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30대 남성의 개신교 탈신앙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men in their 20s and 30s’ deconversion in Protestan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5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20·30대 남성들이 신앙에서 이탈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의 전 과정을 진행하였고, 의도적 표집절차에 따라 장기간 개신교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탈신앙 과정을 경험한 20·30대 남성들 총 13명을 표집하고 심층면담으로 자료를수집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18개의 의미 단위, 75개의 하위범주, 3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탈신앙을 경험한 20·30대 남성 참여자들은 ‘점진적 균열 속에서 고통을 경험함’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에서 도출된 개신교 탈신앙의 과정은 ‘갈등 발견 및 중재’, ‘고립 및 소통 불가’. ‘전환 및 거리두기’, ‘적응 및 눈돌리기’의 단계들을 거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탈신앙 경험의 핵심 범주는 ‘한때는 유익했으나 내가 주체가 되지 못하는 신앙, 신과 관계맺지 못하는 신앙의 껍질을 깨고 자기만의 길을 걸으려고 함’이었다. 탈신앙 경험의 유형은 ‘실존주의적 무신앙 유형’, ‘비종교적 영성 유형’, ‘탈교회적 신앙 유형’, ‘비자발적 순응 유형’ 총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20·30대 남성 청년들이 신앙에서 탈피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탐구하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상담학적 관점에서 적실한 개입을 마련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20·30대 남성들이 신앙에서 이탈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

      본 연구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20·30대 남성들이 신앙에서 이탈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의 전 과정을 진행하였고, 의도적 표집절차에 따라 장기간 개신교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탈신앙 과정을 경험한 20·30대 남성들 총 13명을 표집하고 심층면담으로 자료를수집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18개의 의미 단위, 75개의 하위범주, 3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탈신앙을 경험한 20·30대 남성 참여자들은 ‘점진적 균열 속에서 고통을 경험함’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에서 도출된 개신교 탈신앙의 과정은 ‘갈등 발견 및 중재’, ‘고립 및 소통 불가’. ‘전환 및 거리두기’, ‘적응 및 눈돌리기’의 단계들을 거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탈신앙 경험의 핵심 범주는 ‘한때는 유익했으나 내가 주체가 되지 못하는 신앙, 신과 관계맺지 못하는 신앙의 껍질을 깨고 자기만의 길을 걸으려고 함’이었다. 탈신앙 경험의 유형은 ‘실존주의적 무신앙 유형’, ‘비종교적 영성 유형’, ‘탈교회적 신앙 유형’, ‘비자발적 순응 유형’ 총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20·30대 남성 청년들이 신앙에서 탈피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탐구하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을 제시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상담학적 관점에서 적실한 개입을 마련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흔들리는 20대: 청년기 생애설계 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2 한나현, "후기근대에서의 ‘종교적인 것’의 사회적 구성 : 한국 대학생의 종교적 삶의 의미" 서강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8

      3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도서출판 URD 2014

      4 김선일,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81-100, 2020

      5 최현종,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41-56, 2020

      6 정재영,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19-39, 2020

      7 최정민, "청년기 정체성 형성과 교회의 역할"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1 : 339-365, 2018

      8 박찬용, "청년 신자의 탈교회화 과정 연구 : 한국 개신교 사례 분석" 서강대학교 2016

      9 Beck, J, "인지치료" 하나의학사 1997

      10 McAdams, D. P, "이야기 심리학 : 개인적 신화의 탐색과 재구성" 학지사 1997

      1 곽금주, "흔들리는 20대: 청년기 생애설계 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2 한나현, "후기근대에서의 ‘종교적인 것’의 사회적 구성 : 한국 대학생의 종교적 삶의 의미" 서강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8

      3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도서출판 URD 2014

      4 김선일,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81-100, 2020

      5 최현종,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41-56, 2020

      6 정재영, "탈교회: 탈교회시대, 교회를 말하다" 느헤미야 19-39, 2020

      7 최정민, "청년기 정체성 형성과 교회의 역할"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1 : 339-365, 2018

      8 박찬용, "청년 신자의 탈교회화 과정 연구 : 한국 개신교 사례 분석" 서강대학교 2016

      9 Beck, J, "인지치료" 하나의학사 1997

      10 McAdams, D. P, "이야기 심리학 : 개인적 신화의 탐색과 재구성" 학지사 1997

      11 이아라 ; 이은설 ; 박수원, "온라인 플랫폼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심리상담 및 심리상담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607-630, 2021

      12 성석환, "양희송의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서평" 한국신학정보연구원 9 (9): 311-320, 2015

      13 김주환, "숙명적 비극의 시대, 청년들의 절대적 고통 감정과 희생자-신 되기의 탈정치" 한국이론사회학회 (36) : 49-92, 2020

      14 유성경, "상담 및 심리치료의 핵심원리" 학지사 2019

      15 김정호,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287-315, 2002

      16 신경수,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교회와 세속의 이원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판: 플라톤의 이원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5) : 219-249, 2016

      17 21세기교회연구소, "기독 청년의 신앙과 교회 인식 조사 세미나"

      18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19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20 박승민,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학지사 2012

      21 손봉호, "고통받는 인간: 고통문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5

      22 매일경제, "개신교 청년 절반 “10년 후 교회 안 다닐 것”"

      23 박진희 ; 오세일, "가톨릭 청년 냉담자의 탈교회화 현상연구" 한국종교학회 80 (80): 177-218, 2020

      24 양희송, "가나안 신도 교회 밖 신앙 : 한국 교회가 직면한 최대 현실, 가나안 신도를 말한다!" 포이에마 2014

      25 박성원 ; 권수영, "‘가나안 성도’들의 탈(脫) 교회에서의 신앙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69-106, 2017

      26 뉴스앤조이, "[합동2] 교인 10만 명 감소"

      27 뉴스앤조이, "[통합1] 교인 수 전년 대비 11만 명 ‘감소’"

      28 정재영, "[정재영 칼럼]늘어나는 가나안 성도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29 Barbour, J. D., "Versions of deconversion: autobiography and the loss of faith"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94

      30 Gallup, G., "The unchurched American-10 years later" Princeton Religion Research Center 1989

      31 Glaser, B. G., "The discorvery of grounded theory" Aldine 1967

      32 CNN, "Inside Europe’s stunning abandoned churches"

      33 Hirschman, O. A., "Exit, voice and loyalty: Responses to decline in firms, organization, and sta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34 Jacobs, J., "Deconversion from religious movements: An analysis of charismatic bonding and spiritual commitment" 26 (26): 294-308, 1987

      35 Jamison, A., "A Churchless faith: Faith journeys beyond the churches" SPCK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