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스본 조약 이후 유럽연합 기관의 역할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0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8년 유럽경제공동체(EEC)가 설립되어 유럽공동체(EC)로 발전해 오다가, 1991년 12월에 체결되 고 1993년 11월 발효된 마스트리히트(Maastricht) 조약에 의해 유럽연합(EU)이 창설되었다. 그 후 2007년 12월 13일 체결되고 2009년 11월 1일 발효된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에 의해 유럽연 합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되고 확장되었다. 유럽연합은 리스본 조약 이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리스 본 조약 이후 유럽연합의 기관들은 점점 초국가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회의 권한과 기능은 강화되었다. 유럽의회는 입법권과 EU기관 감독권을 지니며, 유럽 의회는 국제협정과 조약에 대한 동의권을 지니고 있다. 즉, 유럽의회는 조약 개정에 있어서도 동의 권을 행사한다. 또한 새로운 신입 회원국을 유럽연합 가입 여부에 대한 동의권을 지닌다. 집행위원 회 위원장에 대한 리스본 조약의 규정은 간접적으로 집행위원회의 초국가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EU 이사회의 의장국은 각 회의에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또한 리스본 조약에 의해 EU 정상회 의 상임의장직이 창설되었다. 리스본 조약 이후 유럽연합의 기관들은 정부간(inter-governmental) 기관에서 차츰 초국가적(supranational) 기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번역하기

      1958년 유럽경제공동체(EEC)가 설립되어 유럽공동체(EC)로 발전해 오다가, 1991년 12월에 체결되 고 1993년 11월 발효된 마스트리히트(Maastricht) 조약에 의해 유럽연합(EU)이 창설되었다. 그 후 2007년...

      1958년 유럽경제공동체(EEC)가 설립되어 유럽공동체(EC)로 발전해 오다가, 1991년 12월에 체결되 고 1993년 11월 발효된 마스트리히트(Maastricht) 조약에 의해 유럽연합(EU)이 창설되었다. 그 후 2007년 12월 13일 체결되고 2009년 11월 1일 발효된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에 의해 유럽연 합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되고 확장되었다. 유럽연합은 리스본 조약 이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리스 본 조약 이후 유럽연합의 기관들은 점점 초국가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회의 권한과 기능은 강화되었다. 유럽의회는 입법권과 EU기관 감독권을 지니며, 유럽 의회는 국제협정과 조약에 대한 동의권을 지니고 있다. 즉, 유럽의회는 조약 개정에 있어서도 동의 권을 행사한다. 또한 새로운 신입 회원국을 유럽연합 가입 여부에 대한 동의권을 지닌다. 집행위원 회 위원장에 대한 리스본 조약의 규정은 간접적으로 집행위원회의 초국가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EU 이사회의 의장국은 각 회의에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또한 리스본 조약에 의해 EU 정상회 의 상임의장직이 창설되었다. 리스본 조약 이후 유럽연합의 기관들은 정부간(inter-governmental) 기관에서 차츰 초국가적(supranational) 기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volutionary treaty is the Treaty of Lisbon of December 13. 2007, effective November 1. 2009, composed of a revised Treaty on European Union(Lisbon TEU) and an accessory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TFEU). The Treaty of Lisbon merged the European Community into the European Union, further modified its institutional structures, especially the European Council, and expanded its fields of action. The Commission has always been the political institution most dedicated to taking action to further EU policies and goals. The Commission as an institution is composed of one Commissioner chosen by each Member State, making a current total of 28 Commissioners. The Commission‘ main roles include action in an executive capacity, the adoption of policies and programs, the initiation and facilitation of legislation, responsibility for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of EU law and assistance in the progress of accession of new Member States and in revision of the Treaties. The Lisbon Treaty increased specialized Councils, by stipulating in TEU Article 18 (3) that the High Representative for Foreign and Security Policy should chair a separate Foreign Affairs Council, which was thus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Affairs Council. The most important composition of the Council is the General Affairs Council, because it is responsible for handling general EU affairs. The European Parliament play important most roles: ① an equal share with the Council of Ministers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most legislation; ② a power of veto the designation of the Commission and its President, together with a strong capacity to supervise the Commission; and ③ a power of consent, or veto, with regard to certain constitutional and quasi-constitutional decisions. There can be that the European Council, composed of the highest political leaders of the Member State governments, is the most powerful body in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Council has regularly endorsed key policy programs. The intergovernmental character of the European Council has been particularly manifest in its crucial role within the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번역하기

      The revolutionary treaty is the Treaty of Lisbon of December 13. 2007, effective November 1. 2009, composed of a revised Treaty on European Union(Lisbon TEU) and an accessory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TFEU). The Treaty of Lisbo...

