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이 유권자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정치과정의 핵심적인 연결고리가 되려면 어떠한 변화를 수반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 글은 변화하는 정치 환경 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93466
2013
Korean
정당 ; 유권자 연계 ; 정치과정 ; 대표성 ; political party ; voter linkage ; political process ; representation
학술저널
79-100(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당이 유권자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정치과정의 핵심적인 연결고리가 되려면 어떠한 변화를 수반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 글은 변화하는 정치 환경 속...
정당이 유권자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정치과정의 핵심적인 연결고리가 되려면 어떠한 변화를 수반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 글은 변화하는 정치 환경 속에서 미국의 정당들이 기능과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변모를 거쳐 위기를 극복해 왔는지 검토하였다. 미국의 정당들은 정치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스스로의 기능적 역할을 재정립하고 유권자들과의 관계를 반복적으로 재설정하면서 위기를 극복해 나갔다. 이러한 위기극복은 새로이 요구되는 기능에 맞추어 정당 내부의 조직을 재구성하고 중앙과 지방의 조직들 간에 역할 분담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방식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정치권력의 획득과 유지에 모든 자원들을 집중하는 전술적 변화를 꾀함으로써 가능했다. 21세기 정치환경에서 유권자들은 정치정보에 대한 이해와 정치활동의 독립성이라는 측면에서 과거와는 크게 달라져있다. 이는 우리의 정당들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금 정치과정의 중심에 서기 위해서 취해야 할 대처가 한층 더 복잡해졌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정당들은 미국의 정당들처럼 기능적 차원에서 조직적 재정비를 통해 유권자들과의 접촉면을 넓혀야 하는 동시에 다층화된 행위자들 간의 연계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does political party need to do in order to regain the institution of linkage in political process? This paper examines how US political parties could overcome the crisis in 1960s and 1970s. US political parties successfully adapted themselves to...
What does political party need to do in order to regain the institution of linkage in political process? This paper examines how US political parties could overcome the crisis in 1960s and 1970s. US political parties successfully adapted themselves to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s by reorganizing the national-local network of parties and adjusting the functions of party organization.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US political parties suggests that political parties in Korea under severe criticism from mass public need to rebuild their organization to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should put more efforts to arouse more political engagement of the electorate in 21st century, who are equipped with new technology of commun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진,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한국정당학회 10 (10): 137-166, 2011
2 Abramowitz, Alan, "Then End of the Democratic Era? 1994 and the Future of Congressional Election Research" 48 : 873-889, 1995
3 Frendreis, John, "The State of the Parties" Rowman &Littlefield 1999
4 Wattenberg, Martin P., "The Rise of Candidate-Centered Politics: Presidential Elections of the 1980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5 Herrera, Richard, "The Origins of Opinion of American Party Activists" 5 : 237-252, 1999
6 Miller, Warren, "The New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51-185, 1996
7 Ware, Alan, "The Dynamics of Two-party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8 Wattenberg, Martin P.,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6"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9 Nie, Norman H., "The Changing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10 Dalton, Russell J.,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tic Linkage: How Parties Organize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 유성진,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한국정당학회 10 (10): 137-166, 2011
2 Abramowitz, Alan, "Then End of the Democratic Era? 1994 and the Future of Congressional Election Research" 48 : 873-889, 1995
3 Frendreis, John, "The State of the Parties" Rowman &Littlefield 1999
4 Wattenberg, Martin P., "The Rise of Candidate-Centered Politics: Presidential Elections of the 1980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5 Herrera, Richard, "The Origins of Opinion of American Party Activists" 5 : 237-252, 1999
6 Miller, Warren, "The New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51-185, 1996
7 Ware, Alan, "The Dynamics of Two-party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8 Wattenberg, Martin P.,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6"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9 Nie, Norman H., "The Changing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10 Dalton, Russell J.,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tic Linkage: How Parties Organize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1 Hershey, Marjorie Randon, "Party Politics in America" Pearson 2007
12 Schwartz, Mildred A., "Party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trategies of Persistenc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13 Miller, Warren, "Party Identification, Realignment, and Party Voting: Back to the Basics" 85 : 557-568, 1991
14 Bartels, Larry M., "Partisanship and Voting Behavior, 1952-1996" 44 (44): 35-50, 2000
15 Mair, Peter, "Oxford Handbook of British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6 IDEA, "Effective Party Assistance : Stronger Parties for Better Democracy.”"
17 Fiorina, Morris, "Congress Reconsidered" CQ Press 141-162, 2001
18 West, Darrell M., "Air Wars: Television Advertising in Election Campaigns, 1952-2004" CQ Press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 | 2.3 | 1.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12 | 1.982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