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 취약성이 있는 건축물의 안전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 관점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5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축물의 안전은 전기, 소방, 승강기, 도시가스, 보일러 등과 같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물의 구성부분에 따라 각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건축물 전체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규율할 필요 또한 존재한다. 우리나라 및 미국의 건축관련 법령은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하여 위의 영역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건축물 자체의 내구성과 화재의 위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안전점검과 미국의 위험성분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건축물의 내구성, 마모 등 건축물 자체에서 야기되는 위험에 대한 방지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재난에의 대비는 다소 부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건축물의 내구성이나 내화성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법령별로 별개의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음에 반하여 미국에서는 별개의 안전진단과는 별도로 각종 유형의 재난이나 사고를 통합하여 하나의 위험분석(Risk Assessment)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재난피해경감체계 내지는 계획에 반영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의 차원에서 일관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각종 건축물이 재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재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번역하기

      건축물의 안전은 전기, 소방, 승강기, 도시가스, 보일러 등과 같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물의 구성부분에 따라 각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건축물 전체의 안전을 통합적으...

      건축물의 안전은 전기, 소방, 승강기, 도시가스, 보일러 등과 같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물의 구성부분에 따라 각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건축물 전체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규율할 필요 또한 존재한다. 우리나라 및 미국의 건축관련 법령은 건축물의 안전과 관련하여 위의 영역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건축물 자체의 내구성과 화재의 위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안전점검과 미국의 위험성분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건축물의 내구성, 마모 등 건축물 자체에서 야기되는 위험에 대한 방지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재난에의 대비는 다소 부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건축물의 내구성이나 내화성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법령별로 별개의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음에 반하여 미국에서는 별개의 안전진단과는 별도로 각종 유형의 재난이나 사고를 통합하여 하나의 위험분석(Risk Assessment)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재난피해경감체계 내지는 계획에 반영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의 차원에서 일관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각종 건축물이 재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재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is performed respectively for each of its component with a particular function such as electricity, fire fighting, elevators, city gas, boilers, and so on. However, there is a need of controlling the safety of the building as a whole. The construction law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ically deal with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and possible risks of fire, in relation to the safety of the building. Unlike the risk assessment system integrating various types of disasters and accidents in the US,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in Korea focus mostl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building itself to ensure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of its components separately. This study highlights a need of an integrative risk assessment for the building safety in Korea, learned from the US system.
      번역하기

      The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is performed respectively for each of its component with a particular function such as electricity, fire fighting, elevators, city gas, boilers, and so on. However, there is a need of controlling the safety of the b...

      The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is performed respectively for each of its component with a particular function such as electricity, fire fighting, elevators, city gas, boilers, and so on. However, there is a need of controlling the safety of the building as a whole. The construction law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ically deal with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and possible risks of fire, in relation to the safety of the building. Unlike the risk assessment system integrating various types of disasters and accidents in the US,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in Korea focus mostl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building itself to ensure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of its components separately. This study highlights a need of an integrative risk assessment for the building safety in Korea, learned from the US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 건축물의 안전관리
      • 1. 관련 법령
      • 2. 개별법령상의 안전관리
      • Abstract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 건축물의 안전관리
      • 1. 관련 법령
      • 2. 개별법령상의 안전관리
      • 3.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의 안전관리
      • Ⅲ. 미국 건축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검토
      • 1. 관련 법령
      • 2. 개별법령상의 안전관리
      • 3. 재난경감체계에서의 위험분석
      • Ⅳ. 재난 취약성이 있는 건축물 안전관리 정책적 제언
      • 감사의 글
      • References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은, "재난관리시스템 개편과정 쟁점 분석 및 향후 방향"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47-169, 2004

      2 이재은, "재난관리 역량 강화와 재난관리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16, 2011

      3 이동규,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안전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리서치의 재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9-38, 2015

      4 민연경, "구미공업단지의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 방안 연구-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초기대응에서의 재난의료체계 개선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21, 2014

      5 "https://www.wbdg.org/resources/riskanalysis.php"

      6 "http://www.moleg.go.kr"

      7 "http://oneclick.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 mSeq=523&ccfNo=1&cciNo=2&cnpClsNo=1"

      8 Hart Consulting Group, "Typical Costs for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Second Edition, Volumes I and II, FEMA 156 and 157"

      9 Applied Technology Council, "Tentative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TC 3-06"

      10 Sugano, Shunsuke, "State of the Art in Techniques for Rehabilitation of Buildings" Elsevier Science Ltd.

      1 이재은, "재난관리시스템 개편과정 쟁점 분석 및 향후 방향"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47-169, 2004

      2 이재은, "재난관리 역량 강화와 재난관리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16, 2011

      3 이동규,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안전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리서치의 재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9-38, 2015

      4 민연경, "구미공업단지의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 방안 연구-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초기대응에서의 재난의료체계 개선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21, 2014

      5 "https://www.wbdg.org/resources/riskanalysis.php"

      6 "http://www.moleg.go.kr"

      7 "http://oneclick.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 mSeq=523&ccfNo=1&cciNo=2&cnpClsNo=1"

      8 Hart Consulting Group, "Typical Costs for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Second Edition, Volumes I and II, FEMA 156 and 157"

      9 Applied Technology Council, "Tentative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TC 3-06"

      10 Sugano, Shunsuke, "State of the Art in Techniques for Rehabilitation of Buildings" Elsevier Science Ltd.

      11 Applied Technology Council,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Concrete Buildings, ATC-40"

      12 Fajfar, P., "Seismic Design Methodologies for the Next Generation of Codes" 1997

      13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Reference Manual to Mitigate Potential Terrorist Attacks Against Buildings"

      14 Applied Technology Counci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Earthquake Ground Motion Mapping Workshop (ATC 35-2)"

      15 Hamburger, R. O., "Performance Basis of Guidelines for Evaluation, Upgrade, and Design of Moment-Resisting Steel Frames" 2000

      16 Teshigawara, Masaomi, "New Framework of Seismic and Structural Provisions in Japan"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1999

      17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NEHRP Handbook of Techniques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Existing Buildings, FEMA 172"

      18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NEHRP Handbook for the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s, FEMA 178"

      19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HRP Handbook for the Seismic Evaluation of Buildings: A Prestandard, FEMA 310"

      20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NEHRP Guidelines for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273"

      21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NEHRP Guidelines Case Studies Report"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1997

      22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Integrated Rapid Visual Screening of Building"

      23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Integrated Manmade Hazards into Mitigation Planning" 2003

      24 "Figure 4. Flowchart depicting the basic risk assessment process"

      25 Applied Technology Council, "Earthquake Damage Evaluation Data for California, ATC 13"

      26 Applied Technology Council,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Issues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992

      27 Freeman, S. A., "Development and Use of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1998

      28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Developing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Disaster Resilience of the Built Environment: A Research Needs Assessment" NIST

      29 Lee, Jae Eun, "Crisisonomy" Daeyoungmunhwa-Sa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