      The revolutionary treaty is the Treaty of Lisbon of December 13. 2007, effective November 1. 2009, composed of a revised Treaty on European Union(Lisbon TEU) and an accessory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TFEU). The Treaty of Lisbon merged the European Community into the European Union, further modified its institutional structures, especially the European Council, and expanded its fields of action. The Commission has always been the political institution most dedicated to taking action to further EU policies and goals. The Commission as an institution is composed of one Commissioner chosen by each Member State, making a current total of 28 Commissioners. The Commission‘ main roles include action in an executive capacity, the adoption of policies and programs, the initiation and facilitation of legislation, responsibility for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of EU law and assistance in the progress of accession of new Member States and in revision of the Treaties. The Lisbon Treaty increased specialized Councils, by stipulating in TEU Article 18 (3) that the High Representative for Foreign and Security Policy should chair a separate Foreign Affairs Council, which was thus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Affairs Council. The most important composition of the Council is the General Affairs Council, because it is responsible for handling general EU affairs. The European Parliament play important most roles: ① an equal share with the Council of Ministers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most legislation; ② a power of veto the designation of the Commission and its President, together with a strong capacity to supervise the Commission; and ③ a power of consent, or veto, with regard to certain constitutional and quasi-constitutional decisions. There can be that the European Council, composed of the highest political leaders of the Member State governments, is the most powerful body in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Council has regularly endorsed key policy programs. The intergovernmental character of the European Council has been particularly manifest in its crucial role within the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집행위원회 (The Commission)
      • Ⅲ. EU 이사회(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집행위원회 (The Commission)
      • Ⅲ. EU 이사회(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 Ⅳ. 유럽의회 (The European Parliament)
      • Ⅴ. EU 정상회의(The European Council)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은숭표, "유럽연합의 기관조직들과 구성국들 간의 권한배분- 권력분립과 법치주의에 관한 신·구 유럽연합조약의 진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토지공법학회 64 : 397-421, 2014

      2 David Spence, "The President, the College and the Cabinets" European Commission 2006

      3 J.-C. Piris, "The Lisbon Treaty: a legal and political analysis" 2010

      4 Paul Craig, "The Lisbon Treaty: Law, Politics and Treaty Reform" 2011

      5 Jeffrey Lewis,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6 John Peterson,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7 F. Hayes-Renshaw,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8 Richard Corbett, "The European Parliament, 8th ed" 2011

      9 Jan Werts, "The European Council" 2008

      10 Piet Jan Slot, "Harmonization" 21 : 378-, 1996

      1 은숭표, "유럽연합의 기관조직들과 구성국들 간의 권한배분- 권력분립과 법치주의에 관한 신·구 유럽연합조약의 진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토지공법학회 64 : 397-421, 2014

      2 David Spence, "The President, the College and the Cabinets" European Commission 2006

      3 J.-C. Piris, "The Lisbon Treaty: a legal and political analysis" 2010

      4 Paul Craig, "The Lisbon Treaty: Law, Politics and Treaty Reform" 2011

      5 Jeffrey Lewis,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6 John Peterson,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7 F. Hayes-Renshaw,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d ed" 2012

      8 Richard Corbett, "The European Parliament, 8th ed" 2011

      9 Jan Werts, "The European Council" 2008

      10 Piet Jan Slot, "Harmonization" 21 : 378-, 1996

      11 Desmond Dinan, "Ever closer Union?: An Introduction to European Integration, 4th ed" 2010

      12 Wyatt, "European Union Law, 6th ed" 2011

      13 Desmond Dinan, "Europe Recast: a History of the European" 2004

      14 함인선, "EU법 입문" 전남대출판부 2014

      15 Philippa Watson, "EU Social and Employment Law" Policy and Practice in enlarged Europe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