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헌법 시행 27년을 지내면서 특히 2000년대 이후 개헌논의는 우리 사회의 끊이지 않는 화두였다 .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의 괴리가 나타나고, 빠르게 진행되는 국제화에 부응하지 못 하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행헌법 시행 27년을 지내면서 특히 2000년대 이후 개헌논의는 우리 사회의 끊이지 않는 화두였다 .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의 괴리가 나타나고, 빠르게 진행되는 국제화에 부응하지 못 하며, ...
현행헌법 시행 27년을 지내면서 특히 2000년대 이후 개헌논의는 우리 사회의 끊이지 않는 화두였다 .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의 괴리가 나타나고, 빠르게 진행되는 국제화에 부응하지 못 하며, 통일을 대 비하기에도 부족하다는 규범자체의 흠결은 물론 운용상의 문제까지 지적되면서 개헌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해 온 것이다. 특히 현행헌법은 최초의 여야합의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제정과정에서 충분한 국 민적 논의를 거치지 못 하고 짧은 시간 안에 정치권 안에서만 근시안적인 이해관계의 절충을 시도 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같은 현행 헌법에 대한 문제의식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개헌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관한 국민적 공감대가 15년 이상 꾸준히 형성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속적인 개헌논의 가운데 제19대 국회의장 직속 헌법개정자문위원회가 2014. 5. 23. 발표한 개헌안은 헌법전문과 총강부분부터 기본권부분과 통치구조까지 획기적인 변화를 예고 하고 있다. 특히 9번의 개헌과정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던 헌법전문과 총강부분이 상당히 바뀌었다. 헌법전문의 경우 제헌헌법의 전문을 그대로 살리고 제10차 개헌전문을 별도로 둠으로써 二元化하 였다. 현행헌법에서 백지위임 되어 있는 국민의 요건도 始原性의 근거를 명문화했고, 국가상징을 도입함으로써 국민통합의 계기를 만들었다. 또 ‘모든 권력은 국민을 위하여 행사된다’는 규정을 명 문화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보다 확고히 하고, 권력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며, 국제화시대에 부응하면서, 동시에 국민통합을 통해 한반도 통일에 대비할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개헌자문위의 개헌시안 가운데 헌법전문과 총강을 비교헌법적으로 고 찰하면서 그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enforcement of the current constitution which was reformed by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y. Nowadays the constitutional reform has become a type of topics to discuss. Needs for cons...
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enforcement of the current constitution which was reformed by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y. Nowadays the constitutional reform has become a type of topics to discuss. Needs for constitutional reform has been controversial among our society such as politicians, scholars, and media. For instanc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Constitutional Reform Research Group Association and 'Constitutional Reform Advice Committee' was formed by the Speaker of National Assembly in internal National Assembly. Also opinion poll for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form is continued in our society broadly. Such high interest and motivation led wide range of work through our society such as gathering various opinions and making public opinions. Finally provisons of constitutional reform was published as a form of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form by Constitutional Reform Advice Committee on 23th of May 2014 in National Assembly. The latest reform proposal is notable compare to previous constitution. The previous constitution contained 10 chapters and 130 clauses, but this proposal has 11 chapters and 161 clauses. The preamble which had never been changed on a large scale after the established constitution of Korea(1948) is also reformed in a large way as a dualised form in this revised bill. The codification of Constitutional Basic Rights is externally similar to European Union Human Right Charter. The governance structure shows significant changes that the power of president is limited to Foreign Affairs, National Security and the Unification, that means Dual Executive system is introduced. The level of this reform bill is highly broad in the sense that the national assembly could be bicameral system and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s divided into two: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and Institution for Inspection. Human Resource Recommendation Committee is now established to prevent biased decision makings on appointment of governmental people. But this dissertation will only concern about the Preamble and the general provision, and rests such as Human Rights and Governance Structure will be mentioned in next assignment a cause of the quantity lim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헌재결 2001. 3. 21. 99헌마139등"
