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孝經≫(一卷)은 唐ㆍ侯莫陳邈의 아내 鄭氏에 의해 편찬된 여계서이다. 작자 鄭氏는 평소 효도 실천에 대한 깊은 인식을 하고 있었던 귀족 여성으로, ≪孝經≫과 班昭의 ≪女誡≫를 탐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71774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1-116(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女孝經≫(一卷)은 唐ㆍ侯莫陳邈의 아내 鄭氏에 의해 편찬된 여계서이다. 작자 鄭氏는 평소 효도 실천에 대한 깊은 인식을 하고 있었던 귀족 여성으로, ≪孝經≫과 班昭의 ≪女誡≫를 탐독...
≪女孝經≫(一卷)은 唐ㆍ侯莫陳邈의 아내 鄭氏에 의해 편찬된 여계서이다. 작자 鄭氏는 평소 효도 실천에 대한 깊은 인식을 하고 있었던 귀족 여성으로, ≪孝經≫과 班昭의 ≪女誡≫를 탐독했던 인물이라고할 만큼 양서의 체재와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고 있었다. 작자는 그런 높은 학식을 바탕으로 永王의 妃로 책봉된 자신의 질녀를 위해 女敎의 관점에 따른 실천 규범을 제시?강조할 수 있는 여계서를 편찬한 것이다. 작자는 ≪孝經≫의 편찬 체제와 내용을 근거로 삼고, 또한 班昭의 구술 형식을 빌어서 특정한 훈계대상에게 왕실 법도와 관련된 교육과 경계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女孝經≫에 수록된 내용은 전반적으로 특수한 신분의 여성을 위한 여계서로 편찬된 만큼, <五刑章>ㆍ<諫諍章>ㆍ<擧惡章> 등에서는 궁중 법도와 질서 유지의 측면을 감안하여 설정된 독특한 편찬의도를 내포하고 있었고, <后妃章>ㆍ<夫人章>ㆍ<邦君章>ㆍ<庶人章> 등과 같은 分章 설정은 ≪孝經≫의 체재를 답습한 것인데 여성의 신분에 따른 효의 실천 태도를 제시하여 구체적인 효도의 범주를 이해시키고자 한 것으로 보이며, 다른 편장에서는 역대 여계서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덕목을 제시하였다. 작자는 부녀가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명성과 칭송이 事舅姑?事夫?治家?和親戚?訓子女 등의 도리와 덕목에 대한 실천 여하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그런 행동은 곧 현실적인 효의 실천 태도에 해당된다는 가르침을 ≪女孝經≫ 중에서 명확하게 표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拙稿, "劉向≪列女傳≫探微"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1986
2 鄭氏, "女孝經, 百部叢書集成本" 藝文印書館
3 拙稿, "藍鼎元의 ≪女學≫과 여계문학상의 위상" 어문연구학회 32 : 1999
4 拙稿, "班昭 ≪女誡≫의 여계문학에 끼친 영향과 가치" 어문연구학회 34 : 2000
5 胡文楷, "歷代婦女著作考" 鼎文書局 1973
6 陳愛平, "孝說" 重慶大學出版社 2007
7 鄧小南, "唐宋女性與社會" 上海辭書出版社 2003
8 劉向, "古列女傳, 顧之逵仿宋刻本"
9 蔣致遠, "十三經引得" 宗靑圖書出版公司 1989
10 陳宏謀, "五種遺規, 四部備要本" 中華書局 1984
1 拙稿, "劉向≪列女傳≫探微"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1986
2 鄭氏, "女孝經, 百部叢書集成本" 藝文印書館
3 拙稿, "藍鼎元의 ≪女學≫과 여계문학상의 위상" 어문연구학회 32 : 1999
4 拙稿, "班昭 ≪女誡≫의 여계문학에 끼친 영향과 가치" 어문연구학회 34 : 2000
5 胡文楷, "歷代婦女著作考" 鼎文書局 1973
6 陳愛平, "孝說" 重慶大學出版社 2007
7 鄧小南, "唐宋女性與社會" 上海辭書出版社 2003
8 劉向, "古列女傳, 顧之逵仿宋刻本"
9 蔣致遠, "十三經引得" 宗靑圖書出版公司 1989
10 陳宏謀, "五種遺規, 四部備要本" 中華書局 1984
11 拙稿, "中韓女誡文學之硏究"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1990
12 曹大爲, "中國古代女子敎育"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6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시민적 일상성과 자기세계의 양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4 | 0.507 | 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