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와 패션이미지 선호도의 관련성 =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for utilized fabrics and preferences of fashion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9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regarding fashion materials, such as the color, pattern and texture of fabric.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and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by identify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e survey subjects were 312 women ranging in age from 20 to 40 years ol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tool.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In regards to color preference, this study considered color depth such as light tone color, moderate tone color, dark tone color and vivid tone color. In regards to pattern preference, this study examined: geometric pattern, floral pattern, animal skins pattern, check pattern and symbolical pattern. In regard to preference of the texture, this study assessed: roughness, luster, flatness and lightness. Second,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is study examined five factors: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As a result, the color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 preference associated with dignity, femininity and simplicity, whereas the pattern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Moreover, the preference of texture imag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nd activity.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regarding fashion materials, such as the color, pattern and texture of fabric.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regarding fashion materials, such as the color, pattern and texture of fabric.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and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by identify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e survey subjects were 312 women ranging in age from 20 to 40 years ol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tool.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In regards to color preference, this study considered color depth such as light tone color, moderate tone color, dark tone color and vivid tone color. In regards to pattern preference, this study examined: geometric pattern, floral pattern, animal skins pattern, check pattern and symbolical pattern. In regard to preference of the texture, this study assessed: roughness, luster, flatness and lightness. Second, this study performed a factorial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This study examined five factors: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eference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fashion material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images. As a result, the color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 preference associated with dignity, femininity and simplicity, whereas the pattern preferenc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uniqueness, femininity, activity and simplicity. Moreover, the preference of texture image was related to the images of dignity, uniqueness, femininity and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주, "황색과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에 대한 사십대 중년층 소비자의 색채감성요인" 한국감성과학회 12 (12): 109-120, 2009

      2 신세영,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한국복식학회 63 (63): 118-131, 2013

      3 Lee, H. J., "패션디자인 [Fashion design]" Gyohakyeongusa 1999

      4 김희숙, "춘·하 여성 재킷용 소재의 구조적 특성이 감성이미지와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 (49): 121-133, 2011

      5 노영,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의류제품 디자인 설계품질에 관한 연구 -QFD를 이용한 중·노년층 여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2 (32): 1522-1534, 2008

      6 김경화, "체크 패턴이 소비자의 감성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3) : 367-378, 2014

      7 김현수, "직장 남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의복이미지 선호, 추구이미지와 이미지 만족도" 한국복식학회 62 (62): 1-13, 2012

      8 심정희,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 30 (30): 1608-1617, 2006

      9 최윤혜,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 이미지 연구-면 구성과 색채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3 (13): 289-299, 2005

      10 이은주, "전통 견직물의 촉각적 감성요인" 한국감성과학회 10 (10): 99-111, 2007

      1 이은주, "황색과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에 대한 사십대 중년층 소비자의 색채감성요인" 한국감성과학회 12 (12): 109-120, 2009

      2 신세영,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한국복식학회 63 (63): 118-131, 2013

      3 Lee, H. J., "패션디자인 [Fashion design]" Gyohakyeongusa 1999

      4 김희숙, "춘·하 여성 재킷용 소재의 구조적 특성이 감성이미지와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 (49): 121-133, 2011

      5 노영,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의류제품 디자인 설계품질에 관한 연구 -QFD를 이용한 중·노년층 여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2 (32): 1522-1534, 2008

      6 김경화, "체크 패턴이 소비자의 감성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3) : 367-378, 2014

      7 김현수, "직장 남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의복이미지 선호, 추구이미지와 이미지 만족도" 한국복식학회 62 (62): 1-13, 2012

      8 심정희,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 30 (30): 1608-1617, 2006

      9 최윤혜,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 이미지 연구-면 구성과 색채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3 (13): 289-299, 2005

      10 이은주, "전통 견직물의 촉각적 감성요인" 한국감성과학회 10 (10): 99-111, 2007

      11 이소라, "의복의 문양에 따른 의복 및 직물 선호- 포카다트, 스트라이프, 체크 문양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5 (15): 193-202, 2007

      12 김희숙, "의복소재의 선호도에 대한 태와 감성 이미지의 영향 -셔츠용 소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9 (29): 210-219, 2005

      13 이미식, "의류 소재의 주관적인 태평가 실험방법 연구- 시촉각, 시각, 촉각 방법비교 -" 한국의류학회 28 (28): 784-789, 2004

      14 주정아, "위편성물 소재의 구성특성이 주관적 질감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8 (28): 1516-1523, 2004

      15 이선영, "아웃도어 스포츠웨어용 기능성 소재의 요구도 및 감성구조" 한국섬유공학회 47 (47): 163-172, 2010

      16 최수경,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형태 변인에 따른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도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74-480, 2012

      17 유경숙, "성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87-98, 2002

      18 한명숙, "성격유형에 따른 복식문양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2 (12): 59-72, 2004

      19 이미숙, "선호의복이미지에 의한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행동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93-106, 2011

      20 하은아, "산업디자인에 적용된 섬유 신소재 트렌드 및 발전방향" 한국디자인학회 23 (23): 93-104, 2010

      21 이소라, "문양에 따른 소재의 감성이미지와 선호도- 문양의 종류와 문양 색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6 (16): 841-851, 2008

      22 노의경, "니트 소재의 선호도 세분화에 따른 주관적 태와 감성 비교" 한국의류학회 34 (34): 1611-1620, 2010

      23 공진희, "남성셔츠 줄무늬 특성이 감성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 16 (16): 65-74, 2013

      24 김희숙, "견직물의 구조적특성에 따른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37-143, 2009

      25 曺賢承, "消費者 感性에 基礎한 패션素材 디자인프로세스 模型의 提案"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7 (7): 14-26, 2003

      26 Lee, J. S.,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27 (27): 800-808, 2003

      27 Chung, I. H., "The analysis of fabric impact and consumers preference for fabric on clothing purchase" 26 (26): 83-94, 2002

      28 Kim, K. H., "Men's purchase pattern of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ursued self-image and fashion life style" Kyunghee University 2009

      29 Choo, S. H., "Images of fashion fabric based on color and texture" Yonsei University 2001

      30 Kim, Y. I.,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24 (24): 3-14, 2000

      31 Kato, Y., "Effective factors for the impression of three-color design" 46 (46): 249-259, 1995

      32 Lee, Y. J.,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5 (5): 21-28, 2002

      33 Lee, S. I., "Design strategy for the Han-san mosi fabrics through enhancement of the quality and sensibil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6

      34 김미진, "Computer Knitting Simulation을 활용한 장식사 니트소재의 시각적 감성평가-SDS-ONE의 Paint 기능 활용-" 한국의류학회 32 (32): 1333-1342, 2008

      35 Eun, S. Y.,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Part Ⅱ)" 26 (26): 833-842, 2002

      36 Kwon, Y. J., "A study on the small house pl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type of emotional design" Konkuk University 2010

      37 Hong, B. S., "A study on the constructing factors of the female suit image" 20 : 73-82, 1993

      38 Chung, I. H., "A study on clothing images : Their constructing factors and evaluative dimensions" 16 (16): 379-391, 1992

      39 Park, S. J., "A study on affective space model for surface design" Yonsei University 1999

      40 Kim, I. B.,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clothes image types and design factors" 45 : 103-119,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8 0.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