2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81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5 김철수, "헌법학(상)" 박영사 2008
6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8
7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8 한국헌법학회, "헌법주석(I)(장영수 집필부분)" 박영사 2013
9 조병윤, "헌법존재론의 동태적 구조와 실질적 국민주권 및 현대적 대표제의 실현방안"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10 문광삼, "헌법개정의 방향 ― 통치구조 개편의 쟁점과 대안 ―" 한국공법학회 38 (38): 27-58, 2009
1 "헌재결 2001. 3. 21. 99헌마139등"
2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81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5 김철수, "헌법학(상)" 박영사 2008
6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8
7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8 한국헌법학회, "헌법주석(I)(장영수 집필부분)" 박영사 2013
9 조병윤, "헌법존재론의 동태적 구조와 실질적 국민주권 및 현대적 대표제의 실현방안"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10 문광삼, "헌법개정의 방향 ― 통치구조 개편의 쟁점과 대안 ―" 한국공법학회 38 (38): 27-58, 2009
11 한국공법학회, "헌법개정안 연구보고서" 한국공법학회 2006
12 김종철, "헌법개정론의 원인진단과 개정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소고-헌법연구자문위원회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38) : 125-157, 2010
13 정종섭, "헌법개정 논의의 쟁점: 필요성, 방법, 내용, 시기: 정치 논리보다 국민이 우선이다" (33) : 2006
14 정만희, "헌법개정 논의 -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개헌절차·방법에 관한 검토 -" 법학연구소 (47) : 1-53, 2010
15 한수웅, "헌법 제7조의 의미 및 직업공무원제도의 보장" 법조협회 61 (61): 5-52, 2012
16 박선영, "헌법 제7조 제1항 ‘공무원’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책임- 비교법적․법사학적 관점에서 헌재결 2012. 12. 27. 2011헌바117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3-29, 2013
17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8판" 집현재 2013
1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19 김철수, "한국헌법 60주년과 헌법개정문제" 한국공법학회 37 (37): 1-14, 2008
20 김철수, "한국통일과 헌법제정문제" 헌법재판소 3 : 1992
21 한국공법학회, "한국공법학회 학술대회, 통일의 공법적 문제 발표문" 39 (39): 2010
22 김희곤, "직업공무원제도의 체제안정적 기능과 책무" 한국토지공법학회 63 : 345-367, 2013
23 이수진, "제18대 국회에서의 개헌 논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6 (16): 227-233, 2010
24 성낙인, "새로운 헌법의 모색과 방향: 87년 체제의 극복" 국회입법조사처 1 (1): 1-30, 2009
25 박찬욱, "새로운 헌법 무엇을 담아야 하나" 대화문화아카데미 2011
26 좌승희, "새 헌법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
27 박선영,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범위 재설정" 한국법학원 134 (134): 403-428, 2013
28 권영설, "분단과 통일 속의 독일국적법과 그 헌법문제" 중앙법학회 8 (8): 93-130, 2006
29 서정배, "당대 중국헌법발전의 새 영역"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6 (26): 2010
30 이승우, "국민주권의 본질과 국민주권원리의 재고찰" 한국공법학회 32 (32): 213-236, 2004
31 오충환, "국민주권을 통치권의 정당화원리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 한국헌법학회 17 (17): 1-37, 2011
32 제성호, "국가정체성 흔들기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 정체성 수호 8가지 방법… 한반도기에 밀리는 「태극기」바로 세워야" 41 (41): 2006
33 김선택, "공화국원리와 한국헌법의 해석" 한국헌법학회 15 (15): 213-250, 2009
34 임지봉,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 정부의 개헌시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본권규정 개정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3 (13): 327-360, 2007
35 조병윤, "責任政治를 실현하는 政府形態로서의 分權型 二元政府制와 國民主權의 實質化 ― 國會 憲法硏究諮問委員會 報告書의 二元政府制 案과 관련하여 ―" 한국공법학회 38 (38): 113-149, 2009
36 한상희, "『민주공화국』의 의미 - 그 공화주의적 실천규범의 형성을 위하여" 한국헌법학회 9 (9): 27-91, 2003
37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111117"
3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321025016"
39 "http://www.nemopan.com/photo_issue/7947705"
40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52317587636986&outlink=1"
4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8357.html"
42 "http://www.diodeo.com/comuser/news/news_view.asp?news_code=152008"
4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974143"
4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922927"
45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403/h2014032821020724440.htm"
46 "http://news.donga.com/3/all/20131230/59852791/1"
47 "http://ko.wikipedia.org/wiki/%EC%8A%A4%ED%8E%98%EC%9D%B8_%ED%97%8C%EB%B2%95_(1978%EB%85%84)"
48 한국헌법학회, "2006 헌법개정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한국헌법학회 2006
연성규범을 통한 부패 방지를 위한 투명성 실천 방안 모색- EU 로비 규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7 | 0.693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