한인의 생활과 의식" 재외한인학회 2 (2): 5-55, 2001
5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6 송명희, "캐나다한인 수필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한국언어문학회 (70) : 321-353, 2009
7 조정남, "캐나다의 민족정책" 한국민족연구원 6 : 117-129, 2001
8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9집"
9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5집"
10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4집"
11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3집"
12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2집"
13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0집"
14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8집"
15 캐나다한인문인협회, "캐나다문학 제11집"
16 김남석, "캐나다 한인문학비평의 전개 양상 연구 —‘이민문학론’의 생성과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93-127, 2009
17 송명희, "캐나다 한인문단의 형성" 우리어문학회 5 (5): 7-37, 2009
18 김정훈, "캐나다 한인 시문학 연구 —'캐나다문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39-66, 2009
19 박준희, "재캐나다 한인 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0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자크비데 서문" 동문선 2007
21 이동하, "재미한인문학연구" 월인 2003
22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문학-옮겨심은 나무들 (제7집)"
23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문학 (제6집)"
24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문학 (제5집)"
25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문학 (제4집)"
26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문학 (제2집)"
27 캐나다한국문인협회, "이민도시 (제3집)"
28 캐너더한국문인협회, "새울 (제1집)"
29 박찬부, "상징질서, 이데올로기, 그리고 주체의 문제" 영어영문학회 47 (47): 63-85, 2001
30 Bhabha, Homi K,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3
31 이상갑, "경계와 탈경계의 긴장관계 —캐나다 한인소설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67-91, 2009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하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